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검찰, 체포조 의혹 국방부 조사본부 수사관 10명 소환 조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2·3 내란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군 지휘부 수사를 마무리하고 정치인 등 주요 인사들을 체포하려 했다는 체포조 의혹과 합동수사본부 구성 의혹에 대한 수사를 이어나가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는 최근 국방부 조사본부 수사관 10명 안팎을 불러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3 내란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군 지휘부 수사를 마무리하고 정치인 등 주요 인사들을 체포하려 했다는 체포조 의혹과 합동수사본부 구성 의혹에 대한 수사를 이어나가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는 최근 국방부 조사본부 수사관 10명 안팎을 불러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비상계엄 때 출동한 경위 등을 캐물은 것으로 전해진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수사관 100명 지원요청을 전달받고, 이후 4일 오전 새벽 1시쯤 수사관 10명을 국회로 출발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방첩사는 국회 수소충전소로 집결해달라고 요청했으나, 곧이어 ‘상황이 바뀌었다. 복귀해서 대기하라’고 연락해 수사관 10명은 국방부 조사본부로 복귀했다.
검찰은 이때 국회로 출동한 10명의 수사관이 주요 인사들을 체포할 체포조 역할을 맡았는지 등을 의심하며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당시 국방부 조사본부는 방첩사로부터 수도권 내 미결수용실 현황 파악을 요청받고 답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 특수본은 지난달 19일 박헌수 국방부조사본부장 등 조사본부 관계자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같은 달 31일에는 국방부 조사본부를 압수수색했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중심으로 구성하려 했던 ‘직할 수사단’인 합동수사본부 제2수사단 구성에도 관여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 전 장관이 제2수사단 설치와 관련해 준비한 인사명령 문건에는 김상용 국방부 조사본부 차장(대령)이 수사1부장으로 적시됐다.
정혜민 기자 jh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최상목의 윤석열 체포 ‘지연 작전’…‘특검 합의’ 내세워 국힘 편들기
- 박종준 빠져도, 경호처 ‘김건희 라인’ 건재…“저항 명분 삼을 수도”
- 최상목 대행, 박종준 경호처장 사표 수리
- 원희룡·이용…뺏지 없는 국힘 당협위원장들 “매일 관저 앞으로”
- 최상목의 윤석열 체포 ‘지연 작전’…‘특검 합의’ 내세워 국힘 편들기
- “빨갱이 댓글 밀어내자”…윤석열 지지 2만명, 좌표 찍고 ‘여론조작’
- ‘이재명-중국 기자 비밀회동?’…국힘발 가짜뉴스에 외신기자들 “깊은 유감”
- 김문수 여권 ‘깜짝’ 1위 왜?…“예외적 현상”
- ‘최저 -18도’ 주말 아침에도 한파…충남·전라·제주는 눈
- ‘윤석열 체포 저지’ 경호처장, 경찰 조사 중…긴급체포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