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 단독 인터뷰 “한강 소설, 인간 고통에 관한 거대한 질문” [2024 노벨문학상]
앤더스 올슨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노벨위원회 노벨문학상 의장·75·사진)은 3일 매일경제와 단독 인터뷰에서 “한강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것은 윤리적 차원과 인간의 고통에 대한 강한 감각”이라고 강조했다.
올슨 위원장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개최되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시상식에서 심사위원회 전원을 대표해 스웨덴의 칼 구스타프 16세 국왕과 세계 문학 독자들에게 ‘2024년 노벨문학상 한강 선정 사유’를 연설하는 인물이다.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장이 한국 언론과 인터뷰를 진행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올슨 위원장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의 유언장에 명시된 대로 노벨문학상은 세계적인 상으로 운영됐지만 본질적으론 유럽 중심의 상으로 비쳐졌다. 지난 몇십 년간 수상의 범위(수상작가 국적)를 넓힐 수 있었고 그렇기에 매우 기쁘다”며 입을 열었다.
특히 올슨 위원장은 “보수적인(conservative) 한국인들로부터 한강 작가를 ‘이데올로기적 작가’로 보는 비판적 메일을 받았다”고도 처음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한강 작가가 특정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지만, 위대한 문학에서 중요한 건 특정 문제에 대한 의견이 아니라 예술적으로 설득력 있게 현실을 표현하는 능력”이라고 수상 선정 이유를 말했다.
그는 “내 견해는 심사위원 중 한 명의 의견일 뿐”이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내 개인적 견해를 기꺼이 (한국 독자들과) 공유하겠다”며 입을 열었다. 일문일답 형식으로 진행된 올슨 위원장과의 인터뷰 전문을 싣는다.
▷당신은 ‘증언 문학’ 개념을 중심으로 질문했다.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우리가 알고 있는 개념으로서의 증언 문학과 유사성이 크다. 하지만 난 위대한 작가의 작품을 특정 장르로만 ‘축소’해 바라보는 일에 회의적이다. ‘채식주의자’ ‘흰’ ‘희랍어 시간’과 같은 한강 소설도 증언 문학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까. 오히려 난 한강 작가가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이라고 느낀다. 그 이유는, 증언 문학의 전통에 속한 여러 작가들과 다르게 한강 작가가 매우 시적(詩的)이고 주관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어서다. 한강 소설엔 윤리적 차원과 인간의 고통에 대한 강렬한 감각이 반복된다.
―증언 문학으로서의 한강 소설을 질문한 이유는 증언 문학의 ‘사실성(factuality)’에 관한 논쟁이 현재 한국에서 발생해서다. 증언 문학은 사실에 기반하므로 ‘역사 왜곡’ 비판이 제기되곤 한다. 한국의 일부 독자들은 한강 소설의 이념적 편향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렇다. 나 역시 보수적인 한국인으로부터 한강 작가를 ‘이데올로기적 작가(an ideological writer)’로 바라보는 비판적 시선의 이메일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내게 완전히 잘못된 주장이다(To me this is all together false). 한강 작가가 특정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겠지만(물론 그에 대해 난 확신할 수 없다), 위대한 문학에서 중요한 건 특정 문제에 대한 의견이 아니라 예술적으로 설득력 있게 현실을 표현해내는 능력이다.
▷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와 같은 위대한 작품(a great work)에서 일어나는 일은 고통이 재현되고 (소설 속 두 친구 간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그 고통이 새로운 현실이 된다는 점이다. 그 소설을 읽으면 과거는 더 이상 과거로만 남지 않는다. 이 점에서 난 증언 문학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고도 생각한다. 비록 허구적 요소가 강하지만 말이다.
―한강 소설은 개인과 시대의 고통에 대한 질문으로 평가 받는다.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으로서 한강 작가의 어떤 작품을 얼마나 깊게 읽었는지, 또 어떤 작품을 눈여겨 봤는지 궁금하다.
