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가 달라졌나요? 8년 전 '박근혜 탄핵' 경험한 청년세대의 질문

홍승주 기자 2024. 12. 22. 09: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커버스토리 視리즈
다시 열린 탄핵의 문 : 2부 5편
탄핵정국 속 민심 청년의 비명
취업난ㆍ고물가 이중고 겪어
무료 공간 청년센터 ‘불편한 인기’
커피 한잔 가격 아끼려 발품 팔아
탄핵정국에 혼란의 늪 빠지기도
비상계엄 이후 희망 잃은 청년들
청년 정책 2.0 논의해야 할 시기

취업난ㆍ고물가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청년들. 그래서인지 무료로 취업 준비를 할 수 있는 공간인 청년센터가 조금은 '불편한 인기'를 끌고 있다. 커피 한잔 가격을 아끼기 위해 발품을 팔아 무료 공간을 이용하는 청년들은 혼란스러운 탄핵 정국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8년 전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경험했던 지금의 청년 세대는 한국 사회에 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다. [사진 | 뉴시스]

청년들의 취업문이 좁아지고 있다. 경기 침체 여파로 기업들이 줄줄이 채용을 줄이고 있어서다. 이젠 주유소ㆍ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하는 것도 쉽지 않다. 재취업에 나선 50ㆍ60대와 경쟁해야 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3000명(0.4%) 증가했다. 하지만 20대 이하 취업자는 366만8000명으로 1년 전(384만8000명) 대비 18만명 줄었다. 20대 이하 취업자의 감소세(전년 동월 대비)는 2022년 11월 이후 2년 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 대비 29만8000명 늘었다. 청년층의 취업 기회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인지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금전적인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도 많다. 일례로 서민 금융상품인 소액생계비대출의 연체율은 29.7%인데, 청년층의 연체율이 눈에 띄게 높다. 20대와 30대의 연체율이 각각 36.2%, 32.4%에 달했다. 소액 대출조차 갚지 못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이라는 뜻이다.

백승훈 청년지갑트레이닝 센터장은 "경제 위기 때는 사회에서 가장 약한 부분이 타격을 받는다"며 "사회에서 약한 고리 중 하나인 청년이 처한 어려움이 숫자로 드러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측면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청년센터'를 찾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고 있는 건 역설적 현상이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청년센터 이용자는 급속도로 늘고 있다. 서울광역청년센터에 따르면 서울광역청년센터와 서울청년센터 15곳의 총 이용자는 2021년 3만4040명에서 2024년 11월 84만179명(누적)으로 가파르게 늘어났다. 청년센터의 환경ㆍ서비스 등이 좋은 것도 있지만 청년들의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그곳의 분위기는 어떨까. "돈이 금세 사라져요. 고물가의 무서움을 확 체감하는 요즘이에요. 카페에 가면 커피 한잔도 부담스러워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이곳에 와서 공부해요." 16일 오후 1시. 서울 관악구에 있는 '서울청년센터 관악 청년문화공간 신림동 쓰리룸'에서 만난 한 청년은 이렇게 이야기했다.

청년센터 입구에 놓여 있는 방명록에는 센터 이용자의 이름, 사는 곳, 사용 이유를 적어 놨다. 이유 칸에는 '공부' '스터디', 심지어 '수면'까지 다양하게 적혀 있다. 안으로 들어가자 한쪽에는 자유롭게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나무 책상과 의자가 늘어서 있는 카페 같은 공간이 있고, 한쪽에는 수업을 할 수 있는 넓은 공간에 소파가 놓여 있다.

공간을 꽉 채운 청년들은 그곳에서 자기소개서를 쓰고 학과 공부를 한다.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에선 연극 대본을 소리 내 읽는 친구들도 있다. 벽에는 청년세대를 위한 정책 포스터가 빼곡하게 붙어 있고, 한편에는 무료나눔하고 있는 반려식물들이 줄지어 있다.

센터에서 자소서를 쓰고 있던 신지훈(27)씨는 "카페는 음료를 사야 이용할 수 있는데, 이곳은 무료로 공간을 쓸 수 있어서 일주일에 2~3번 방문한다"며 "물가가 너무 비싸서 음료 한잔도 부담스럽다"고 이곳을 이용하는 이유를 말했다.

