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령관 “尹 지시받고 본회의장 공포탄·단전 논의…실행 안 해” [비상계엄 후폭풍]

이도형 2024. 12. 10. 21: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곽종근 前 특전사령관 추가 증언
尹 두번째 통화 내용은 공개 않다 선회
“김용현은 ‘의원 150명 안 넘게’ 지시
여인형, 北 빌미로 1일부터 대기명령”
野 “계엄군 선관위 수원연수원서 대기
국회의원들 강제수용 의도 의심” 주장
김병주 “여, 올해 3월 계엄 시행 계획
작전명 ‘충성8000’ 훈련 집중적 실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중장)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증언하면서 사건 당일 내란 공모자들의 언행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곽 전 사령관은 계엄 당시 특전사 예하 1·3·9공수특전여단, 707특수임무단의 병력을 동원하고 7·13공수특전여단 병력을 대기시킨 핵심 인물이다. 이날 국방위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한 군 고위 관계자들은 이번 사태의 책임을 김 전 장관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육군 중장) 등 ‘충암파’에 전가하는 듯한 모습도 보였다.

◆전 특전사령관 “윤 대통령, 전화 두 차례”

곽 전 사령관은 10일 국방위원회 오후 현안질의에서 윤 대통령이 3일 자신에게 두 차례 통화했으며, 두 번째 통화 당시에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오전 회의 때만 하더라도 두 번째 통화 사실은 공개하면서도 그 내용은 밝히지 않았던 곽 전 사령관은 점심 후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에게 이러한 사실을 전했고 오후 회의에서 당시 통화내용이라면서 이렇게 주장했다.
국방위 답변하는 곽 前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긴급 현안질의 중 국방위원장인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 지시에 현장 지휘관들과 ‘공포탄 쏴서 들어가야 하나, 전기 끊어서 못하게 해야 하나’ 이런 부분을 논의했지만, 현장 지휘관이 ‘안 됩니다, 제한됩니다’라고 제게 얘기했고 자신도 이런 사실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곽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총, 발포, 공포탄, 장갑차’ 등 단어를 썼느냐는 조국혁신당 조국 의원의 질문에는 “제 기억으로는 없다”고 했다. 함께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은 같은 질문에 “기억이 안 난다”고 말했다. ‘12·3 계엄 사태’ 후 보직에서 해임된 ‘3인방’ 중 곽 전 사령관과 이 전 사령관은 회의에 출석한 반면, 여 전 사령관은 검찰 수사로 인해 출석하지 않았다.

곽 전 사령관의 증언은 당시 계엄 주도세력이 계엄해제 요구안 의결을 방해하려고 했음을 의미한다. 곽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이 국회 본회의장에 국회의원이 150명을 넘으면 안 된다고 지시했다고도 인정했다. 곽 전 사령관은 “제가 (특전사) 전투통제실에서 비화폰을 받으면서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국회의원)이 100∼150명 넘으면 안 된다는 그런 내용이 위(국방장관)로부터 지시가 내려온 상황이었다”고 했다. 헌법과 계엄법은 국회의원의 재석 의원 반수 이상으로 계엄해제 요구안 의결 시 대통령이 이를 해제해야 한다고 못 박고 있다.

이 자리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자신의 답변을 보충하다 지휘통제실 환경을 설명하는 등 군사 보안 내용을 언급해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다. 이 전 사령관도 “쌓아온 자산들이 하나씩 날아가는 것이 굉장히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했다.
눈물 흘리는 제1공수여단장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긴급 현안질의에서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오른쪽)이 답변하는 동안 이상현 제1공수여단장(오른쪽 두 번째)이 눈물을 닦고 있다. 남제현 선임기자
◆북한 도발 빌미 비상 대기 지시도

이날 곽 전 사령관이 밝힌 내용 중엔 비상계엄 당일인 3일이 아닌 1일부터 계엄을 알고 있었다는 내용도 있었다. 이 역시 계엄 주도세력이 사전에 치밀하게 계엄을 준비했던 정황이다. 이경민 방첩사 참모장(육군 소장)도 “1일 여 전 사령관이 휴가 후 돌아와서 북한 도발 임박을 빌미로 대령급 실장들에게 통신상으로 지시 대기를 내렸냐”는 민주당 안규백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비상계엄 선포 당일인 3일 오전 “북한 오물·쓰레기 풍선 상황이 심각하다. 각 처·실장들은 음주 자제하고 통신축선상 대기를 철저히 하라”는 지시를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경기 과천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된 국군정보사령부 병력을 통솔하는 문상호 정보사령관(육군 소장)도 김 전 장관이 3일 오전 10∼11시 “해당 주 야간에 임무를 부여할 수 있으니 1개 팀 정도를 편성해서 대기시켜라”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이후 당일 야간에 임무를 줄 수 있다는 지시가 다시 왔고, 이때는 ‘정부 과천청사 인근에 오후 9시쯤 대기할 수 있도록 하라’는 지시가 함께 왔다고 덧붙였다. 선관위 폐쇄회로(CC)TV에서 계엄군이 선관위 서버를 촬영하는 장면에 대해서는 “제가 (사진을) 찍어서 보내라고 지시했고, (촬영한 사진은) 제가 받았다”고 말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국회사진기자단
◆“3월 ‘충성8000’ 훈련 집중실시”

이날 국방위에서 야권은 제보와 보고문서 등을 바탕으로 ‘12·3 비상계엄’이 사전에 조직적으로 준비되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양부남 의원은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경찰 인력 200여명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수원연수원 부근서 대기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양 의원이 중앙선관위로부터 보고받은 바에 따르면 계엄군의 경우 4일 오전 1시8분에 수원연수원 앞에 도착했다. 이들은 버스 등에 대기하고 연수원 건물 내로 진입하진 않았다. 이들은 1시간여 대기하다 새벽 2시24분쯤 철수했다.

계엄군은 경기 과천 중앙선관위 청사에 ‘부정선거 수사’를 이유로 들어왔지만, 수원연수원에는 정보·전산시설이 없으며 생활관 규모는 1인실 17개, 2인실 80개로 총 177명이 수용 가능하다. 양 의원은 “당일 본회의장에서 국회의원을 끌어내 수원연수원으로 강제 수용하려 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국방위 소속 민주당 김병주 최고위원은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믿을 만한 제보에 따르면 여 전 사령관은 지난 3월 계엄 시행 계획인 작전명 ‘충성8000’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했다고 한다”며 “인원까지 보강하며 작전 단계별로 점검하고 사열까지 했다는 제보였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런 집중훈련은 무려 2주 동안 계속됐다. 당시 부대원들은 하루 이틀 간단하게 실시했던 평년과 너무나 다르게 훈련이 진행돼 의아했다는 평이 많았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충암파 핵심이 계엄령을 몰랐다는 (여 전 사령관의 말은) 소가 웃을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도형·박수찬·박유빈·배민영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