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 없이 지하철에서 기침을 몇번 하는거야!”…독감 급증, 다시 마스크 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9일 오후 6시께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플랫폼에서 한 중년 여성이 큰소리를 내자 지하철을 기다리던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여성은 얕은 기침을 계속하던 한 남성에게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독감 의사환자는 갑작스럽게 38도 이상의 열이 나거나 기침, 인후통 등이 있는 자를 말한다.
약사 임 모씨는 "이번주에 발주량을 늘렸는데도 독감 약들이 동났다"며 "복제약 조제에 필요한 약도 거의 바닥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잠잠했던 코로나 감염도 늘어
영유아 자녀 둔 부모들 걱정
편의점 등서 마스크 판매 쑥
약국 곳곳선 감기약 품절도
지난 9일 오후 6시께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플랫폼에서 한 중년 여성이 큰소리를 내자 지하철을 기다리던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여성은 얕은 기침을 계속하던 한 남성에게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주위 사람들은 갑작스러운 여성의 고성에 눈살을 찌푸렸지만, 기침 소리가 멎지 않자 뒷걸음질 치며 남성의 곁에서 멀어졌다.
올겨울 추위가 최고조에 이르면서 독감도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독감과 함께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 다양한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에 유행하고 있다. 호흡기 질환 확산세가 거세지면서 2023년 3월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전 해제된 지 2년 만에 다시 마스크를 쓰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2024년 12월 29일~2025년 1월 4일)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찾은 외래 환자 1000명당 독감 의사환자 수는 99.8명이었다. 직전 주 73.9명보다 1.4배 늘었다. 4주 전에 비하면 13.7배 급증했다. 독감 의사환자는 갑작스럽게 38도 이상의 열이 나거나 기침, 인후통 등이 있는 자를 말한다. 질병청 관계자는 “현 감시 체계가 구축된 2016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잠잠했던 코로나19 환자도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4일까지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는 131명으로, 4주 전(46명)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늘었다.
감염병이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탓에 자녀를 둔 부모들의 걱정은 더욱 커지고 있다. 연령별 독감 환자 수는 13~18세(1000명당 177.4명)와 7~12세(161.6명)에서 가장 높았다. 마찬가지로 RSV도 최근 4주간 RSV 입원 환자 중 77.4%(1663명)가 0~6세였다. 6세 자녀를 둔 정지원 씨(45)는 “아이가 콧물만 흘려도 걱정이 돼 밖에 안 내보낸다”며 “팬데믹 때 쟁여놓은 마스크를 창고에서 다시 꺼내 씌우는 중”이라고 말했다.
호흡기 질환이 확산하며 마스크 수요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GS25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마스크 매출은 직전 주보다 26.8%, 4주 전보다 53.4% 늘었다. 서울 관악구의 한 편의점 직원은 “체감상 마스크 판매가 지난달보다 4배 정도 많아진 느낌”이라고 말했다.
약국들은 약 재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환자가 급증하면서 일부 약국에선 타미플루, 조플루자 등 독감 치료제가 품절되기도 했다. 약사 임 모씨는 “이번주에 발주량을 늘렸는데도 독감 약들이 동났다”며 “복제약 조제에 필요한 약도 거의 바닥난 상황”이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이달 중 독감 유행이 사그라들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9일 호흡기감염병 관계부처 합동대책반 회의를 열고 “과거 동절기 인플루엔자 유행 추세가 겨울방학 직전에 정점을 찍고 방학이 시작되는 1월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점을 고려하면 향후 1~2주 이후 유행의 정점을 지날 것”이라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다음주가 지나면 확산세가 가라앉을 것 같지만 문제는 설 명절”이라며 “고령층이나 영유아, 임신부들이 다른 가족과 만날 경우 감염 위험이 크고 재유행 확률도 올라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오늘의 운세 2025년 1월 11일 土(음력 12월 12일)·2025년 1월 12일 日(음력 12월 13일) - 매일경제
- “아들 데려다 주는 차에서 불륜남과”…남편에게 걸리자 아내의 답변 - 매일경제
- 나훈아, 탄핵 정국에 “왼쪽은 잘했나, 국민 위해 하는 꼬라지 맞나” [현장] - 매일경제
- [속보] 美법원, 트럼프 ‘입막음돈 사건’ 유죄 확인…“실제 처벌은 안해” - 매일경제
- “이거 원자폭탄 떨어진거 아냐”…여의도 50배 ‘LA산불’ 위성사진 보니 - 매일경제
- “김건희 여사 패러디했다고 하차?”...주현영, SNL 그만 둔 이유 직접 밝혔다 - 매일경제
- “고춧가루·참기름 팝니다”…1억짜리 ‘사이버트럭 방앗간’ 홍보 효과 제대로네 - 매일경제
- 13시간 경찰조사 마친 박종준 전 경호처장 “수사기관 조사 성실히 임했다” - 매일경제
- “대어 잡은 줄 알았더니 죽은 물고기였다”…경호처장에 경찰 ‘허 찔렸나’ - 매일경제
- 이강인, 아스널 이적 NO!…Here We GO 기자 컨펌 “파리, 여전히 높게 평가 중”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