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 4도 북유럽, 한강은 뜨겁다”…노벨상 시상식 앞둔 이 도시는 지금
10일 콘서트홀서 메달 수여
거리 곳곳 들뜬 분위기 가득
“시상식 관람은 꿈같은 기회”
인근 노벨상박물관도 ‘북적’
기념품숍 중앙엔 한강 소설
6일 소장품 기증에도 주목
한국인 최초, 아시아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는 한강에게 노벨문학상을 정식으로 주는 장소이기도 하다.
4일(현지시간) 방문한 이곳은 영하 4도의 북유럽 한기가 무색하게도 노벨 주간의 들뜬 열기가 감지됐다.
쿵스가탄 거리에서 만난 토머스 펄손 씨는 “스톡홀름 시민들에게 큰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상징적인 거리”라며 “12월 10일에 저 안(콘서트홀)에 한 번 들어가보는 게 소원인 친구도 있다”며 웃었다.
스웨덴 시민들은 매년 스웨덴 국영방송인 STV와 유튜브로 생중계되는 시상식을 가족들이 모여 챙겨볼 정도로 ‘노벨상을 운영하는 나라의 시민’으로서 자존감이 높다고 한다.
이날 스톡홀름 콘서트홀은 정면의 대리석 기둥 10개 사이로 족자 형태의 짙은 파란색 깃발 3개가 웅장하게 걸린 상태였다.
스톡홀름 콘서트홀 앞 광장의 청동상은 그리스 신화 속 ‘음악과 예술의 신’ 오르페우스를 상징한 작품이다. 조각가 칼 밀레스가 만들었는데 1926년 이곳 콘서트홀의 준공 때 함께 설치된 예술품이다. 콘서트홀 1층은 스웨덴 커피 체인 ‘에스프레소 하우스’가 입점했는데 그래서인지 콘서트홀 인근은 진한 커피향이 코끝을 자극했다.
콘서트홀에서 남쪽 방향 노르브로 다리 옆 스웨덴 왕궁을 거치면 나오는 노벨상 박물관은 노벨상의 또 다른 상징이다. 노벨 주간인 만큼 박물관 앞엔 플리마켓이 열렸고, 그 옆으로 색색의 비니를 머리에 쓴 유치원생 단체관람객, 70~80대 노년층까지 박물관에 입장 중이었다.
박물관 직원 안니카 씨는 “12월에 스톡홀름을 찾는 해외 관광객들의 목적은 대부분 같다. 노벨 주간을 눈앞에서 보고 싶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자를 보며 “한국에서 왔느냐”고 물었는데 “그만큼 한강 소설가의 흔적을 벌써부터 이곳에서 확인하려는 여행객들이 많다”고도 했다. 입장료는 200크로나(약 2만5000원)여서 싸진 않지만 노벨상 시상식 취재 기자들은 무료 입장이 가능했다.
노벨상 공식 초상화가인 니클라스 엘머헤드 작가가 금박을 입혀 그린 한강 캐리커처가 올해 노벨상 다른 부문 수상자들과 나란히 걸려 있다. 좌측에 3개 부문, 우측에 다른 3개 부문으로 나눠졌는데 한강 작가의 캐리커처는 입구를 등지고 우측 첫 번째에 놓여 있다.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란 2024년 한강 노벨상 선정 사유도 함께 보인다.
한강의 위상은 노벨상 박물관 곳곳에서 감지됐다.
기념품가게의 ‘노벨상 굿즈’를 유심히 보면 ‘여성’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18인의 얼굴을 조합한 카드가 눈에 띈다. 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121인 가운데 14.9%인 여성 수상자 얼굴만 모은 카드다. 토니 모리슨, 헤르타 뮐러, 나딘 고디머,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앨리스 먼로, 펄 벅, 도리스 레싱 등이 새겨진 카드엔 한강의 얼굴이 무려 ‘정중앙’에 위치해 있었다. 이 카드엔 한강의 소설 4권 제목도 ‘한국어로’ 적혀 있다.
특히 이곳 박물관엔 또 하나의 익숙한 얼굴과 이름을 찾아보는 ‘묘미’가 있다. 200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81년 ‘사형’을 선고받은 뒤 수감 중 입었던 수의가 전시돼 있기 때문이다. 고 이희호 여사가 붉은실로 직접 짠 뜨개질 신발, 한 달에 한 장의 종이만 허용된지라 깨알같이 작은 글자로 써야 했던 김 전 대통령의 편지도 원본으로 전시 중이다. 김 전 대통령의 기증품은 2001년 노벨상 박물관에 기증됐다.
그의 석고상 옆엔 한 장의 종이 사본이 전시 중이다. 1895년 11월 27일 알프레드 노벨이 최종 서명한 유언장이다. 이 종이는 훗날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유언장’으로 남게 됐다. 유언장의 ‘노벨문학상’ 부문엔 이렇게 적혀 있었다. “Den person som inom litteraturen har producerat det utmärktaste i idealisk riktning(문학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이상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창작한 사람에게 노벨문학상을 수여한다는 뜻의 스웨덴어).”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0월까지 안 끌어내리면 파국”…3개월 전 계엄령 예언한 女무당 화제 - 매일경제
- 이재명 “오늘 밤이 매우 위험…尹, 뭔가 일 벌이지 않을까 걱정” - 매일경제
- [속보] 국방부, 수방사령관·특전사령관·방첩사령관 직무정지 - 매일경제
- 계엄 선포 후 병사들에 “유서 쓰고 대기해라”…‘유서 파동’에 군인 부모들 울분 터졌다 - 매
- [속보] 윤석열·한동훈 긴급 독대...尹대통령이 韓대표에 요청 - 매일경제
- [속보] 한동훈, 윤 대통령 만난 후 “尹, 아직 계엄 해명할 때 아니라고”…“‘직무정지’ 뒤집
- [속보] 홍장원 “체포 대상자,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박찬대 조국 등” - 매일경제
- 수능 금지곡 ‘아파트’ 듣고도 수능 만점 - 매일경제
- 여의도에선 “尹 퇴진” 광화문에선 “탄핵 반대”...7일 도심 대규모 집회 - 매일경제
- PSG·바르셀로나 이어 맨유까지? 손흥민, 박지성 후배 될까···“맨유 아모림 신임 감독이 SON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