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의 땅… 신라의 숨결[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경북 경주 남산은 자연 속 박물관이다. 금오봉과 고위봉의 두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40여 개의 계곡과 산줄기로 이뤄진 남산 곳곳에 신라시대 100여 곳의 절터, 80여 구의 석불, 60여 기의 석탑이 자리 잡고 있다. 그야말로 부처님의 땅 ‘불국토(佛國土)’다. 내년 10월 말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 남산에 올라 신라인의 숨결을 느끼고 왔다.
● 남산 위의 저 소나무
경주에도 남산이 있다는 말을 하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마련이다. 그럼 애국가에 나오는 ‘남산 위의 저 소나무’는 서울인가, 경주인가. 실제로 경주 남산의 능선에도 구부러지고 뒤틀리며 자라는 전형적인 한국의 소나무들이 많다.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는 경주 삼릉의 솔숲을 보고 혹자는 “소나무들이 사교댄스를 추고 있는 무도회장에 들어온 기분”이라 말할 정도다.
경주 통일전 부근 염불사지에서 남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동네나 산길이나 굴러다니는 돌들은 모두 석탑 부재고, 바위에 새겨진 것은 마애불이다. 산 입구에서 물이나 김밥이라도 사려고 했는데, 주변에 아무런 가게가 없다. 점심 도시락도 없이 산행을 잘 마칠 수 있을까.
호젓한 솔숲을 걷기 시작한 지 한 시간쯤 흘렀을까. 대나무숲으로 둘러싸인 계단길에 빗자루질을 한 흔적이 선명했다. 이 산속에 누가 계단을 쓸었을까. 약수터 위 대안당(大安堂) 마루에 잠시 걸터앉아 쉬었다가 칠불암(七佛庵)에 도착했다.
구름이 걷히고 따스한 햇살이 비칠 때마다 더욱 또렷해지는 마애불의 얼굴 표정과 미소를 감상하고 있는데 암자 종무소에서 “식사하세요∼”라는 소리가 들렸다. 이게 웬 떡인가! 김밥을 준비하지 못해 하루 종일 굶으며 남산을 돌아다닐 생각을 했었는데, 너무나 반가운 소리였다. 암자 안으로 들어가니 감자 수제비 한 그릇이 빈속뿐 아니라 마음까지 꽉 채워준다. 부처님의 자비가 현현하는 순간이다. 댓돌 한쪽에 작은 커피 자판기까지 있어 공짜 커피도 마실 수 있었다. 감사한 마음에 얼마 안 되지만 주머니에 있던 현금을 복전함에 넣고 왔다.
칠불암에는 눈이 맑고 푸른 비구니 스님이 계셨다. 12년 전 체코에서 숭산 스님의 책을 읽고 출가를 결심하고, 한국에 온 휴정 스님이다. 경북 청도 운문사에서 공부하고, 경주에 온 지 어느새 10년이 넘었다고 했다. 한국말을 정말 잘하는 휴정 스님은 마애불에 대해서도 깊은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는 “칠불암 불상군 터는 오랫동안 숲에 가려져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지역 주민들에 의해 발견됐다”고 설명해 주었다. 칠불암에서는 템플스테이도 많이 진행하는데, 외국인들이 특히 많이 찾아온다고 한다.
칠불암 우측 대숲을 지나 다소 가파른 계단을 따라 200m 정도 오르면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이 나온다. 널찍한 경주 평야의 풍광이 시원하게 펼쳐진 벼랑 끝 바위다. 맞은편 토함산의 연봉들도 기운차게 흘러간다. 손에 용화 꽃가지를 들고,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는 미륵보살이다. 아래쪽에는 동글동글한 구름 모양이 새겨져 있다. 그야말로 남산 자락 구름 위에 앉아 있는 미륵보살상이다.
● 용장골 세계에서 가장 높은 탑
경주 남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금오봉(468m)과 고위봉(494m)이다. 두 봉우리 사이에 남산에서 가장 크고 깊은 골짜기인 용장계곡이 펼쳐진다. 이곳에는 22곳의 절터와 11개의 석탑 유적지가 있다.
칠불암에서 용장계곡으로 넘어가는 삼화령 고갯길에는 억새가 하늘하늘 빛난다. 고갯길 정상에는 커다란 바위 위가 지름 2m 크기 연꽃 모양으로 장식돼 있는 연화대좌가 있다. 신라 경덕왕 때 안민가와 찬기파랑가를 지은 충담 스님이 해마다 3월 3일과 9월 9일에 차를 공양했다는 남산 삼화령 미륵세존이 있던 자리다.
용장곡 3층 석탑에서 아래쪽으로 10m쯤 내려오면 마애여래좌상과 삼륜대좌 석불좌상을 만나게 된다. 불상의 눈동자까지 보이는 보물급 마애여래좌상의 품격도 대단하다고 느꼈는데, 뒤를 돌아보는 순간 더욱 놀라운 불상과 마주하게 됐다. 높이 4.65m의 대좌부터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신기한 모습이다. 불상을 받치는 대좌가 시루떡도 아니고, 도넛도 아닐진대 세 개의 둥근 바퀴 모양의 돌이 탑처럼 쌓아 올려져 있다. 이른바 ‘삼륜대좌불(三輪臺座佛)’이다.
용장사는 조선시대 생육신 김시습(1435∼1493)이 1462년 27세의 나이에 머물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인 ‘금오신화’를 썼던 곳이기도 하다. 용장골 계곡에는 설잠교가 놓여 있다. ‘눈 쌓인 봉우리’라는 뜻의 설잠(雪岑)은 매월당 김시습의 법호다. 금오신화는 조선의 금서(禁書)였다. 그가 쓴 소설의 주인공 이름은 ‘양생’ ‘이생’ ‘홍생’으로 ‘양 생원’ ‘이 생원’의 준말이다. ‘5세 신동’으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면서도, 산천을 유람하며 거짓 미치광이로 살았던 자신의 신세와 비슷한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셈이다.
남산 열암곡에는 ‘5cm의 기적’으로 불리는 마애불이 있다. 600년 전 발생한 지진으로 쓰러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마애불은 엎어진 불상의 얼굴과 바닥 사이에 불과 5cm의 틈밖에 없다. 암벽에서 떨어졌는데도 오똑하게 솟은 부처의 콧날이 그대로였다.
경주의 야경 명소로는 월성(사적 16호)을 휘감아 흐르는 남천 위에 세운 월정교를 꼽을 수 있다. 웅장한 2층 문루와 곧게 뻗은 회랑이 조명에 빛나는 월정교는 특히 달이 뜨는 날에 운치를 더한다.
글·사진 경주=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與 “당론 변함 없어…尹, 의원들 뜻 경청하고 고민하겠다고 해”
- [사설]음모론과 충동에 휘둘리는 지도자에게 국정 맡길 수 있나
- 한강 “2024년의 계엄, 큰 충격…사람들의 진심과 용기 느꼈다”
- [단독]尹, 5일 밤 추경호·권성동·권영세와 비공개 회동
- [김순덕의 도발] ‘친위 쿠데타’ 실패로 ‘윤건희 정권’은 끝났다
- 탄핵표결 본회의 오늘 오후 5시…예정보다 2시간 당긴다
- 계엄군, 선관위 사전투표 서버실 노렸다
- 한동훈 “尹 만났지만…‘직무정지’ 판단 뒤집을만한 말 못 들었다”
- 국방부, 계엄군 지휘관 3명 수방·특전·방첩사령관 직무정지
- [횡설수설/김승련]이재명 한동훈 우원식 조국 김명수… 설마 싶은 ‘체포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