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집 쇼크]① “노인 떠나면 텅 빈다”…부산 주택 열 곳 중 한 곳은 빈 집

부산=김유진 기자 2025. 1. 6.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 영도구 ‘빈 집’ 르포 가보니
부산, 주택 10곳 중 1곳 빈 집
고령화·일자리 문제로 빈 집 증가
전염력 강한 빈 집, 동네 위생·미관 해쳐

2025년은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접어든 첫해다.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시대가 됐다는 의미다. 초고령 사회를 맞아 부동산 시장에서는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바로 ‘빈 집’이다. 노인들이 거주하던 집은 사망 후 상속되지만 일자리를 찾아 서울이나 타지로 떠난 자녀들이 이를 관리하기는 힘들다. 집을 팔기는 더 어렵다. 결국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빈 집은 빠르게 노후화되고 지역 전체를 슬럼화시키는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있다. 그러나 빈 집에 대한 해결책은 뚜렷하지 않다. 우리 사회가 빈 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작년 12월 23일 방문한 부산 영도구 청학동에 있는 빈 집. 좁은 골목길에 위치한 이 집은 사람이 살지 않은 지 오래돼 창문이 깨져 있다. /사진=김유진 기자
이 동네에 빈 집이 많아. 빈 집이 왜 많냐고? 젊은 사람들은 일자리 찾아 도시로 가고 남아 있는 노인들이 떠나면 집이 비는 거지.

지난해 12월 23일 찾은 부산 영도구 청학동의 가파른 언덕길을 오르다 만난 김명화(가명·78세) 할머니는 빈 집이 있는 골목길을 손으로 가리켰다. 이 동네에 오래 거주했다는 김 할머니는 “이 골목길 끝에도 빈 집이 있다”며 “이 동네에서 어렵지 않게 빈 집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할머니가 알려준 빈 집 수만 해도 열 손가락으로 헤아리기 어려웠다.

동네의 빈 집 한 곳을 들르니 대문이 굳게 잠겨 있었다. 굵은 철사로 문고리를 동여매고 대문에 각목까지 덧대 외부인의 출입을 막아둔 모습이었다. 담장 너머로는 주인이 없는 집이라는 걸 증명이라도 하듯 무성한 잡초가 눈에 띄었다.

성인 한 명이 지나갈만 한 좁은 골목을 지나 도착한 또 다른 빈 집은 유리창이 깨져 있었다. 유리 조각이 가득한 대문 앞에는 색이 바랜 우편물이 잔뜩 꽂힌 녹슨 우편함이 있었다. 주인의 손길이 닿지 않은 지 꽤 오랜 기간이 돼 보였다. ‘쓰레기를 버리지 마시오’라는 경고가 무색하게 담벼락에는 쓰레기가 쌓여 있었다.

지난해 12월 23일 부산 영도구 청학동에 위치한 빈 집의 우편함에 색이 바랜 우편물이 잔뜩 꽂혀 있다. /부산=김유진 기자

영도구의 영선동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이 곳은 영화 촬영지로 유명한 흰여울문화마을이 있어 관광객들이 붐볐지만, 관리되지 않은 빈 집이 곳곳에 눈에 띄었다. ‘구조안전 위험 시설물’이라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는 영도에서 가장 오래됐다는 아파트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270가구 중 2가구만 아직 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동네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40대 주민은 “아직 어르신 한 두 분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이야기는 들었다”고 했다.

◇부산, 고령화·일자리 직격탄에 급증하는 빈 집

고령화와 일자리 부족에 따른 빈 집 쇼크가 부산을 덮쳤다. 부산에 남아 도는 빈 집은 11만4245가구(통계청 기준)다. 부산에 있는 주택 열 곳 중 한 곳이 빈 집인 꼴이다. 빈 집은 비단 부산만의 문제는 아니다. 전국 곳곳에 빈 집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작년 전국의 빈 집은 153만4919가구까지 늘어났다. 1년 이상 사람이 거주하지 않은 주택도 38만7326가구에 달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해운대구 등에도 빈 집은 존재하지만, 워낙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다 보니 빈 집이 많더라도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면서 “그러나 개발 수요가 크지 않은 원도심에서는 빈 집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12월 23일 부산시 영도구 영선동의 한 아파트 앞에 '구조안전 위험 시설물'이라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영도에서 가장 오래된 이 아파트에는 2가구만 남아서 살고 있다. /부산=김유진 기자

