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전세보증료 오르는 거, 정말인가요?
이번 주 놓친 부동산 이슈, '선데이 부동산'에서 확인하세요!
1. 비싸고 전세가율 높은 빌라, HUG 보증료 할증?
2. 전셋값은 전세보증을 타고…
3.공사비 기준도 2.2% 상승…내년 분양가는?
비싸고 전세가율 높은 빌라, HUG 보증료 할증?
내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료가 오를 전망이에요. 전세사기 여파로 HUG가 집주인 대신 갚아준 전세보증금(대위변제액)이 크게 늘었기 때문인데요. 특히 빌라를 비롯해 주택의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이 높은 경우 보증료가 할증될 수 있어요.
11월 말 기준 HUG의 대위변제액은 3조6500억원에 달해요. 지난해 역대 최대치였던 3조5544억원을 이미 넘어섰어요. 하지만 회수한 채권액은 올해 7월 기준 5765억원에 불과한데요.
HUG의 순손실액은 올해 4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돼요. HUG의 보증보험 한도는 자본금에 연동돼 있는데요. 3년 연속 손실이 누적되면서 자본금이 깎여 추가 보증이 어려운 상황이에요. 즉 보증 지원을 이어 나가기 위해 손실을 줄일 방안이 필요한 건데요. 이에 '전세보증료율 개선 연구용역'을 의뢰했어요.
전세보증료율은 보증금, 주택유형 등에 따라 18개로 구간을 나눠 적용해 왔는데요. 연구용역 내용에서는 수도권 전세사고가 잦았던 5억원 구간을 추가해 24개로 보증료율을 세분화하는 방안이 제시됐다고 지난 26일 서울경제신문이 보도했어요. 부채비율(LTV) 구간도 기존 80% 이하, 80% 초과에서 70% 이하를 추가해 보증료를 할인하는 방안도 포함됐고요.
예를 들어 보증금 2억원인 빌라(부채비율 80% 이하)의 보증료는 현재 연간 29만2000원인데요. 앞으로는 46만8000원으로 할증될 수 있어요. 60% 넘게 오르는 거죠. 반면 보증금이 3억원인 아파트(보증비율 80% 이하)는 현재 36만6000원인 보증료가 25만2000원으로 31% 내려갈 수 있어요.
신규 추가되는 5억원 초과 구간 할증은 더 클 전망이에요. 수도권 내 보증금 5억2000만원인 빌라(부채비율 80% 이상)는 보증료가 80만원에서 204만원으로 155%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요.
HUG 관계자는 "빌라의 전세사고가 잦아 아무래도 빌라 보증료 할증이 늘어날 전망"이라며 "요율 현실화를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했지만, 아직 정확한 요율과 적용 시기가 정해진 것은 아니다"라고 하네요.
전셋값은 전세보증을 타고...
전세자금대출 보증 규모가 1% 늘면 전셋값이 2% 넘게 오른다고 해요. 전세자금대출 보증이 전셋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대요.
지난 24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전세자금대출 보증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세자금 대출 보증규모는 2019년 66조5232억원에서 지난해 104조8815억원으로 급증했어요.
오민준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전세자금대출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 전세시장과 주택매매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전세자금대출 보증은 주거비 완화 효과가 있지만 전세수요 증가로 전세가격 변동성이 커져 궁극적으로 전세가격을 상승시킨다"고 분석했어요.
실제 2022~2023년 전세자금대출 보증이 3.8% 증가했을 때 전국 주택 전셋값은 8.2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전세자금대출 보증이 1% 증가할 때 전세가격이 연간 2.16% 상승한다고 분석했어요.
오 위원은 "임차가구의 주거비 완화 효과가 있는 만큼 전세자금대출 공적 보증을 강화하되, 보증기관의 리스크 기반 보증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어요.
공사비 기준도 2.2% 상승…내년 분양가는?
"오늘이 제일 싸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올해 분양가는 가파르게 상승했죠. 상승의 이유 중 하나는 공사비가 급등했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내년에 공사비 기준 단가가 오르면서 분양가도 덩달아 상승할 것으로 보여요.
국토부는 지난 26일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와 표준품셈을 공고했는데요.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는 표준시장단가가 올해 5월 대비 2.2% 인상된다는 내용이 여기 담겼어요.
표준시장단가는 공사비를 산정할 때 실제 재료비와 노무비·경비 등 공종별 시공비용을 추출해 산정한 기준이에요. 물가상승률과 시간, 규모, 지역차 등을 반영해 공사 예정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기준이 되죠.
국토부가 1832개 표준시장단가 항목 중 1418개 항목에 물가변동분을 반영해 개정한 결과 5월보다 2.2%, 작년 대비 3.9% 올랐다고 밝혔어요.
건설공사 일반·보편 공종에서 단위작업당 필요한 투입 인력과 장비 등을 수치화한 표준품셈도 시공 빈도 증감, 산업안전기준 강화 등 변화를 반영해 1438개 항목 중 357개 항목을 개정했어요.
이번 개정은 2020년 기준 4년 만에 30% 넘게 급등한 공사비를 표준시장단가 등 기준이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반영됐어요. 공사비 분쟁으로 공사가 멈추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준을 보다 세분화해 비용을 현실화했는데요.
공사비 기준이 올라간 만큼 내년 공사비는 더 오를 테고, 이에 따라 분양가도 상승하겠네요. 참고로 HUG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전국 1㎡당 평균 분양가는 지난 11월 기준(이를 포함한 직전 12개월 평균) 577만1000원으로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어요.
김미리내 (pannil@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