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29% 오를 때 코스피 8%↓…‘韓 최악 성적표’
2024년 中 상하이·日 닛케이 두 자릿수 상승
2.4% 내린 印尼 IDX와 더불어 ‘마이너스’
시총 1위 삼성전자 부진?정치 불안 겹쳐
대만과 시총 격차 1352조원으로 벌어져
“상장사 절반 무위험수익률 달성 못 해
주주환원 확대·기업 체질개선이 타개책”
인적 분할 시 자사주에 신주 배정 금지
올해 아시아 주요국 증시 중에서 코스피의 하락세만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의 부진 및 연말에 돌출된 윤석열정부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그에 따른 정치적 혼란 사태가 고스란히 영향을 끼쳤다.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현상)’도 코스피 부진의 한 요소다.
코스피의 ‘나 홀로 부진’은 시야를 넓히게 되면 더욱 또렷해진다.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하는 아시아태평양 주가지수 87개를 봐도 코스피의 올해 성적은 76위에 그친다. 심지어 ‘꼴찌’인 87위는 올해 21.62%나 급락한 코스닥이다.
삼성전자의 하락도 영향을 끼쳤지만, 윤석열정부가 추진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한국거래소가 지난 9월30일 발표한 ‘코리아 밸류업지수’는 23일 종가 기준 -3.11%의 하락 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의 -5.83%보다는 나은 수치지만 적자를 면치 못했다. 미국 CNBC는 최근 보도에서 올해 한국 정부의 밸류업 정책이 주가 부양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공약과 비상계엄 등 국내 정치적 혼란으로 불확실성이 더해진 상태라고 지적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의결, 3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상장법인의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신주배정을 할 수 없게 된다. 지금까지는 회사 지배주주가 자사주의 신주배정을 통해 인적분할로 새로 만든 회사에서도 손쉽게 지배권을 강화할 수 있어 이른바 ‘자사주 마법’이 이뤄졌다는 비판이 제기되어왔다. 금융위는 금지조치로 인해 자사주가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 수단으로 오용되지 않고 주주가치 제고라는 본래의 취지대로 운용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자는 다르네”…1000억 재산 서장훈, 이상민 재혼에 건넨 통 큰 축의금 액수
- "'이것' 안 하면 에어컨에 곰팡이 범벅 됩니다"
- 금수저는 다르네…‘장수막걸리 주주’ 로이킴, 세트장 같은 럭셔리 하우스
- “한국도 확진자 나왔다”…치료제 없는 ‘이 병’, 중국선 벌써 5000명 감염
- 진태현, 갑상선암 수술 이어 또 수술 받았다…이번엔 무슨 일?
- “90평에 살면 뭐해…내 인생은 망했어” 김지혜·박준형 ‘부부 예약제’ 뭐길래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장동민, 제 발로 수십억 돈방석 걷어찬 이유…‘대단한 나라 사랑’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