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 현상 발견…‘네이처’ 게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spin pumping)'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공동연구팀이 기존의 고전역학적인 스핀 펌핑 메커니즘을 넘어, 양자역학적인 스핀 펌핑 현상을 예측하고 이를 세계 최초로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경진 교수 연구팀은 이를 이론적으로 분석해 실험 결과가 양자역학적인 스핀 펌핑 현상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spin pumping)'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스핀 펌핑' 현상을 발견했고, 현지 시각 어제(29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연구 성과가 게재됐다고 오늘(30일)밝혔습니다.
물질 내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현상인 전류는 전기적 성질인 전하가 이동해 발생하는 '전하 전류'와 자기적 성질인 스핀(spin)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스핀 전류'로 나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기기 대부분은 이중 '전하 전류'로 작동하는데, 전류가 흐를 때 전자가 물질 내부의 원자와 충돌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결국 에너지 소모량 증가와 효율 저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세계에선 전하 전류가 아닌 '스핀 전류'를 이용해 전자 소자를 만들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는데, 이를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라고 합니다.
이 스핀트로닉스 기술의 핵심인 '스핀 전류' 생성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바로 '스핀 펌핑'입니다.
과기정통부는 공동연구팀이 기존의 고전역학적인 스핀 펌핑 메커니즘을 넘어, 양자역학적인 스핀 펌핑 현상을 예측하고 이를 세계 최초로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선 정명화 교수 연구팀은 고품질의 철(Fe)-로듐(Rh) 자성박막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고, 김갑진 교수 연구팀과 함께 자성박막의 독특한 특성을 활용하여 큰 스핀 전류를 관측했습니다. 이경진 교수 연구팀은 이를 이론적으로 분석해 실험 결과가 양자역학적인 스핀 펌핑 현상임을 확인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대부분의 양자역학적 현상은 극저온에서만 관측되는 것과 달리, 이번 연구는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기존 고전역학적 방식에 비해 10배 이상의 스핀 전류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해, 차세대 전자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16톤 기름 실은 항공기 폭발할 뻔…아찔한 사고 순간
- “기내 수하물 선반에서 연기”…보조 배터리가 원인?
- “짐 내리느라 우왕좌왕”…비상탈출 ‘90초 룰’ 지켜야
- 제주항공 참사 한 달…“첫 명절 빈자리 더 커”
- ‘습설’에 축사 ‘와르르’…40cm 안팎 폭설에 전북 곳곳 피해
- 일본에서 대형 ‘땅꺼짐’…구조중에 또 ‘우두둑’ 2차 함몰
- 눈밭 헤치는 담비 가족…멸종위기 야생동물의 겨울나기
- 재판관 자격 맹공 “스스로 회피해야”…“헌법 부정하나”
- 임기 3번째 설은 구치소에서…원외위원장들 “끝까지 함께”
- 트럼프 ‘대화’ 손짓에도…김정은 핵시설 시찰 “핵방패 부단히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