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설교] 작은 점이 모여 그림이 완성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2일 '주의 세례 주일(Baptism of the Lord)'을 시작으로 교회력의 연중(年中) 시기가 시작됐다.
연중 시기는 특별한 절기(대림 성탄 사순 부활)를 제외한 33주에서 34주간의 시기이다.
연중 시기를 상징하는 색은 녹색으로 이 주간 성찬례(예배) 제의는 녹색으로 입는다.
그래서 이 연중 시기를 어떻게 보내는가는 신앙생활에서 중요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주의 세례 주일(Baptism of the Lord)’을 시작으로 교회력의 연중(年中) 시기가 시작됐다. 연중 시기는 특별한 절기(대림 성탄 사순 부활)를 제외한 33주에서 34주간의 시기이다. 연중 시기를 상징하는 색은 녹색으로 이 주간 성찬례(예배) 제의는 녹색으로 입는다.
녹색은 생명 희망 영생을 상징한다. 겨울 산천의 빛깔은 어둡지만 연중 산천은 푸르른 녹색을 품고 있다. 우리의 삶도 특별한 색을 띠는 날도 있지만 대부분이 이 녹색 같은 일상을 살아간다. 붉은 노을과 같은 특별한 날은 기억하기 쉽다. 하지만 일상의 색인 녹색을 기억하기란 쉽지 않다. 분명 서해의 아름다운 노을빛과 같은 특별한 빛을 기억하지만 일상의 푸르름은 우리를 성장시킨다. 그래서 이 연중 시기를 어떻게 보내는가는 신앙생활에서 중요하다.
우리는 지금 일상을 제대로 살아갈 수 없는 시기를 보내고 있다. 평범했던 일상이 그립거나 다가올 날의 두려움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왜 그렇게 되었는가. 하나님은 우리에게 푸르른 숲의 나무와 같이 성장해야 하는 시기를 보내라 하시는데 지금 우리는 왜 푸르른 숲을 살지 못하고 있는가.
그에 대한 답을 나에게 묻는다. 그런데 눈물이 난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지금의 나를 바라봐야 하므로, 이 몇 자의 글이 세상을 다시 평범한 일상으로 돌릴 수 없는 ‘작은 점’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렇다. 그런데도 이런 나에게 예수님은 다시 작은 점을 그리게 하신다.
이 작은 점을 신앙적 언어로는 소명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복음을 전하고 기도하는 행위로, 다른 이에게는 촛불을 들고 거리에서, 어떤 이는 자녀의 밥상을 차려 주는 손길에서, 또 다른 누군가는 작은 교회에서 봉사로써 각자 소명의 작은 점들이 모여 아름다운 하나님의 나라를 그려 완성하게 한다.
주님께서는 예언자 이사야의 말씀을 통해 우리 각자의 소명이 다름에 대해 말씀하신다. 이 다름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다르다고 해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없고, 작다고 해서 소중하지 않다고 말할 수도 없다.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같을 수 없는 각자의 소명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자신의 소명 또한 소중하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이는 자신의 소명을 하찮은 것으로 치부하고 무시한다. 하지만 단언컨대 이 세상에 하찮은 소명이란 없다. 그림에서 필요 없는 ‘점’이 없는 것처럼 말이다.
예수님의 소명은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며 아버지의 뜻을 세상에 알리는 일, 바로 전도였다. 그분은 왜 전도를 하셔야만 했을까. 바다의 모래를 가지고도 새로운 민족을 만드실 수 있는 하나님이 왜 사랑하는 아들을 직접 보내어 전도하게 하셨을까.
그 이유는 분명하다. 바로 사랑 때문이다. 예수님은 우리를 너무도 사랑하셔서 우리를 포기하지 못하셨다. 그 분명한 사랑 하심으로 묵묵히 당신의 길을 걸어가셨다. 우리는 어떤가. 우리는 지금 그 분명함을 가지고 주님을 전하고 있는가. 우리에게 이 분명함이 있다면 어떤 어려움이나 슬픔도, 넘을 수 없을 것 같은 저 높은 벽도 결코 우리의 소명을 다함에 있어 장애가 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도 묵묵히 일상 가운데, 두려움 없이 하나님 나라의 그림에 나의 점을 찍어 완성해 나아가자.
◇성범용 사제는 2009년 성공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현재 대한성공회 안중교회를 담당하고 있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교회는 91년간 안중 지역에서 아름다운 신앙의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성범용 사제(대한성공회 안중교회)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더 미션에 접속하세요! 어제보다 좋은 오늘이 열립니다 [더미션 바로가기]
- 여신도 성폭행 정명석 17년형 확정… 피해자 “정의는 살아있다”
- 고통의 시대 네 하나님은 어디 있느냐
- 위기의 두 교회 한지붕 아래로… 교회 합병 뜬다
- 의료사각 독거·노숙환자 치료비 지원… 651명에 건강 선물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
- ‘2024 설 가정예배’ 키워드는 ‘믿음의 가정과 감사’
- 내년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27년 만에 이뤄진 증원
- “엄마, 설은 혼자 쇠세요”… 해외여행 100만명 우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