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지휘자 최재혁 “현대음악은 낯선 음식···도전에는 두려움과 설렘이 공존”
공연이 시작하자 스포트라이트가 객석 복도를 비췄다. 빨간 양복을 입은 피에로가 트롬본을 불면서 무대로 향했다. 이탈리아 작곡가 루치아노 베리오(1925~2003)의 신경질적이면서도 우스꽝스러운, 울음 같기도 음악 같기도 한 ‘트럼본 독주를 위한 시퀜자Ⅴ’가 연주됐다.
이상한 공연은 이어졌다. 알렉산더 슈베르트(45)의 ‘심각한 미소’에서는 지휘자, 피아니스트, 첼리스트, 퍼커셔니스트가 손목에 센서를 부착했다. 이들의 움직임은 기묘한 전자음으로 변환돼 악기 소리와 뒤섞였다. 다음 곡으론 모차르트의 ‘세레나데 10번’이 머리 뒤쪽 허공에서 울려 퍼졌다. 무대 위가 아니라 관객을 받지 않은 2층 객석에서 연주했기 때문이다.
지난 3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BBC 프롬스 코리아의 일환으로 열린 앙상블블랭크 공연 풍경이다. 2017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 작곡 부문 역대 최연소 1위, 2024 부쿠레슈티 국제 지휘 콩쿠르 3위를 차지한 지휘자·작곡가 최재혁(30)이 줄리어드 음악원 동문으로 구성된 앙상블블랭크의 음악감독이다. 이날 공연에서는 제네바 콩쿠르 우승곡인 클라리넷 협주곡 ‘녹턴 Ⅲ’도 콩쿠르 이후 7년 만에 처음 연주됐다. 공연을 앞두고 롯데콘서트홀에서 만난 최재혁은 “클래식 공연에 처음 오는 분과 전문가가 같은 입장으로 들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공연은 최재혁의 의도대로, 모두가 ‘블랭크’(공백) 상태로 볼 수밖에 없었다.
최재혁은 자신의 음악관을 부드럽게 설명했지만, 뜻에는 뼈가 있었다. ‘녹턴 Ⅲ’만 해도 흔히 ‘야상곡’이라 번역될 때의 서정성과 거리가 멀었다. 쇼팽의 녹턴이 달빛 아래 고요한 숲의 정경 같다면, 최재혁의 녹턴은 별사건이 다 벌어지는 대도시 풍경이었다. 최재혁은 “작곡할 때 반항감이 좀 있던 시기였다. 녹턴은 쇼팽이 독점하고 있는 것 같아서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며 “당시 뉴욕에 살아서 뉴욕의 밤에 대해 쓸 수 있겠다 생각했다”고 말했다.
최재혁은 “아름다움은 객관적이지 않다”고 믿는다.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의 음악이 객관적이지 않다고?
“어렸을 때는 바흐 음악이 지루했어요. 차이코프스키 음악은 금관이 너무 많아 시끄러웠고요. 전 무엇이든 ‘느낀다’는 건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거부감이든, 고통이든 그것도 좋은 감상평이거든요. 어떤 음악에 거부감을 느낀다고 해서 그 음악이나 내 귀가 나쁘다는 뜻은 아니죠. 처음엔 안 좋게 들려도 이후에 음악이 궁금해질 수도 있잖아요. 식당에서 매일 같은 메뉴를 먹을 수 있고, 새로운 식당에 가서 알지 못하는 맛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혹시 맛없고 속이 안 좋아질 수도 있지만, 그런 도전에는 두려움과 설렘이 있습니다. 현대음악 공연장에도 같은 마음으로 오시면 좋겠습니다.”
초등학교 시절 바이올린으로 음악을 시작한 최재혁은 연주보다 악보에 관심이 있었다. 모차르트 음악의 도미솔을 솔미도로 바꾸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했고, 이런 곡을 지휘하는 사람이 멋있어 보였다. 초등학교 6학년 때 뉴질랜드에 홈스테이를 갔다가 음악 하는 형을 만나 ‘총보’라는 것이 있다는 걸 알았다. 귀국해서는 광화문 교보문고 음악 코너에 가서 틈틈이 총보를 들여다봤다.
그는 작곡가는 불안을 견디는 직업이라고 말했다. 악보에 적어 넣은 음표가 어떻게 구현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최재혁은 “연주자의 테크닉은 손가락에 있고, 작곡가의 테크닉은 상상력에 있다”며 “실제 소리와 상상력의 싱크로율을 높이는 게 작곡의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다뤄보지 않은 악기의 소리를 알기 위해 ‘연주자 친구’들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음에 대한 상상의 지평을 넓힌다. 과거의 클래식 작곡가들은 조성에 기대 음악의 구조를 짰지만, 조성이 파괴된 이후의 현대음악 작곡가들은 고민이 더 많다. 그는 “지금은 개인화된 음악의 시대”라며 “하나의 음 다음에 어떤 음이 와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쓰는 시간은 긴데 음표는 덜 적힌다”고 설명했다.
사이먼 래틀, 페테르 외트뵈시, 파보 예르비 옆에서 지휘를 배웠다. “상반된 가르침이 많았다. 정답이 있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양한 관점은 혼란이라기보다는, 장난감 가게에서 이런저런 장난감을 갖고 놀듯 재미있는 경험이 됐다”고 최재혁은 말했다. 가장 많이 배운 사람을 꼽자면 예르비다. 리허설 도중 짧은 휴식 시간에도 최재혁을 불러 ‘내가 한 걸 봤느냐. 넌 어떻게 생각하느냐. 물론 다르게 해도 된다’고 말했다. 예르비는 고전을 해석하는 태도에 대해서도 인상적인 조언을 했다고 한다. 300~400년 전 작곡가가 남긴 악보는 후대의 지휘자에게 ‘바이블’처럼 여겨지지만, 예르비는 “슈만이 이 곡을 썼을 때 고작 20대 후반, 30대 초반이었다. 내 나이가 지금 60이다. 작곡가를 신격화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슈만의 시대와 지금 시대 사람들이 경험하는 시간의 속도는 다르다”는 식으로 조언하곤 했다.
최재혁은 “음악을 들을 때 나오는 아드레날린, 신과 소통한다는 느낌은 다른 어떤 즐거움과도 비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휘냐, 작곡이냐’고 짓궂게 묻자, “내년에 말씀드리겠다”며 답을 피했다.
백승찬 선임기자 myungworr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 서는데 장돌뱅이가 안 가느냐”…조기 대선 출마 공식화한 홍준표
- ‘계엄 특수’ 누리는 극우 유튜버들…‘슈퍼챗’ 주간 수입 1위 하기도
- “비겁한 당론은 안 따라”···김상욱·김예지·조경태·한지아, 헌법재판관 선출안 표결 참여
- 오세훈, 윤석열 탄핵·수사지연 “옳지 않다”…한덕수에 “당당하려면 헌법재판관 임명”
- [Q&A]“야당 경고용” “2시간짜리” “폭동 없었다” 해도···탄핵·처벌 가능하다
- [단독]김용현, 계엄 당일 여인형에 “정치인 체포, 경찰과 협조하라” 지시
- 혁신당 “한덕수 처, ‘무속 사랑’ 김건희와 유사”
- 병무청, ‘사회복무요원 부실 복무’ 의혹 송민호 경찰에 수사 의뢰
- ‘믿는 자’ 기훈, ‘의심하는’ 프론트맨의 정면대결…진짜 적은 누구인가 묻는 ‘오징어 게임
- 박주민 “어젯밤 한덕수와 통화···헌법재판관 임명, 고민하고 있다고 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