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사흘째 침묵 속 난맥상 노출..."지지율 13%"
공개일정 없이 진실화해위원장 등 인사권 행사만
추가 담화 시점 두고 소문 무성…"아직 계획 없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새벽, 계엄 해제를 발표한 뒤 오늘(6일)까지 사흘째 침묵을 이어갔습니다.
대통령실도 국회의원에 대한 체포 지시를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냈다가 황급히 취소하는 등, 하루 내내 난맥상이 이어졌는데, 이런 가운데 국정 지지율은 13%까지 떨어졌습니다.
강민경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새벽 비상계엄을 해제하겠다는 발표 이후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
장관급 자리인 진실화해위원장에 박선영 전 자유선진당 의원을 임명하는 등, 비공개로 인사권만 행사할 뿐입니다.
추가 담화를 준비 중이란 소문은 무성했지만, 대통령실은 계획된 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한 시간 남짓 진행된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의 회동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에선 내용은 물론, 사실관계조차 확인해주지 않았습니다.
한동훈 대표가 윤 대통령의 '직무 정지' 를 공개 요구한 걸 기점으로, 참모진들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다다랐단 걸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용산 참모진들은 쏟아지는 보도와 정보에 우왕좌왕하며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듯한 모습도 보였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가 오후 1시 32분, "비상계엄 상황 당시 윤 대통령이 국회의원들의 체포·구금을 지시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냈다가 1분 만에 철회한 겁니다.
이로부터 20여 분 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목한 체포 대상자를 구체적으로 열거하며, 대통령실과 상반되는 주장을 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비상계엄의 진짜 이유가 부정선거 수사를 위해서였다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선 "전혀 모르겠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주 윤석열 대통령의 갤럽 지지율은 16%로 취임 뒤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 뒤인 지난 4일부터 이틀 동안 집계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13%까지 떨어졌습니다.
민심이 급속도로 떠나고 있지만, 대혼란 정국의 진원지인 윤석열 대통령의 침묵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최영욱 김종완
영상편집: 마영후
디자인: 백승민 이원희
온라인 고지사항
○ 의뢰·조사기관 : 한국갤럽
○ 조사 기간 : 2024년 12월 3~5일(3일간)
○ 표본 오차 : ±3.1%포인트(95% 신뢰 수준)
○ 조사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
○ 조사 방법 :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 전체 질문지 등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첩사 요원들, 사복 입고 국회 잠입"...첩보 받았단 정청래 '분노' [지금이뉴스]
- 윤 대통령 만난 한동훈 "판단 뒤집을 만한 말 못 들어"
- [속보] 특수전사령관 "비상계엄 보도로 알아...20분 전 장관이 대기명령"
- "우리 손주 계엄군 조심해"...할머니 상흔 할퀸 '12.3 비상계엄'
- 한강, 오늘 스웨덴서 노벨상 회견...'계엄 사태' 언급하나?
-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사건' 모레 선고...항소심 36일 만
- "티머니 '0원' 되고 연락처 날아가"...SKT 유심 교체시 주의사항
- 생닭 씻고 조리? "절대 안 돼요"...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 "검찰-기재부, 개혁 1순위?"...정부 조직개편 '군불'
- "더 큰 집 위한 단일화" 공식 선언...시한은 5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