빈 집이 늘어나는 것을 체감한다는 영도구 주민들은 고령화와 일자리 문제를 빈 집의 원인으로 꼽았다. 청학동에 산다는 70대 주민은 “영도 일대는 한국전쟁 이후 피란 온 사람들이 집을 짓고 살다 보니 무허가 건물이 많다”며 “이런 곳에 살다가 세상을 떠나거나 사정이 생겨 이사를 가면 집이 비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60대 주민은 “부산을 떠나는 회사들이 계속 나오고 있어 젊은 사람들은 일자리 찾으러 올라간다”면서 “우리 집도 두 아이가 모두 서울로 갔다”고 했다.

7년째 영도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다는 40대 신영희(가명)씨는 “집이 비게 된 곳마다 사정은 각기 다르겠지만 이 동네가 워낙 어르신들이 많이 살아서 그런 것 같다”며 “청학동 쪽은 예전에는 가게가 좀 있었는데 한 2년 전부터는 코로나19를 버티지 못한 점포들이 문을 많이 닫으면서 관광객마저 끊겨 빈 집을 개발하려던 것도 멈춘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염되는 빈 집…위생 악화·미관 저해

방치된 빈 집들이 늘다 보니 영도구의 주거 환경도 열악해지고 있다. 쓰레기 불법 투기로 인한 위생 악화, 정비되지 않은 집으로 인한 도시 미관 저해 등의 문제가 대표적이다. 빈 집의 붕괴 사고가 발생하거나 범죄 발생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빈 집 주변보다는 큰 길로 많이 다닌다”고 청학동의 한 주민은 이야기했다.

지난해 12월 23일 부산 영도구 청학동의 좁은 골목길 한 편에 위치한 빈 집. /부산=김유진 기자

주거 환경이 악화되면서 주변 집값까지 떨어지는 악순환도 영도구 주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오랫동안 공인중개소를 운영했다는 김선미(가명·59세)씨는 “부모님이 돌아가셔 빈 집이 된 곳들은 자녀들이 찾아와 집을 팔아달라고 한다”며 “워낙 오래된 빈 집이 많아 리모델링이 아닌 아예 부수고 지어야 하는 경우라면 평당 300만원도 안나가는 곳도 있다”고 했다.

이어 김 씨는 “빈 집의 경우 주인들이 가격을 얼마에 내놓는다고 하지 않고, 얼마를 받을 수 있냐고 되묻는 경우가 많다”면서 “빈 집도 바다가 보이고, 길가에 가까이 있으면 그나마 거래가 될 확률이 높지만, 대부분이 워낙 구불구불한 골목에 위치한 곳이라 가격을 낮춰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에 이 동네에 빈 집이 많다는 이야기가 돌면서 다른 집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주민들이 좋아하지 않는다”고 조심스레 말했다.

빈 집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주거 인프라 개선에 투자할 유인을 떨어뜨려 지역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통상 빈 집은 군집성이 있어 빈 집 한 곳이 등장하면 인근에 빈 집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소위 말하는 깨진 유리창 이론이 여기에 적용된다. 깨진 유리창을 방치하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무질서와 범죄가 퍼지기 시작한다는 이론이다. 결국 빈 집은 지역사회 쇠퇴를 가속화시키고,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도 줄어들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또 정부나 지자체도 얼마 되지 않는 주민들을 위해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하기를 꺼리게 된다.

영도에 사는 50대 주민은 “동네를 지나는 버스는 1대뿐이고 언덕길을 한참 내려가야 시내로 가는 버스가 있다”며 “사람이 좀 살 때는 주민들이 버스 좀 늘려달라고 건의를 하기도 했지만 이제는 그런 건의를 하자는 말조차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