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만 보는 조카 '가족'일까…피 안섞인 며느리·사위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신이나 배우자의 조카를 '우리 가족'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5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사이 배우자와 부모의 순서가 뒤바뀌긴 했으나, 여전히 좁은 범위의 혈연 및 혼인 관계 중심으로 가족의 범위를 인식하고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구원은 며느리보다는 사위가 응답 비율이 낮은 건 가족의 범위가 남성 중심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드러낸다고 해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가족부 2023년 가족실태조사
자녀·배우자·부모·형제자매만 인식
대부분 혈연·법적 관계 경제공동체 4%p↑
2020년 조사에서도 응답 비중은 △자녀(85.3%) △부모(87.4%) △배우자(83.5%) △형재자매(76.1%) 순으로 컸다. 3년 사이 배우자와 부모의 순서가 뒤바뀌긴 했으나, 여전히 좁은 범위의 혈연 및 혼인 관계 중심으로 가족의 범위를 인식하고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령별로 보면 어릴수록 부모와 형제자매 중심의 가족 개념을 갖고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자녀와 배우자로 초점이 옮겨갔다. 20대까지는 부모(20세 미만 95.7%·20대 94.8%)와 형제자매(20세 미만 79.2%·20대 79.6%)를 응답한 비중이 컸으나 30대는 △배우자(90.6%) △부모(88.9%) △자녀(88.3%) △형제자매(74.7%), 40대는 △자녀(96.6%) △배우자(95.6%) △부모(84.2%) △형제자매(68.3%) 순으로 양상이 변화했다.
조카를 우리 가족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은 22.8%에 불과했다. 이 비율은 2015년 26.5%에서 2020년 23.1%으로 내려앉은 데 이어 2023년에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나이와 결혼 여부에 따라 이 격차는 두드러졌다. 20대 미만(10.5%)과 20대(18.8%)의 응답률은 20%도 되지 않았으나, 50대(27.3%)와 60대(26.2%), 70대(27.7%)에서는 27% 내외를 유지했다. 미혼의 비중은 16.7%에 그치는 반면 유배우자는 25.5%까지 올라갔다.
다만 2020년 조사와 비교하면 경제적 공동체로서의 관계로 보는 사람들이 4%포인트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동거하며 생활을 공유하는 관계로 정의하는 이들도 3.1%포인트 늘었다. 내가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는 관계에 동의하는 비율도 1%포인트 소폭 늘었다. 가족이 혈연과 혼인에 기반해 주어지는 관계이며 정서적 친밀성이 중요한 요소라는 전통적 인식이 차츰 변화해가는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이지은 (jeanle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내 걱정된다”던 尹…김건희, 구치소 면회 안 올 듯
- 전한길 “尹, 트럼프 사랑해…함께 노벨평화상 받길”
- '딥시크 쇼크' 트럼프는 긍정적, 왜?…中 더 옥죄나(종합)
- 문재인, 이춘식씨 별세에 “부끄럽지 않은 나라 만들 것”
- 전세계 '딥시크 충격파' 던진 창업자 량원펑은 누구?
- 김가영은 아냐…故 오요안나 직장내 괴롭힘 의혹에 가해자 특정까지
- 부활 김태원 딸 김서현, 美 남친과 결혼 "직업? 코딩 업계 탑"
- “죽은 쥐 넣어 식빵 구웠다”…빵집 주인은 왜? [그해 오늘]
- 특수렌즈 끼게하고 베팅 유도..'사기에 사기' 도박꾼 징역형
- 나 혼자 여행한다면 가장 좋은 도시는 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