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상민 "尹, '22시 KBS 생방송' 강조하며 계엄 선포 강행하려 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22시에 KBS 생방송으로 발표한다. 이미 다 불러놨다"며 계엄 선포를 강행하려 했다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진술을 경찰이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전 장관은 지난달 경찰 조사에서 당일 오후 8시40분쯤 대통령실에 도착하니 대통령 집무실에 윤 대통령과 한덕수 총리, 김용현·박성재·조태열·김영호 장관 등이 있었고, 일부 장관이 반대 의사를 밝히자 "오후 10시에 KBS 생방송이 잡혀 있다"며 강행 의사를 밝혔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22시에 KBS 생방송으로 발표한다. 이미 다 불러놨다"며 계엄 선포를 강행하려 했다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진술을 경찰이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전 장관은 지난달 경찰 조사에서 당일 오후 8시40분쯤 대통령실에 도착하니 대통령 집무실에 윤 대통령과 한덕수 총리, 김용현·박성재·조태열·김영호 장관 등이 있었고, 일부 장관이 반대 의사를 밝히자 "오후 10시에 KBS 생방송이 잡혀 있다"며 강행 의사를 밝혔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전 장관은 계엄에 대한 대통령 생각이 뚜렷해 국무위원들이 더 많이 모여서 말하면 재고하실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오후 9시 10분에서 15분쯤부터 일부 국무위원들에게 전화를 돌렸다고도 했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은 자신이 계엄 선포 시각으로 정해놓은 오후 10시가 되자 장관들이 모여 있는 대접견실에 나와 "국무위원 다 왔느냐"고 물었다고도 이 전 장관은 진술했습니다.
이때 "다 도착하지 못했다"고 답하니 윤 대통령이 "22시에 (브리핑룸에) 내려가야 하는데"라며 또다시 '22시 생방송'을 언급했다고 이 전 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앞서 공개된 비상계엄 선포문에 계엄 일시로 못박은 '12월 3일 22시' 공표를 위해 모든 일정을 맞춰, 국무회의도 거치지 않은 채 비상계엄을 선포하려 했던 것으로 보이는 대목입니다.
경찰은 "당시 국무위원들은 국무회의를 열어 대국민 담화 시간을 늦추면 윤 대통령이 재고할 수 있다는 기대를 했다"는 취지의 이 전 장관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윤 대통령의 "22시 KBS 생중계" 언급은 앞서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에서 제기한 '계엄방송 준비 사전 언질' 의혹과도 맥이 닿아 있습니다.
당시 KBS 노조 측은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전 당시 박민 사장과 최재현 보도국장이 성명불상의 누군가로부터 미리 '방송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고 이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최 국장은 "대통령 발표 2시간 전에 대통령실 누구와도 통화한 사실이 없고, 실제 발표 전까지 어떤 내용인지 전혀 알지 못했다"는 반박 입장도 내놓은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전 장관의 '22시 생방송' 관련 경찰 진술은 당시 KBS와 대통령실 간 사전 모의가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진술로 해석됩니다.
김건휘 기자(gunning@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681724_36718.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속보] 미 워싱턴 인근 60명 탑승추정 여객기, 군헬기와 충돌 후 추락
- 설 연휴 마지막 날 정체‥오후 5시쯤 '극심'
- 또 지목된 보조배터리‥오늘 정부 합동 감식
- 연휴 '관통' 민심은?‥이재명 36% 김문수 17%
- "윤·여당 결별해야" 56%‥"서부지법은 폭동" 67%
- [단독] 이상민 "尹, '22시 KBS 생방송' 강조하며 계엄 선포 강행하려 해"
- 트럼프, 여객기·헬기 충돌에 "끔찍한 사고‥모니터링 중"
- 최상목 대행 F4 주재‥"대외 불확실성 여전히 큰 상황‥美 정책 동향 지속 점검"
- 생산성 높일 인공지능‥불평등 대안은?
- 트럼프 압박에도 신중한 연준‥올해 첫 금리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