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참사 이후 무안공항 발령 관제사 사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항공 참사로 항공관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많은 지역 공항들은 관제 인력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은 결원 충원 과정에서 일부 관제사가 사표까지 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무안공항 소속 관제사는 총 7명이다.
이에 무안공항을 관리하는 부산지방항공청(부항청)은 다른 공항 관제사를 무안공항으로 보내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고때 근무한 2명 업무제외 공백
다른 공항서 충원하려 했지만 사직
“처우 개선 등 인력확보 서둘러야”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무안공항 소속 관제사는 총 7명이다. 이 중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 당시 근무를 섰던 2명이 업무에서 빠진 상태다. 이에 무안공항을 관리하는 부산지방항공청(부항청)은 다른 공항 관제사를 무안공항으로 보내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무안공항으로 발령받은 관제사 1명이 사표를 냈고 비슷한 시기에 또 다른 부항청 소속 관제사 1명이 사직서를 냈다.
항공업계에서는 관제사들의 과도한 업무와 열악한 처우가 누적되면서 인력 이탈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부항청은 무안과 김해, 대구, 여수, 울산 등 9개 공항을 관리하는데, 총 관제사가 50여 명뿐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 권고 기준의 절반 수준이다. 인력은 적은데 업무량은 많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2023년 무안공항 관제탑은 하루 평균 111대에 대한 관제 업무를 수행했다. 양양-여수-울산보다 3배가량 많다.
이에 항공업계에서는 민항기 운영을 하지 않는 일부 공항 운영을 일시 중단시켜서라도 관제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한 관제사는 “관제사 부족은 인력 돌려막기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관제사 처우 개선 등으로 필수 인력을 확보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란수괴 구속한다더니 체포도 갈팡질팡…野 “X맨 공수처장”
- [사설]尹, 억지와 분열 뒤에 숨지 말고 어떻게 수사받을지 밝히라
- 與 “불법 체포영장 스텝 꼬인 것” vs 野 “경찰 더 적극 나서야”
- 캐나다도 리더십 공백… 트뤼도 총리 “새 총리 뽑히면 사퇴”
- 경찰 “일반 사병도 관저 동원 확인”…경호처 거짓 해명 논란 확산
- [사설]수련병원 교수 ‘도미노 사직’… 폭증한 의대생은 누가 가르치나
- [단독]무안 발령난 관제사 사표…지방공항 인력 확보 비상
- 내란-김건희 ‘쌍특검법’ 8일 본회의서 재표결 합의
- 尹측 “공수처 불법수사 응할 수 없어” 체포영장 재집행해도 불응할 듯
- 공조본 “대통령 체포영장 기한 연장 위한 영장 재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