내란 이후 한국 사회, 어디로 가야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년 12월3일 대통령 윤석열의 비상계엄령 선포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전면 공격이었다.
한국의 민주주의 정치체제는 1987년 이후 단 한 번도 근본적인 위협을 당한 일이 없었다.
대부분 대통령제 개선을 포함한 정치체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내란 이후 새로운 정치·사회 체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수자 시민의 목소리를 충분히 담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3일 대통령 윤석열의 비상계엄령 선포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전면 공격이었다. 한국의 민주주의 정치체제는 1987년 이후 단 한 번도 근본적인 위협을 당한 일이 없었다. 대통령 전두환과 노태우의 군사반란과 내란은 1987년 이전에 일어났다. 1987년 이후 탄핵당한 대통령 박근혜나 형사처벌을 받은 대통령 이명박도 민주주의 체제 자체를 부정하진 않았다. 그만큼 윤석열의 내란은 예외적이었고 충격적이었다.
이번 내란의 원인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먼저 한국의 제왕적 대통령제의 위험성이 지적된다. 한국의 대통령은 지나치게 많은 권한을 갖고 있고, 그 지위도 입법·행정·사법 등 정부 3권 위의 국가원수다. 또 적대적인 양당 체제가 증오의 정치를 낳았다는 분석도 있다. 정치를 좌우하는 검찰 권력, 사실상 정부를 지배하는 관료 권력의 위험성도 함께 제기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헌법이나 선거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진다.
한겨레21은 윤석열의 내란을 진압한 뒤 한국 사회가 가야 할 미래에 대해 시민과 전문가들에게 물었다. 의견은 다양했지만, 방향은 같은 쪽을 가리켰다. 대부분 대통령제 개선을 포함한 정치체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당제와 승자독식을 다당제와 연합정치(또는 연합정부)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시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직접민주주의 도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검찰의 정치 개입, 관료의 정부 지배를 개혁해야 한다는 요구도 많았다.
내란 이후 새로운 정치·사회 체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수자 시민의 목소리를 충분히 담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성별과 성별 정체성, 성적 지향, 나이, 거주지, 출신지, 출신 학교, 직업, 고용 형태 등을 이유로 차별받는 시민들이다. 이들은 소수자를 배제하고 혐오하는 주류 시민들에 의해 일상을 위협받는다.
‘촛불정부’를 자처한 문재인 정부 때도 주류에 속한 정부 지지자들은 성평등 실현, 차별금지법 제정, 기후위기 대응, 최저임금 인상과 같은 소수자들의 요구를 마뜩잖아했다. ‘누구나 평등한 사회’의 실현을 주저했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해 더 많은 사람이 원하는 법과 정책을 만드는 일은 필요하다. 그러나 이 최대공약수를 찾는 과정에서 비장애인, 이성애자, 성인, 도시 거주자, 남성으로 대표되는 주류의 권리와 이익에만 집중해선 안 된다.
이제 관건은 누가 이 개혁을 추진할 것이냐다. 거대한 기득권을 가진 양당은 그동안처럼 정치·사회 개혁에 쉽사리 나서지 않을 것이다. 이런 개혁을 요구하고 추진할, 믿음직한 주체는 시민뿐이다. 또다시 보통 시민의 어깨 위에 정치·사회 개혁이란 무거운 과제가 놓였다. 과연 2025년 대한민국 시민들은 이 무거운 과제를 감당할 것인가?
김규원 선임기자 che@hani.co.kr·류석우 기자 raintin@hani.co.kr·오세진 기자 5sjin@hani.co.kr·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한겨레21 1549호 표지이야기
우리가 바라는 나라① 제왕적 대통령제, 이번엔 바꿀 수 있을까?https://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6796.html
우리가 바라는 나라② 양당제 개혁, 시민이 나서는 수밖에 없다https://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6797.html
시민 10명 심층 인터뷰① “소수자가 실패자?” 광장 그 이후는 달라야 한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6777.html
시민 10명 심층 인터뷰② 내란 사태로 늦어진 것들, 탄핵 이후 잊으면 안 되는 사람들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6778.html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 연휴 때 ‘운명의 시계’ 1초 당겨졌다…“인류 파멸까지 89초”
- 온더록 잔에 고수 꽂았더니 새잎이 하루에 1㎝씩
- 우리가 버린 옷의 여정 4600㎞를 좇다 【다큐멘터리】
- 법원은 ‘정상참작’ 검찰은 수수방관 피의자는 어려지고 법망을 빠져나간다
- 탄핵심판에 중국산 태양광이 왜 나와… 윤석열 변호인단 ‘아무말 대잔치’
- 슈퍼카와 인신매매 사이, ‘강대한 조국’은 어디쯤?
- 법정 ‘지휘’ 나선 윤석열, ‘답정너’ 열연 김용현
- 윤석열들의 ‘썩은 뇌’도 탄핵할 수 있는가
- 한강 소설 속 바다·동굴·마을은 어딜까
- 179명 숨진 참사, 어김없이 무시된 전조 증상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