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행 체제에서 또…KBS 사장 해임취소 판결 불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의철 전 KBS 사장의 해임을 취소하라는 1심 판결에 피고인 대통령 측이 항소했다.
김의철 전 KBS 사장 해임처분취소 소송의 피고인 윤 대통령 측과 피고보조참가인 KBS 측은 지난 3일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에선 같은 달 남영진 전 KBS 이사장 해임을 취소해야 한다는 1심 판결에 대한 불복도 이뤄졌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최 대행이 남 전 이사장 해임취소 판결에 항소를 지시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고인 대통령·피고보조참가인 KBS 측, '김의철 전 사장 해임취소' 1심에 3일 항소장 제출
[미디어오늘 노지민 기자]
김의철 전 KBS 사장의 해임을 취소하라는 1심 판결에 피고인 대통령 측이 항소했다. 윤석열 대통령 직무정지에 따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체제에서 공영방송 경영진 해임 취소에 불복하는 사례가 쌓이고 있다.
김의철 전 KBS 사장 해임처분취소 소송의 피고인 윤 대통령 측과 피고보조참가인 KBS 측은 지난 3일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앞서 1월16일 서울행정법원 제5부(재판장 김순열)는 김 전 사장에 대한 6개 해임 사유가 모두 인정되지 않는다며 그에 대한 윤 대통령의 해임 처분을 취소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당시 판결문에서 공영방송 사장 임기를 보장하는 제도가 공영방송의 독립성·공정성·자율성 보장을 위한 취지라는 점도 적시했다. 김 전 사장이 해임된 지 1년4개월 만에 그의 잔여 임기가 만료된 뒤에야 나온 1심 결과였다.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에선 같은 달 남영진 전 KBS 이사장 해임을 취소해야 한다는 1심 판결에 대한 불복도 이뤄졌다. 남 전 이사장 해임은 KBS 이사회가 여권 다수로 재편돼 김 전 사장 해임 절차를 추진하고, KBS에 낙하산 논란의 사장이 임명된 단초로 꼽힌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최 대행이 남 전 이사장 해임취소 판결에 항소를 지시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 대행 체제에서 연이어 공영방송 경영진 부당 해임 판결에 불복하는 일이 반복되는 책임론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최 대행은 윤석열 정부가 밀어붙인 TV수신료 분리징수를 되돌리는 취지의 '수신료 통합징수법'(방송법 일부개정안)에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해 “내란 일당”(언론노조 KBS본부)이라는 비판을 사기도 했다.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학PD 5주기, 무엇이 달라졌나 - 미디어오늘
- 尹정부 방통위, 지상파 재허가 조건에 ‘비정규직 처우개선’ 삭제했다 - 미디어오늘
- 언론에 우후죽순 도입되는 생성형AI… 문제는 없을까 - 미디어오늘
- 이재명 “반도체 주 52시간 예외” 주장에 “尹과 뭐가 다른가” - 미디어오늘
- 고 오요안나 사망에 방문진 이사장 “MBC에서 이런 문제, 안타깝고 유감” - 미디어오늘
- 나영석 PD도 넷플릭스에서 예능 만든다 - 미디어오늘
- 웹툰 플랫폼 ‘피너툰’ 돌연 종료…작가들 “일방적으로 권리 침해” - 미디어오늘
- AI 분야에서 밀리던 카카오, 오픈AI와 제휴 맺었다 - 미디어오늘
- KBS, 비상계엄 보도하며 “KBS 생방송 잡혀 있다’’ 尹 언급엔 침묵 - 미디어오늘
- 한겨레, 직장내괴롭힘 인정한 노사공동조사 뒤집어 - 미디어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