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벌자" 개미들 몰렸는데…말 한마디에 '-39%', 출렁이는 양자컴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을 이을 차세대 기술로 '양자컴퓨팅'을 주목하면서 관련 기술·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지난 8일 "유용한 양자컴 활용까지는 15년이 걸린다고 하면 이른 편이다. 30년은 늦은 시점일 것이고 많은 사람이 20년 정도로 생각할 것"이라고 발언하자 주요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세를 나타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인공지능(AI)을 이을 차세대 기술로 '양자컴퓨팅'을 주목하면서 관련 기술·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젠슨 황이 "수십 년"으로 내다봤듯 상용화까지 갈 길은 멀지만, AI 다음의 투자처를 찾는 돈의 흐름은 이미 '쏠림'이 뚜렷하다. 과학계와 투자자들의 목소리로 양자컴퓨팅 기술의 가능성과 지금의 한계를 살펴보고, 양자컴퓨팅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의 자세를 평가한다.
국내 투자자는 최근 한 달간(지난달 23일~1월 22일) 양자컴 관련주를 수조원어치 거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가 한 달간 가장 많이 거래한 해외주식 4위는 리게티컴퓨팅이다. 한 달간 매수와 매도 거래액이 29억 2589만달러(약 4조2059억원)에 달했다.
이와 함께 양자컴 관련주로 꼽히는 아이온큐는 25억5989달러(약 3조 6798억원), 실스큐는 11억8522만달러(약 1조7055억원), 퀀텀 컴퓨팅은 6억 276만달러(약 8664억원), 디웨이브 퀀텀 컴퓨팅은 5억 1690만달러(약 7430억원)어치 거래되며 거래 상위 25위권 안에 이름을 올렸다.
투자금이 몰리는 동안 주가는 날마다 널을 뛰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지난 8일 "유용한 양자컴 활용까지는 15년이 걸린다고 하면 이른 편이다. 30년은 늦은 시점일 것이고 많은 사람이 20년 정도로 생각할 것"이라고 발언하자 주요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아이온큐는 39% 급락했고 리게티컴퓨팅, 디웨이브퀀텀, 퀀텀컴퓨팅 등도 하루 만에 30~40% 하락했다. 발언의 여파로 아이온큐를 3배로 추종하는 영국 런던거래소의 레버리지 상품 'LEVERAGE SHARES 3X LONG IONQ ETP'은 상장폐지 됐다. 이 상품의 수익률이 마이너스(-) 100%에 수렴해서다.
여기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다시 한번 찬물을 끼얹었다. 저커버크 CEO는 지난 10일 공개된 한 팟캐스트에서 "(양자컴이) 유용한 패러다임이 되기까지 10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게 많은 사람의 생각"이라며 황 CEO의 발언에 다시 한번 힘을 실었다. 발언 이후 첫 거래일인 지난 13일 아이온큐는 13.83% 급락했다.
양자컴 업계 인사들이 즉각 반박에 나서고, 마이크로소프트가 낙관적 분석을 내놓으며 주가는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15일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업들이 양자 시대에 대비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을 하는 퀀텀 레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 덕에 같은 날 아이온큐는 33.48% 오르는 등 관련주가 안도 랠리를 나타냈다.
미국의 양자컴 관련주에 동조해 국내 관련주 주가도 급등락세를 보였다.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업체인 엑스게이트를 비롯해 양자암호 관련주로 분류되는 아이윈플러스, 케이씨에스, 라닉스, 에이엘티, 코위버, 한국첨단소재 등에도 단기 차익을 노린 투자금이 몰리면서 주가 변동성이 커졌다.
양자컴을 둘러싼 빅테크 업계의 논쟁과 주가 널뛰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양자컴 관련 기업들의 실적이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다. 기대감이 높은 상황에서 추세적 수혜는 볼 수 있지만, 실적이 증명되는 과정까지 주가 흐름은 큰 변동성을 보일 것"이라고 봤다.
박수현 기자 literature1028@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주병진, 펜트하우스 '55억 처분'…시세보다 10억 싸게 던졌다, 왜 - 머니투데이
- 김준호, 김지민과 결혼 전 결국 수술…"연예대상도 불참" - 머니투데이
- "다른 남자와 잠자리 강요"…이혼 전문 변호사도 당황한 사연 - 머니투데이
- 전한길 "연봉 60억 포기…음모론으로 돈 벌 생각 없어" - 머니투데이
- "왕따 살인"…故오요안나 괴롭힌 기상캐스터 실명 공개에 '시끌' - 머니투데이
- "김새론 자숙 중 술파티" 비판했던 유튜버 역풍…결국 영상 내렸다 - 머니투데이
- "우리 아기는 한국산 먹일래" 이 나라 엄마들 들썩…수출 대박 났다 - 머니투데이
- "검찰청입니다" 수상한 전화…010-3570-8242 바로 누르세요 - 머니투데이
- '60억 탈루 논란' 이하늬, 65억 건물 매입…"세금 미납으로 압류" - 머니투데이
- 입맞춤 뒤 "시집갈까?" 묻던 여사친…돈 안 빌려주자 성추행 고소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