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막혀도 어쩔 수 없어"…다시 점점 좁아진 일본 집

정다슬 2024. 12. 23. 14: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의 주택이 2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2023년 주택 하나당 연장면적(건축물의 각 층의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은 약 92㎡로 정점에 달했던 2003년보다 약 3㎡ 줄어들었다.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약 50㎡로 일본 정부가 '윤택한 생활'을 목표로 정한 도심부 성인의 주거면적 55㎡보다도 밑돌았다.

후찌노우에 히로카즈 콘도미니엄·애셋 매니지먼트 주식회사 대표는 주택면적의 축소가 젊은 층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쳐 저출산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균 92㎡…2003년 대비 3㎡ 줄어들어
공동주택은 50㎡ 수준
공동주택은 삶의질을 위한 최저기준선에도 못미쳐
높아진 건축비·땅값 반영 어려워 주택면적 축소로 대응
젊은 층에 직격탄…"출산·결혼에 영향"
크레용 신짱에 나오는 짱구네 집. 부지에 목조건물을 올려서 사는 단독주택은 그동안 일본사람들의 전형적인 주거 형태 중 하나였으나 최근 들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일본의 주택이 2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2023년 주택 하나당 연장면적(건축물의 각 층의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은 약 92㎡로 정점에 달했던 2003년보다 약 3㎡ 줄어들었다. 건축비용이 오르면서 공급 면적을 줄여 가격 상승을 억제한 ‘스텔스 가격 인상’이 원인이라고 한다. 생활하기에 적절한 크기의 주택 공급이 어려워지면 젊은이들의 결혼이나 출산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본 총무성은 총무성이 5년에 1번 발표하는 ‘주택·토지통계조사’에서 단독주택, 분양맨션, 임대아파트 등 모든 주거 형태에서 2018년보다 주택 크기가 감소했다고 23일 발표했다.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약 50㎡로 일본 정부가 ‘윤택한 생활’을 목표로 정한 도심부 성인의 주거면적 55㎡보다도 밑돌았다.

도시 내 임대주택에 사는 50대 회사원 여성은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숨이 막히지만 어쩔 수가 없다”고 호소했다. 이 여성은 부부 둘이서 약 30㎡ 정도의 집에 살고 있다고 한다. 이사도 고려했지만, 높은 주거비용으로 단념했다.

국토교통성 주택착공통계를 바탕으로 추정하면 2024년 들어 일본의 집 크기는 더욱 줄어들고 있다. 마츠다 타다시 부동산경제연구소 주임연구원은 “주택이 좁아지는 최대 요인은 비용 흡수”라고 지적했다. 물론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주택 면적이 줄어드는 경향도 있지만, 1인 가구조차도 수납 공간 부족 등을 느끼고 있는 상황. 마츠다 연구원은 “공급자의 사정으로 좁아진 면적을 개인이 감수하고 있는 측면이 강하다”라고 지적했다.

반면 건설공사비는 크게 상승하고 있다. 국토교통성의 건설공사비 디플레이터(주택 종합)는 기준이 되는 2015년과 비교해 30% 비싸졌다. 여기에 사람들이 선호하는 거주지역은 땅값도 상승하고 있다.

다카하시 마사유키 도쿄칸테이 상석주임연구원은 “상승한 비용을 그대로 가격에 전가할 경우, 수요가 따라오지 못하다”며 “공급면적을 축소해 액면가를 낮추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주거문화의 변화 역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지를 사서 그 위에 자신만을 위한 넓은 단독 주택을 세우는 주문주택 신규착공건수는 2024년 9월까지 3년 연속 감소했다. 주문주택을 세울 만한 자금력을 가진 계층이 늘어나지 않는 가운데, 부유층은 교외의 단독주택보다 도심의 맨션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문제는 자금력이 없는 젊은 층이다. 후찌노우에 히로카즈 콘도미니엄·애셋 매니지먼트 주식회사 대표는 주택면적의 축소가 젊은 층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쳐 저출산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도경제성장기에도 주택가격이 상승했으나, 임금이 오르며 더 큰 집에 사려는 소비층이 늘어났다”며 “현재를 타파할 핵심 열쇠는 실질임금의 안정적인 상승”이라고 말했다.

정다슬 (yamy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