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에도 안내방송 없어” 분통…에어부산 “시간적 여력 없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8일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와 관련해 기내에서 안내 방송이 없었다는 승객들 증언이 나오자 항공사 측은 "긴박하게 상황이 이뤄졌다"며 안내 방송할 시간적 여력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비상구열 착석 손님은 승무원에게 비상구 개폐 방법에 대해 안내 받고 승무원을 도와주는 협조자 역할에 동의해야 착석이 가능하다"며 "비상탈출 시 승객이 직접 비상구 조작 및 탈출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29일 보도자료를 내고 “승무원이 화재를 확인한 뒤 기장에게 즉시 상황을 보고했고, 기장은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압 및 연료 계통을 즉시 차단한 후 비상탈출을 선포해 전원 대피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 오후 10시 15분경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불이 나 탑승객과 승무원 등 총 176명이 비상 탈출했다. 에어부산 측은 “손님이 탑승을 완료한 후 항공기 출발 전 기내 후미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승객들은 에어부산의 미흡한 대처에 불만을 터뜨렸다. 화재 당시 탈출 안내 방송이 없었고, 비상문을 제때 열어주지 않아 승객이 직접 개문했다는 것. 에어부산은 “별도의 안내 방송을 할 시간적 여력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긴박하게 이뤄진 상황”이라며 “짧은 시간 내 관련 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조치했다”고 전했다. 이어 “비상구열 착석 손님은 승무원에게 비상구 개폐 방법에 대해 안내 받고 승무원을 도와주는 협조자 역할에 동의해야 착석이 가능하다”며 “비상탈출 시 승객이 직접 비상구 조작 및 탈출이 가능하다”고 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55분경부터 사고위원회 조사관 등이 화재 원인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승무원과 승객 일부는 기내 수하물을 보관하는 선반 내부에서 불꽃과 연기가 시작됐다고 증언했다. 이를 두고 승객 소유의 보조배터리가 압축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 아니냐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에어부산 항공기에서는 지난달에도 보조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고가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불은 승무원이 소화기로 신속하게 진압해 큰 사고는 없었다.
조혜선 기자 hs87ch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순덕의 도발]‘여사 위에 도사’의 나라… 새해 복 많이 받는 방법
- 철근 누락 알리자, 지자체 “무너진 건 아니잖아요”[히어로콘텐츠/누락②-상]
- 화재로 ‘반소된’ 에어부산 항공기…정부 “철저한 원인 규명” 지시
- 멈춰있는 항공기에서 불이 날 수 있는 원인들[이원주의 날飛]
- 日 윤봉길 의사 순국지에 추모관 들어선다
- 돌풍 일으킨 中 AI ‘딥시크’, “시진핑은 누구?” 질문에 ‘입 꾹’
- “마이웨이 가겠다”… 멜라니아 회고록이 알려준 것들 [트럼피디아]
- 외모로 가장 이익 보는 건 ‘잘생긴 남자’
- 폭설 교통사고 화재… 악천후에 험난했던 설연휴
- 기름진 명절 음식에 지친 속, 균형 잡힌 채식으로 달래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