연극 대본 연습을 하고 있던 윤현정(24)씨도 "사설 연습실을 빌리려면 1시간에 8000원가량 든다"며 "너무 비싸서 단원들과 함께 무료로 개방된 공간을 찾아 돌아다니고 있다"고 털어놨다. 취업 준비생 김정후(30)씨는 "민간 도서관을 월 15만원을 지급하고 사용하고 있었는데, 고물가 시대에 돈을 한푼이라도 아끼느라 이곳으로 오고 있다"고 토로했다.

오후 3시 찾은 '서울청년센터 영등포'도 상황은 비슷했다. 종이와 노트북을 보며 집중하고 있는 청년들로 빈자리가 보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청년센터를 이용하는 청년들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강민경(25)씨는 "윤석열 정권 들어서 교사 선발인원(TO)이 줄어든 것이 가장 고민"이라고 했다.

지인들과 면접스터디를 하고 있는 간호학과 4학년 김유림(24)씨도 취업문이 좁아진 것을 실감하고 있다. 유림씨는 "원래 병원에선 5월부터 채용공고가 나오는데, 올해는 그보다 늦은 9월에야 뜨기 시작했고 뽑는 인원도 줄었다"면서 한숨 섞인 말을 이어갔다. "아예 채용공고를 하지 않은 병원도 있어서 취업문이 더 좁아졌어요. 서류 전형에라도 합격하려면 스펙을 더 많이 쌓아야 해서 여간 힘든 게 아니에요."

올해 1월부터 마케팅 분야로 취업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송예나(가명ㆍ25)씨도 비슷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문과 직무는 정말로 신입을 뽑지 않는 것 같아요. 취업 준비하는 친구들도 정규로 입사하는 경우보다 비정규직으로 입사하는 케이스가 더 많을 정도죠. 버는 게 없는데 물가는 계속 오르니 뭘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에요." 문제는 이런 상황을 청년들 스스로 돌파할 수 없다는 점이다.

몇몇 기성세대는 "우리도 힘들었다"고 말하지만 그렇지 않다. 지금 청년들만큼 고환율ㆍ고물가ㆍ장기침체에 시달린 세대는 찾아보기 힘들다. 커다란 변화가 있지 않는 한, 결혼을 하는 것도 어렵고, 집을 사는 것도 불가능하다. 세계 곳곳에서 진행 중인 전쟁, 이상기후로 인한 인플레이션 등 대외 변수들도 위험하기만 하다.

이럴 때 정부라도 '똑똑한 정책'을 펼치면 위안이라도 받겠지만, 그렇지도 않다. 12ㆍ3 내란 사태 이후 대통령의 직무는 정지됐고, 정국은 혼란의 늪에 빠졌다.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그래서인지 12ㆍ3 사태 이후 펼쳐진 탄핵정국을 바라보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지 못하는 청년들도 숱하다. 예나씨는 "안 그래도 좋지 않은 내수경제가 침체할 것 같다"며 "취업문이 더 좁아질 것이란 생각이 드니 어떻게 답을 찾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청년들이 '서울청년센터 관악'에서 연극 연습을 하고 있다.[사진 | 더스쿠프 포토]

교사를 준비하고 있는 임규찬(23)씨는 "초등학교 교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국가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민주주의를 뒤엎는 이 사태를 아이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벌써부터 고민이 많이 된다"며 말했다.

김승길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는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은 혼란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말을 이었다. "지금 청년층은 청소년기에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경험한 세대에요. 그런데 이들에게 '그 이후 달라진 게 있느냐'고 물으면 십중팔구 고개를 절레절레 흔듭니다. '세상은 더 나아질 것인가'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이들이 그만큼 늘어났다는 겁니다. 12ㆍ3 비상계엄 후엔 시민들의 연대성을 경험한 이들도 있지만 반대로 희망을 잃어버린 친구들도 적지 않습니다. 정치권은 민생을 뒷전으로 밀어둔 채 정쟁이나 벌이고 있으니, 청년층이 느끼는 박탈감은 더 심할 겁니다. 어떻게 하면 청년들의 목소리가 정치에 닿을 수 있을까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봅니다."

최영준 연세대(행정학) 교수는 "지금까지 해온 청년 정책들의 공과 과를 정리한 후, 새롭고 포괄적인 청년 정책 2.0을 논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논의를 해야 할 정치권은 오늘도 '정쟁'을 벌이느라 바쁘다. 청년들은 언제쯤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

홍승주 더스쿠프 기자
hongsam@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