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날 때 1.5kg 안 되는 아기 10명 중 9명은 무사히 집으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서 체중이 1.5㎏ 미만으로 태어난 아기들 10명 중 9명은 건강하게 집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출생 체중이 1.5㎏ 미만인 미숙아의 특성 등을 분석한 '극소저체중아 레지스트리 2023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고 10일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2023년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국내 극소저체중아 1800명 중 1607명이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 퇴원 시 생존율은 89.3%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경림 기자 ]
국내에서 체중이 1.5㎏ 미만으로 태어난 아기들 10명 중 9명은 건강하게 집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출생 체중이 1.5㎏ 미만인 미숙아의 특성 등을 분석한 '극소저체중아 레지스트리 2023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고 10일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대한신생아학회와 함께 2013년 한국신생아네트워크를 출범한 후 전국 약 80개 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이 참여하는 극소저체중아 등록 연구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보고서에는 2023년에 등록된 아이들의 특성과 퇴원 시 생존 여부, 2020∼2021년 출생아의 추적조사 결과 등이 담겼다.
2023년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국내 극소저체중아 1800명 중 1607명이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 퇴원 시 생존율은 89.3%로 나타났다. 사업 초기인 2014년 84.9%에 비해 크게 향상됐고, 직전 해인 2022년 89.9%와는 비슷한 수준이다.
생존한 아이를 기준으로 신생아중환자실 평균 재원기간은 약 75일이었고, 최장은 1년이다.
주요 합병증 유병률은 감소했다.
미숙아 망막증은 28.8%로 전년 대비 5.6%포인트 줄었고 뇌실내출혈 35.5%(3.5%포인트↓), 호흡곤란증후군 72.2%(3.1%포인트↓), 기관지폐이형성증 32.0%(1.9%포인트↓) 등이었다.
추적조사 결과 만 1.5세와 만 3세의 뇌성마비 진단율은 각각 3.4%와 4.1%로, 전년 대비 1.1%포인트와 1.0%포인트 줄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혈압 치료하러 갔다가 '덜컥' 출산한 女...어떻게 된 일?
- 인구 50만 명 이상 지자체 중 출산율 1위…경기 평택시 10.8% 증가
- 위기임신 보호출산제 시행 6개월…상담 900명 중 178명엔 긴급지원
- 서울 사는 무주택 부부, 아이 낳았다면 '月 30만원' 받으세요
- "직접 찾아갈게요" 유일하게 산부인과 없는 강원도 고성군에 출산 대책
- 美 청소년 10명 중 9명 "난 000 쓴다!"
- "학교 쓰레기통서 네가 왜 나와?" 줄행랑 친 교장선생님
- 의도적인 무게 늘리기? 킹크랩 '얼음치기'가 뭐길래
- 추석 낀 9월 마지막주, 코로나 확진자 감소세 둔화
- '애국 먹방'은 바로 이것?...쯔양, 킹크랩 16인분 '순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