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내놔도 안 팔려" 고향 갔더니 집값 하락 걱정…이 곳만 올랐다

김평화 기자 2025. 1. 29. 08: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3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울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2월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직방' 조사 기준 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2만 1404세대, '부동산R114' 기준 1만 9486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 입주 물량은 직방 기준 7250세대로 전월(1만 3980세대)의 절반 수준으로 전망됐다. 물량 자체로는 지난해 7월(2318세대) 이후 가장 적다. 2025.01.23. jhope@newsis.com /사진=정병혁

연초 전국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심화되는 가운데, 서울 강남권과 경기 과천, 분당 등 강남과 근접한 지역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에서도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와 금천구, 관악구 등 외곽지역은 하락했다.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는 모습이다.

29일 KB부동산 주간 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6% 하락, 전세는 0.00%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01%, 전세는 0.02% 상승했으며, 경기도 매매는 -0.06% 하락, 전세 0.02%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4% 하락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35.4보다 소폭 상승한 37.9다.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는 울산(-0.03%), 광주(-0.06%), 대전(-0.09%), 대구(-0.11%), 부산(-0.13%) 모두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도 -0.08% 하락했으며, 지역별로 강원(-0.01%), 전북(-0.02%), 충북(-0.03%), 전남(-0.04%), 세종(-0.1%), 경북(-0.1%), 충남(-0.12%), 경남(-0.14%) 모두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했다.(0.02%(12/30) → 0.01%(1/6) → 0.00%(1/13) →0.01%(1/20)). 강남구(0.09%), 서초구(0.07%), 송파구(0.06%), 용산구(0.06%), 성동구(0.05%) 등이 상승했고, 관악구(-0.08%), 도봉구(-0.07%), 금천구(-0.06%), 노원구(-0.03%) 등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6% 하락했다(-0.05%(1/6) → -0.06%(1/13) → -0.06%(1/20)). 과천시(0.12%), 성남시 분당구(0.05%), 수원시 영통구(0.03%), 의왕시(0.01%) 등이 상승했고, 평택시(-0.26%), 오산시(-0.17%), 이천시(-0.16%), 파주시(-0.15%), 광주시(-0.14%), 양주시(-0.13%), 광명시(-0.1%), 안산시 단원구(-0.1%) 등이 하락했다. 인천(-0.05%)은 서구(0.01%) 상승, 계양구(-0.14%), 연수구(-0.14%), 미추홀구(-0.06%), 부평구(-0.02%), 남동구(-0.01%), 중구(-0.01%)가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 보합이다. 수도권은 0.03% 상승, 기타 지방은 -0.03% 하락했다. 5개 광역시(-0.03%)는 울산(0.09%), 부산(0%), 광주(-0.03%), 대전(-0.06%), 대구(-0.08%) 순으로 변동을 보였다.

서울 전세는 0.02% 상승했다. 지역별로 노원구(0.08%), 구로구(0.08%), 양천구(0.08%), 영등포구(0.07%) 등이 상승했고, 관악구(-0.16%), 강동구(-0.08%), 성북구(-0.04%) 등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상승했다. 과천시(0.36%), 양주시(0.29%), 수원시 장안구(0.21%), 수원시 팔달구(0.21%), 구리시(0.19%), 부천시 오정구(0.17%), 부천시 원미구(0.16%) 등이 상승했고, 광명시(-0.27%), 광주시(-0.18%), 성남시 중원구(-0.18%), 이천시(-0.12%), 안양시 만안구(-0.12%), 군포시(-0.11%), 파주시(-0.09%), 안성시(-0.09%) 등은 하락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35.4보다 상승한 37.9를 기록했다. 인천(23.6)을 제외한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26.6)이 가장 높다. 대전 21.5, 광주 17.2, 부산 15.3, 대구 12로 100 미만의 '매도자 많음' 상황이다.

김평화 기자 peac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