▷스웨덴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읽을 수 있는 모든 언어’로 번역된 한강의 작품을 읽었다. 불행히도 한국어를 알지 못한다. 한국어로 한강 소설을 읽지 못한 건 아쉬운 일이다. 참고로, 나를 비롯한 심사위원들은 소설 ‘채식주의자’의 영어 번역이 부족하다는 점(deficiencies)을 심사 초기에 보고 받았다. 스웨덴어 번역도 영문판 번역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이다(중역). 따라서 우리 심사위원들은 ‘채식주의자’를 세 가지 언어 버전(스웨덴어, 독일어, 프랑스어)으로 읽어야 했다. 한국어를 직접 독일어로 번역한 독일어 번역본(직역)이 다른 언어 번역본보다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노벨문학상은 작가 개인에게 수여되지, 국가에 주는 상은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수상의 범위(수상작가의 국적)를 넓힐 수 있음을 기쁘게 생각한다. 노벨문학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장에 명시된 대로 세계적인 상으로 의도되었지만 1986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나이지리아의 월레 소잉카가 상을 받기 전까지 본질적으로는 ‘유럽 중심’의 상으로 비쳐졌다. 우리는 새로운 정책(지역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마지막 질문이다. ‘21세기 문학’을 정의해달라. 윤리적 관점에서 소설 장르가 미래에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보는지, 또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장 이상적인 문학’이란 어떤 형상이어야 한다고 믿는지도 궁금하다. (두 개의 질문을 아래 하나의 질문으로 통합해 답변함)
▷향후 몇 년간의 급진적 변화에 대해 우리는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특정한 윤리적 동기를 가진 글쓰기만을 주장하는 건 현명하지 않다. 1901년에 시작된 노벨문학상의 첫 100년간 스웨덴 한림원은 도덕적이며 보수적인 가치관 때문에 레프 톨스토이, 헨리크 입센,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와 같은 작가들을 ‘부도덕하거나 이상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 20세기 동안 스웨덴 한림원이 이전과는 달리 ‘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상을 수여한 건 올바른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한강 작가의 작품에 담긴 윤리적 차원을 평가하지 않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그러나 한강 작가가 올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주된 이유는 분명하게도 ‘문학적 가치’ 때문이다.
스톡홀름 김유태 기자
노밸 재단으로부터 ‘2024 노벨문학상 시상식’과 만찬 연회에 초청을 받은 기자가 스톡홀름 현지의 생생한 소식을 성심껏 전해드리겠습니다. 하단 기자페이지에서 ‘+구독’을 누르시면 노벨문학상 현장 이야기를 쉽고 빠르게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오늘의 운세 2024년 12월 5일 木(음력 11월 5일) - 매일경제
- 명분 없는 비상계엄이 쏘아올린 공…김건희 특검법 통과 급물살 - 매일경제
- “치안은 세계 첫 손에 꼽혔는데”…삽시간에 여행 위험국 전락한 한국 - 매일경제
- 이준석 “윤석열·한동훈, 탄핵 막고 사과로 퉁치려는 것 같다” - 매일경제
- “돈 벌면 감수해” VS “어른 잘못”…80만 유튜버 태하 엄마, 결국 공지글 ‘삭제’ - 매일경제
- 총리 반대에도 尹 “내가 책임지겠다”…그날 저녁 살벌했던 국무회의, 어땠길래 - 매일경제
- 계엄령 최대 수혜자?…이재명 테마주는 줄줄이 상한가 - 매일경제
- 김용현·박안수·곽종근·이진우 ‘비상계엄’ 육사 4인방…선배가 건의, 후배들이 軍 동원 - 매
- 뉴욕 한복판서 美최대 건강보험사 대표 피살…“범인 추적 중” - 매일경제
- 트럼프 측근 UFC 회장 한국행 무산? 계엄령 여파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