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빠지게 일해도 가난하다”...韓 노인 경제활동 OECD 2위, 소득은 처참
노인 소득·건강상태·의료비 등
종합 대응 수준 38개국 중 25위
행복도는 32위로 최하위 수준
초고령사회 시대 코앞인 한국
연금 제도·일자리 개혁 시급
11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매일경제신문은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고령사회 대응 진단과 과제’를 주제로 제6차 인구전략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한국사회과학협의회도 함께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고령사회 대응 지표’가 첫선을 보였다. 국가별 고령사회 대응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다. 해당 지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 의뢰를 받아 개발했다.
보사연은 고령사회 대응에 대한 국제 비교를 위해 총 66개 지표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10개 지표로 압축해 평가 기준으로 제시했다. △고령자 평균 소득 △경제활동 참여율 △건강 상태 △돌봄 보장성 △국내총생산(GDP) 대비 의료비 △자원봉사 참여율 △정보화 수준 △시간당 노동생산성 △노인 행복 △GDP 대비 노령 복지 지출 등이다.
매일경제가 보사연의 지표 분석을 종합한 결과 한국의 고령사회 대응 수준은 OECD 38개국 가운데 25위로 파악됐다. 한국을 비롯해 주요국의 고령사회 대응 수준을 객관적 지표를 통해 평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한국은 고령자의 평균 소득(37위), GDP 대비 노령 복지 지출(35위), 노인 행복(32위)에서 OECD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율(2위), 정보화 수준(7위), 돌봄 보장성(12위)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경제활동 참여율은 매우 높은데 소득은 최하위 수준이라는 대목은 국내 고령층 일자리의 열악한 현실을 보여준다. 임금 수준이 매우 낮다는 방증이기 때문이다.
연구를 진행한 이윤경 보사연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은 60세 이후 일자리의 질이 낮고 고령 친화적 노동 환경이 부족하다”면서 “고령자에게 좋은 일자리 제공을 늘려 소득을 보충하고 미래 지속가능한 연금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1월 기준 고령인구 비율이 19.9%로, 이르면 이달 20%를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국가는 일본, 이탈리아, 포르투갈, 핀란드, 그리스, 독일, 프랑스, 덴마크, 스웨덴, 스페인,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슬로베니아 등 19개국이다. 한국은 20번째 초고령사회 국가가 될 전망이다.
문제는 고령화 속도다. 현재 고령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으로 29.8%다. 한국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다. 하지만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40년에는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이 34.4%로 일본(34.8%)과 비슷하고, 2045년엔 일본을 추월해 세계에서 가장 늙은 국가가 될 전망이다.
‘초고령사회와 지속가능한 사회보장 개혁’ 발제를 맡은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한국은 유례없이 빠르고 높은 고령화율을 특징으로 하는 ‘울트라 초고령사회’를 맞이했다”고 진단했다. 특히 2040년이면 85세 이상 후기 고령인구가 245만명으로 늘면서 노인 부양을 위한 사회적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석 교수는 “한국은 지금까지 선진국 모델을 따라 압축적 발전을 이뤄냈으나 이제 더 이상 선진국 경험을 좇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한국의 독특한 상황을 이해하고 헤쳐 나갈 방도를 주체적이고 선도적으로 궁리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이날 공개한 고령사회 준비 지표를 토대로 내년 초 고령사회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6월 저출산 종합대책에 이어 위원회가 내놓는 두 번째 종합대책이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오늘 포럼은 고령사회 대응에 앞서 선행적으로 필요한 고령사회 준비 상태에 대한 1차 연구 결과를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고령사회 준비 지표를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손현덕 매일경제신문 대표는 “저출산은 장기적 문제지만 고령화는 코앞의 문제로 이른 시일 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매경은 언론사 가운데 처음으로 시니어팀을 만들었고 앞으로 고령화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종합토론 세션에서는 김태일 고려대 교수의 사회로 고영호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 유애정 건강보험연구원 연구위원, 장민선 한국법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재원 매일경제 시니어팀장이 참여해 고령사회 대응 방향과 과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내일 교도소에 있을 것”…12일 대법 선고 앞둔 조국, 직격한 황교안 - 매일경제
- ‘최장 9일’ 설 황금연휴, 다들 해외 어디로 가나 봤더니 역시나 ‘이곳’ - 매일경제
- “尹, 의원들 끌어내기 지시한 적 없다”…탄핵·수사 대응 나선 대통령실 - 매일경제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마침표’…12일부터 달라지는 점은? - 매일경제
- 압수수색 허탕친 경찰 … 긴급체포 꺼낸 공수처와 '尹 정조준' - 매일경제
- “갑자기 수천만원을 올려달라니요”…분통 터진 세종 아파트 세입자들 - 매일경제
- ‘내란 주동’ 혐의 김용현 변호인 사임…“다른 변호인 물색” - 매일경제
- 北, 러 파병 대가로 ‘전투기’ 받는다…美인태사령 “거래 합의 확인” - 매일경제
- “분명 출시 안한댔는데”…슬쩍 공개된 테슬라 스마트폰 진짜 나오나? - 매일경제
- “이정후 복귀, 웬만한 FA 영입과 똑같아” 멜빈 감독의 기대감 [현장인터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