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근육질 참치, 투명 망토 멸치…놀라운 바닷속

임근호 2024. 12. 13. 17: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다의 천재들
빌 프랑수아 지음 / 이충호 옮김
해나무 / 352쪽|2만2000원
물리학자가 감탄한 바다 생물들
모든 각도서 빛 반사하는 멸치
떼 지어가도 눈에 잘 안 보여
두 시간 무호흡하는 향유고래
혈액·근육에 막대한 산소 저장
해나무 제공

‘참치’라고도 불리는 다랑어는 먹을 부분이 많다. 온몸이 근육이다. 내장이 든 복강은 최소한의 공간만 차지한다. 이유가 있다. 다랑어는 늘 쉬지 않고 헤엄쳐야 한다. 잠잘 때도 마찬가지다. 그러지 않으면 물속으로 가라앉아 익사하고 만다. 다른 물고기와 달리 아가미를 적극적으로 퍼덕일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숨을 쉬려면 입을 벌린 채 빨리 헤엄쳐 물이 아가미를 지나가게 해야 한다.

젊은 다랑어는 매일 자기 몸무게와 맞먹는 먹이를 먹고, 매년 몸무게가 두 배씩 불어난다. 그래서 다랑어는 인간에게 맛도 좋고, 먹을 부분도 많은 최고의 식량 자원이 됐다. 참치회로 쓰이는 참다랑어는 어찌나 많이 먹는지 현재 멸종 위기에까지 처했다.

<바다의 천재들>은 다랑어살만큼이나 내용이 알찬 책이다. 생물물리학자인 빌 프랑수아가 쓰고, 일러스트레이터인 발랑틴 플레시가 그림을 그렸다. 물리학자의 시선으로 바다 생물의 경이로운 능력을 탐색하는 책이다.

바다의 천재들 빌 프랑수아 지음 이충호 옮김 해나무 352쪽|2만2000원

멸치는 식탁에 자주 올라오는 생선이다. 바다에서 보는 것은 쉽지 않다. 크기가 작아서가 아니다. 수천 마리의 멸치 떼가 앞에서 지나가도 알아차리기 어렵다. 일종의 투명 망토를 쓰고 있기 때문이다. 얇은 은빛 층이 온몸을 뒤덮고 있어 멸치의 피부는 반짝인다. 그 덕분에 주변 바다의 색을 똑같이 띠면서 시야에서 사라진다. 멸치를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이유는 멸치 떼가 있을 만한 곳에 그물을 쳐놓았기 때문이다. 눈으로 보고 잡는 것은 아니다.

과학자들은 멸치의 은빛 층에 반사성이 아주 뛰어난 구아닌 결정이 여기저기 많이 박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아주 작은 거울 역할을 해 어느 각도에서 보든 빛을 균일하게 반사한다. 투명 망토로 쓰일 수 있는 완벽한 거울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이 멸치에 주목하고 있다.

향유고래도 과학자들이 탄성을 자아내는 바다 생물이다. 몸길이가 11~16m에 이르는 향유고래는 거의 유일한 먹이인 대왕오징어를 잡으러 수심 400m까지 내려간다. 이곳의 수압은 피아노를 새끼손톱 위에 내려놓는 것과 맞먹을 만큼 강하다. 최대 2250m까지 잠수하는 향유고래가 목격된 적도 있다. 우리가 물속에 머리를 집어넣을 때 맨 먼저 반사적으로 하는 행위는 폐에 공기를 가득 채우기 위해 숨을 깊게 들이쉬는 것이다. 그런데 향유고래는 정반대의 행동을 한다. 깊이 잠수할 때 폐에 공기를 담고 있으면 위험하기 때문이다.

두 시간 이상 무호흡 잠수하는 향유고래는 폐에서 공기를 빼내면서 혈액의 헤모글로빈과 근육의 미오글로빈에 막대한 양의 산소를 저장한다. 쓸데없는 일에 산소를 낭비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향유고래는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하고, 혈액은 사냥에 꼭 필요한 뇌와 근육에만 보낸다.

아주 작은 채식성 새우인 크릴과 거대한 몸집의 고래는 기후 위기의 주범인 탄소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바다 수면에 녹아들고,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유기 물질로 바꾼다. 크릴은 바로 이 식물 플랑크톤을 섭취하면서 이산화탄소 일부를 몸속에 고정한다.

크릴이 탈피하며 떨어져나온 껍데기나 배출한 배설물이 깊은 바다 밑에 쌓여 머물게 된다. 이 작은 생물이 지구 환경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겠냐 싶겠지만, 그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남극해에서만 약 2300만t의 탄소를 처리한다. 한편 고래는 매일 6t 이상의 크릴을 먹어 치워 이산화탄소를 자신의 몸에 고정한다. 나중에 고래가 죽으면 탄소는 고래 사체와 함께 바닷속으로 가라앉는다.

영원히 젊음을 유지하는 바닷가재, 노화를 역전시키는 해파리, 몸 전체에서 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어, 자기 껍데기에 논리 규칙을 무늬로 새긴 나사조개, 한 번도 땅을 딛지 않고 세계를 일주하는 앨버트로스 등 바다 생물의 경이로움은 끝이 없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바다를 들여다본다는 것은 또 다른 행성을 방문하는 것과 같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