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며느리·사위가 들을까 전전긍긍하는 '한 마디'

서윤경 2025. 1. 29. 04: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설 명절 처가를 찾은 기혼 남성은 '자고 가라'는 말을, 시댁에 간 기혼 여성은 '한 끼 더 먹고 가라'는 말을 들을까 전전긍긍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경 비에나래 총괄실장은 "낮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남성은 설에 사람들이 북적이는 처가에 가면 씻고 용변을 보며 잠을 자는 등과 관련된 제반 생활환경을 불편하게 느낀다"며 "시가에 가서 차례 준비 등을 도맡아 해야 하는 여성들은 비교 당하고 평가받는 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고 가라'는 말에 시댁과 처가 온도차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설 명절 처가를 찾은 기혼 남성은 '자고 가라'는 말을, 시댁에 간 기혼 여성은 ‘한 끼 더 먹고 가라’는 말을 들을까 전전긍긍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재혼전문 결혼정보회사 온리-유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가 20∼26일 전국의 (황혼)재혼 희망 돌싱 남녀 각 278명, 총 556명을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전화 등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전 배우자와 결혼생활 중 설 연휴 때 처(시)가에 가면 어떤 말이 나올까봐 전전긍긍 했습니까?’라는 질문에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 질문에 남성은 32.4%가 ‘자고 가라’를 꼽았다. 이어 ‘형제 가족(처남 혹은 처형·처제 및 그 가족) 오면 보고 가라(27.7%)’, ‘한 끼 더 먹고 가라(24.1%)’, ‘음식 좀 가져가라(15.8%)’ 등의 순으로 답했다.

여성이 가장 많이 꼽은 건 ‘한 끼 더 먹고 가라(31.3%)'였다. ‘음식 좀 가져가라(28.4%)’, ‘형제 가족(시아주버니·시동생 혹은 시누이 및 그 가족) 오면 보고 가라(23.0%)’, ‘자고 가라(17.3%)’ 등이 뒤를 이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요즘 시가에서는 며느리 눈치를 보는 경향이 있어서 자고 가라는 등의 요청을 하지 않는 편이지만, 처가에서는 딸과 조금이라도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자고 가라는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며 “시가 체류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여성은 한시라도 빨리 시가를 벗어나고 싶어 해 점심(혹은 저녁)을 먹고 가라는 등의 제의가 있을까 조바심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혼하기 전 설 연휴때 처(시)가에 간다는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게 했던 요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남녀 모두 세면, 잠자리 등 ‘불편한 생활환경을 가장 많이 꼽았다. 남자와 여자가 각각 37.1%, 29.1%였다.

이경 비에나래 총괄실장은 “낮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남성은 설에 사람들이 북적이는 처가에 가면 씻고 용변을 보며 잠을 자는 등과 관련된 제반 생활환경을 불편하게 느낀다”며 “시가에 가서 차례 준비 등을 도맡아 해야 하는 여성들은 비교 당하고 평가받는 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고 전했다.
#설 명절 #사위 #며느리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