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KAIST, 다기능성 3차원 구조의 차세대 섬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은 김봉훈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사람의 오감을 흉내 내는 반도체 섬유 기반의 다기능 센서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반도체 섬유 센서는 기존 1차원 섬유 센서보다 훨씬 정교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이건우)은 김봉훈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사람의 오감을 흉내 내는 반도체 섬유 기반의 다기능 센서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웨어러블 사물 인터넷(IoT) 전자소자나 소프트 로봇(Soft robotics) 같은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반도체 섬유 센서는 기존 1차원 섬유 센서보다 훨씬 정교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췄다. 특히, 이 센서는 섬유 안의 독특한 구조 덕분에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를 통해 빛, 화학물질, 압력뿐만 아니라 pH(산성도), 암모니아(NH3), 기계적 변형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동시에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사람의 오감처럼 여러 신호를 한 번에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센서 플랫폼을 새롭게 제안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을 활용한 특수한 제작 공정을 통해 3차원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섬유를 만들었다. 특히, 섬유를 리본 모양으로 뽑아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3차원 나선형 구조는 섬유의 곡선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제작된 섬유는 MoS₂가 가진 우수한 전기적·기계적 특성과 섬유 안의 정렬된 구조 덕분에 높은 성능을 발휘하며, 다양한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줬다.
김봉훈 교수는 “이번 연구로 이황화몰리브덴 같은 2차원 나노소재의 활용 범위가 크게 확장됐다. 앞으로도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웨어러블 기술에 필요한 신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계속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김상욱 KAIST 교수팀, 김장환 아주대학교 교수팀, 김지웅 숭실대학교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 생체융합 인터페이싱 선도연구센터(ERC)'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한편, 연구결과는 최근 섬유 및 신소재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어드벤스드 파이버 머티리얼즈(Advanced Fiber Materials)'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로 경제 해법 찾는다…정부, 전 산업에 도입
- [CES 2025 포토] 최태원 SK 회장,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과 함께 부스 투어
- 한미, 원자력 수출 협력 MOU 최종 서명...체코 원전 수출 분쟁 해소되나
- [CES 2025]“영어 못해도 화상회의 OK”…삼성SDS가 자신있게 내민 기업용 AI 서비스
- 1등 복권 떄문에 친구와 '맞짱'(?) 뜬 사연 [숏폼]
- 한국 관광객이 전체 4분의 1 차지하는 이 나라는?
- “아기 가지고싶어서”… 우크라 피란민 엄마·할머니 죽인 독일 부부
- 빙판에 미끄러진 차, 美 운전자 '필사의 탈출'
- 野, 운영위 '계엄 현안질의' 불출석 대통령실 참모 22명 고발
- 신임 의협 회장에 김택우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의료개혁 중단' 강경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