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김용현 “포고령 1호 작성 노트북 파쇄”…행정관 “망치로 부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2·3 불법 비상계엄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포고령 1호 작성과정이 담긴 노트북을 파쇄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김 전 장관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포고령 1호를 작성한 노트북을 없애라고 (측근에게) 시켰다"는 진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법조계에선 포고령 작성 과정을 밝혀 낼 물증이 사라진 상황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가 더욱 중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김 전 장관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포고령 1호를 작성한 노트북을 없애라고 (측근에게) 시켰다”는 진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노트북을 없앤 대통령실 행정관을 조사해 “김 전 장관이 시켜 망치로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부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고 한다. 이 행정관은 김 전 장관이 대통령 경호처장 시절 개인 비서 역할을 맡았던 인물로, 당시에도 경호처 소속이지만 김 전 장관을 사적으로 수행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검찰과 공수처는 포고령 작성 과정을 밝혀낼 수 있는 핵심 증거인 노트북을 확보하기 어려워졌다.
김 전 장관은 포고령 작성 경위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포고령 작성 과정에서 관련 법전을 찾아봤다”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고 한다. 다만 윤 대통령이 포고령 작성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에 개입했는지는 진술을 안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공수처의 윤 대통령 대면조사가 더욱 중요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수처가 15일 윤 대통령을 체포한 이후, 윤 대통령은 체포 당일 공수처에 일방적인 주장만 쏟아 내고 이후 어떠한 조사에도 응하지 않았다. 19일 구속영장이 발부된 후 공수처는 20일 강제구인을 시도했지만 윤 대통령은 응하지 않았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윤 대통령에게 포고령 과정에 대한 진술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구민기 기자 ko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속보]트럼프 “김정은은 핵 보유…난 그와 잘 지냈다”
- [사설]트럼프 2기, 우리가 알던 그 미국은 이제 없다
- 트럼프 발언 따라 韓증시 출렁…1%대 상승하다 관세 언급에 내림세로
- ‘트럼프 귀환’ 가장 싫어하는 나라는 한국, 가장 반기는 국가는?
- 머스크, 오른팔 쭉 ‘나치식 경례’?…트럼프 취임 행사서 논란
- 챙 넓은 모자-감색 코트…멜라니아 ‘취임식 룩’ 눈길
- 후드티에 반바지…트럼프 취임식에 온 이 남자 누구?
- [단독]김용현 “포고령 1호 작성 노트북 파쇄”…행정관 “망치로 부쉈다”
- 崔대행, TV수신료 통합징수 등 3개 법안 거부권 행사
- ‘법원 난입-시위’ 절반이 2030… “젊은 남자들 많아 깜짝 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