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 100년에 한 번 올까말까 한 기회...이석우 두나무 대표

김현지 2024. 12. 20. 13: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콩의 금융기관들이 흩어진 지금이 기회 될 수 있어
우리나라는 가상자산 규제는 일찍이 도입됐으나 진흥책 없어
미국과 유럽, 일본 등은 이미 가상자산 국가적 전략 보유해
디지털 열망 있는 우리 국민성은 글로벌 경쟁력 될 것
20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디지털경제 3.0포럼에서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기조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백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기회가 왔습니다. 5년 뒤, 10년 뒤에 세계 금융의 중심지는 월스트리트가 아닌 서울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드리며 마치겠습니다”
디지털 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의장을 맡은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는 20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디지털경제 3.0포럼 기조연설을 이같이 끝맺었다.

이 대표는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과 열망은 높은 반면, 제도적 미비로 인해 산업의 글로벌적 도약에 난항을 겪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기존 가상자산 관련 법안의 규제적·추상적 성격에서 벗어나 세부적·종합적 입법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이 대표는 “절박한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 엄중한 시국이고 당장 해결해야 하는 정치적 현안이 많지만, 그에 못지않게 대한민국의 미래를 누군가는 걱정해야 한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가상자산과 관련해) 블록체인 등의 기술은 어디까지나 수단인데, 그 수단을 가지고 무엇을 할지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며 “제가 감히 말씀드리는 하나의 가능성은, 우리가 지금부터 노력해서 5년 뒤, 10년 뒷면 세계 금융시장의 허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가상자산 관련 규제적 법안은 일찍이 시행된 반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종합 법안의 제정은 불투명한 상태임에 아쉬움을 표했다. 이 대표는 “오늘 현재 이 세상의 모든 가상자산의 가치를 합하면 3조달러가 넘는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기관이 투자를 못하고, 100% 개미들의 시장이다”라며 “우리나라는 자금세탁방지법 등 규제를 위한 법안을 발빠르게 만들었으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종합적 법안이 마련이 안 된 상태”라고 꼬집었다.

이 대표는 “법을 만들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용어의) 정의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가상자산에 대한 법적인 정의가 없다”며 “현재 1만 가지가 넘는 코인이 있고, 증권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코인들과 결제용 스테이블 코인은 다르게 규제해야 하는데 전부 다 같은 코인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가상자산과 관련한 국가적 전략이 부재함을 화두에 올렸다. 이 대표는 “미국은 테더 등의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위해서는 실제 미국 달러나 채권을 보유하도록 함으로써 달러가치를 유지하면서 통화량은 늘리는 국제 금융 전략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역시 웹 3.0을 강조하며 가상자산을 서비스적으로 이용하겠다는 국가적 전략이 있다”며 “불행하게도 우리는 그런 전략이 없다. ‘제발 사고만 나지 마’라는 것이 2017년 이후로 달라진 게 없는 전략이다”라고 토로했다.

이 대표는 “현재 130조라는 어마어마한 자산이 해외에 나가 있다고 신고가 된 상태"라며 "신고를 하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200조가 넘을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큰 규모의 자금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이야기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기관도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만으로 어마어마한 거래량을 내는 것은 우리 국민이 가진 디지털에 대한 열망 때문이라 생각한다”며 “온라인 게임 ‘리니지’의 '집행검'이라는 아이템을 10억을 주고 거래하는 우리나라의 젊은 세대들은 디지털의 무형적 가치를 체험적으로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국민성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가상자산 금융산업에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이전에는 글로벌 금융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기관을 들여와야 하고, 종사자들의 거주환경 등 인프라를 마련해야 했으나 디지털 자산은 그렇지 않다"며 "글로벌 고객들을 온라인을 통해 받아서 우리 거래소에서 거래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가 입장에서는 세수도 늘어나고, 여러 연관 산업이 등장할 것"이라며 "자금세탁방지 이슈, 고객확인 등의 시스템만 마련된다면 불가능한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localplace@fnnews.com 김현지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