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서 하는 경제교육 충분한가요? 2030 선생님들 답변이…

김경림 2025. 1. 10. 14: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교에서 양질의 경제교육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20~30대 선생님들 비율이 절반 이상으로 집계됐다.

10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한국경제인협회가 20∼30대 초·중·고등학교 교사 102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1일∼12월 24일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1%가 학교에서 학생 대상 경제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 84%는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경림 기자 ]

셔터스톡


학교에서 양질의 경제교육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20~30대 선생님들 비율이 절반 이상으로 집계됐다.  

10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한국경제인협회가 20∼30대 초·중·고등학교 교사 102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1일∼12월 24일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1%가 학교에서 학생 대상 경제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가 15%, '이뤄지지 않는다'가 36%였다.

경제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는 답변율은 14%에 그쳤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 84%는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교사 자신도 경제 교육을 학교나 교사 직무연수에서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9%와 8%에 그쳤다. 가장 많은 44%가 'TV, 라디오, 서적, 신문, 잡지'에서 경제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다.

교사들은 학교 경제 교육의 가장 큰 문제로 '이론 중심으로 실생활과 연관성 부족'(28%)을 점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입시 교육 위주로 경제 교육 소홀' 27%, '경제교육 자료 부족' 18%, '경제 전담교사 부족' 17% 순이었다.

학교 경제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경제 관련 교재 및 자료 개발'(32%),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30%), '현장 체험학습 기회 확대'(18%)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교총은 "교사가 피부에 와닿는 경제교육을 충분히 접하고 이해해야 올바른 경제생활 영위는 물론 학교 경제교육도 변할 수 있다"며 "더 유익하고 체험적인 경제 연수와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