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국회 출동 수방사령관 “윤석열이 ‘왜 못 끌어내냐’고 화냈다”
12·3 비상계엄 사태로 체포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검찰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이 가까워오자 ‘왜 그걸 못 끌어내냐’고 화를 냈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를 막지 않았다는 윤 대통령의 주장과 반대되는 증언이 군 지휘부의 입에서 연이어 나왔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14일 이 전 사령관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진술을 확보했다. 국회를 해산하거나 권한 행사를 방해하려 했는지는 윤 대통령의 내란죄 성립 여부를 가리는 핵심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 3일 오후 10시27분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이 전 사령관은 1경비단 35특수임무대대와 군사경찰단을 국회에 투입했다. 국회는 4일 오전 1시2분 계엄 해제를 의결했다.
이 전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국회 현장에서 윤 대통령으로부터 수차례 전화를 받았고 마지막 2차례 통화에선 ‘끌어내라’는 지시를 들었다”며 “계엄 해제 표결이 가까워오자 윤 대통령이 마지막으로 전화해 ‘왜 그걸 못 끌어내냐’고 언성을 높이며 화를 냈다”고 진술했다. 이 전 사령관은 지난 6일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의 면담에선 “윤 대통령이 4일 0시쯤 상황을 물어서 ‘굉장히 복잡해 우리 인원이 이동할 수도 없다’고 답하자 가만히 들어보시다가 ‘알겠다’고 전화를 끊으셨다”고 증언했다.
이 전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나는 서울을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임무 책임자인데 윤 대통령의 ‘끌어내라’는 지시가 너무나 당황스러웠고 마음이 안 좋았다. 대통령 지시여서 전달하지 않을 수는 없었지만 부하가 ‘안 된다’고 했고, 저도 ‘알겠다’고 하고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방첩사가 국회의원을 체포할 계획이었고 수방사가 내부 B1 벙커에 구금 시설을 준비했다는 의혹에 대해 이 전 사령관은 “정신이상자 등을 수용하는 시설이 있다는 건 알았지만 계엄 계획 자체를 사전에 몰랐다”고 진술했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은 지난 10일 국회에서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이 ‘B1 벙커에 체포한 국회의원들을 구금할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이 전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계엄 당시 수방사 병력보다 먼저 국회 현장에 도착해보니 경찰과 시민들이 뒤엉켜 위험한 상황이었다”며 “부하에게 ‘국회 경내에 무장화기를 갖고 들어가지 말라. 사고 위험이 있으니 장갑차도 내보내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이 군 지휘부에게 직접 전화해 국회의 계엄 해제 표결을 막으라고 압박했다는 증언은 이어지고 있다.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도 지난 10일 국회에서 “윤 대통령이 직접 비화폰(보안전화)으로 전화해 ‘(계엄 해제가 가능한) 의결정족수가 아직 다 안 채워진 것 같다.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이창준 기자 jchang@kyunghyang.com, 허진무 기자 imagin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글썽인 권성동 “인간이 해선 안 될 일이지만···‘비상계엄 특검법’ 당론 발의키로”
- 이준석, 윤석열 동기 죽음 언급하며 “본인도 강압수사 했지 않나”
- 고교 졸업식서 음주 추태…홍성표 아산시의회 의장 자진사퇴
- 조용한 한동훈, ‘1말2초’ 복귀?···윤석열 구속이 기점될 듯
- 김경진 전 의원 “윤 대통령 묵비권, 구속영장 발부에 유리하지 않아”
- 김용원, 동료 인권위원에게 “좌파 조직원이거나 하수인” 폭언···‘계엄 비호’도
- [뉴스토랑]고효율 끝판왕 ‘로테이션 소개팅’…10분씩 16명 만남
- “잘못 베낀 포고령” 윤석열 주장에···김용현 측 “착오 없는 정당한 포고령”
- [속보] 국회 측 “윤석열 매우 위험···복귀하면 어떤 일할지 예측 안돼”
- ‘윤석열 지연전략’에 복잡해진 수사 스케쥴···공수처는 ‘구속영장’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