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캐리어 꺼내느라 아수라장”…에어부산 대피 현장 무질서가 화 키울 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한 달만인 지난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긴급 대피 과정을 두고 에어부산과 승객들 주장이 엇갈리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에어부산 측은 "화재 확인 즉시 승무원이 기장에게 상황을 보고했다"며 "기장은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압 및 연료계통을 즉시 차단한 후 비상탈출을 선포해 신속하게 전원 대피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승객·승무원 176명 전원 탈출
일부 승객 짐 꺼내며 방해
안내없이 비상구 개방 논란도
전문가 “추락사 위험 크고
엔진에 빨려 들어갈수도”경고
30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등에 따르면 에어부산 BX391편은 지난 28일 부산에서 홍콩으로 출발하려던 중 김해국제공항 계류장에서 항공기 내부 뒤편에서 불이 나 동체 상부를 태웠다. 당시 탑승했던 승객 170명(탑승 정비사 1명 포함)과 승무원 6명은 비상 슬라이드를 통해 탈출했고 이 과정에서 7명이 경상을 입었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31일부터 합동 감식에 돌입해 발화점과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합동 감식에는 항공기 제작국인 프랑스 사고조사위원회도 동참한다. 현재는 합동감식을 위한 안전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국토부 사고조사위는 화재가 난 항공기 양쪽 날개에 연료 3만5900lbs(파운드)가 실려 있어 폭발 가능성 등이 있는 만큼 안전 확보가 먼저라고 설명했다.
화재 원인 규명에 앞서 사고 당시 승무원들의 대처가 적절했는지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승객들은 “기장이 불이 난 줄도 모르고 있었다”는 취지로 문제 를 제기했다. 그러나 에어부산 측은 “화재 확인 즉시 승무원이 기장에게 상황을 보고했다”며 “기장은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압 및 연료계통을 즉시 차단한 후 비상탈출을 선포해 신속하게 전원 대피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또 승객들은 화재 안내 방송이 없었다는 점에서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에어부산 측은 “별도의 안내 방송을 시행할 시간적 여력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긴박하게 이뤄진 상황으로 짧은 시간 내 관련 절차에 의거해 신속하게 조치해 탈출 업무를 수행했다”고 해명했다.
가장 큰 논란은 승무원들의 대처가 미흡해 비상구를 승객이 직접 열고 탈출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승무원 요청이 없는 상황에서 승객이 비상구를 직접 열 경우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한 항공사 기장은 “엔진이 작동할 때 외부 상황을 확인하지 않고 비상구를 열면 승객이 엔진 앞에 있을 경우 빨려 들어가고 뒤에 있을 경우 날아가버리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다”며 “슬라이드가 충분히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탈출하면 추락사 위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승객은 캐리어까지 챙겨 나오며 다른 승객들 대피를 방해하는 행동을 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김인규 한국항공대 비행교육원장은 “항공기 화재 때 90초 내 탈출해야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90초 룰’이 있는데, 선반 위 짐을 찾으면 시간이 허비된다”며 “짐에 의해 본인이 다칠 수도 있고 슬라이드가 손상될 수도 있는 아주 위험한 행동”이라고 꼬집었다.
2019년 78명 중 41명이 숨진 러시아 여객기 사고에서도 자기 짐을 찾던 승객으로 인해 참사가 빚어졌다. 이 승객의 좌석 뒤에 있던 승객 중에서는 단 3명만 살아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제발 영웅인 척 좀 하지마”…항공계 종사자들, ‘에어부산 화재’ 비상문 연 승객 비판 - 매
- “尹 따라다니니 돈 되네”…진보·보수 안가리고 너도나도 ‘슈퍼챗’ 유튜브 - 매일경제
- “황금연휴 짐 싸들고 몰려가더니”…매출 대박 난 이 곳 편의점 - 매일경제
- 국민연금 보험료 7월부터 月 최대 1만8000원 인상 - 매일경제
- “이번 연휴 끝나면 역대급 거래 몰린다”…비상 걸린 은행, 설 당일에도 출근한 은행장 - 매일
- “다른 남자랑 연락했지?”…무릎 꿇고 살려달라 애원한 연인 폭행한 30대 - 매일경제
- [속보] “미국 워싱턴 여객기 추락 현장서 시신 18구 수습”< CBS> - 매일경제
- “무소유의 나라 아니었어?”...비트코인 보유국 5위에 오른 부탄이 대박 난 사연 - 매일경제
- 美 64명 탑승 여객기와 군헬기 충돌해 강에 추락…“현장서 시신 18구 수습, 생존자 발견 안돼” -
- 김하성, 2년 2900만 달러에 탬파베이행...1년 뒤 옵트아웃 포함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