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에 대학가에서도 정권 비판 목소리(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이 해제된 4일 서울 대학가에서 윤 대통령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연쇄적으로 나왔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성명을 내고 "불의에 항거하는 4·19 민주 이념을 무참히 짓밟은 행위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총학은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 헌정 질서를 짓밟는 행위"라며 "우리는 기꺼이 저항하고 불의를 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과학기술대에서도 재학생 및 동문회 명의 선언문에서 윤 대통령에게 계엄선포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장보인 홍준석 이율립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이 해제된 4일 서울 대학가에서 윤 대통령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연쇄적으로 나왔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성명을 내고 "불의에 항거하는 4·19 민주 이념을 무참히 짓밟은 행위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총학은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 헌정 질서를 짓밟는 행위"라며 "우리는 기꺼이 저항하고 불의를 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총학은 5일 오후 5시 관악캠퍼스에서 전체 학생총회를 열고 이번 사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 학생총회는 재학생 10분의 1 이상이 참석하면 성사된다.
고려대 교수와 연구자 370여명도 이날 긴급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윤 대통령의 직무 정지와 탄핵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이런 말도 안 되는 사태가 벌어지는 것을 막지 못해 지식인으로서 부끄럽고 참담한 심정"이라 말했다.
한편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등 서울 일부 대학 총학생회장들은 이날 오후 시국과 관련한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 참여한 각 대학은 대학별로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총학생회 명의의 성명을 발표했다. 대학들은 이번주 중 한 차례 더 회의한 후 공동성명을 낼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에는 "대통령이 제1공수특전여단을 국회에 투입한 것도 모자라, 국회의원의 국회 출입을 저지했다. 그 자체로 내란죄"라 주장하는 실명 대자보도 붙었다.
동국대에서도 학생 108명이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정권 퇴진을 촉구했다.
서울과학기술대에서도 재학생 및 동문회 명의 선언문에서 윤 대통령에게 계엄선포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숙명여대와 건국대 등도 5일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jung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 당시 공항공사 사장 숨진 채 발견(종합) | 연합뉴스
- '의사 복서' 서려경, 여자 복싱 세계 챔피언 또 무산 | 연합뉴스
- 경북 경산 펜션서 30대 남녀 숨진 채 발견…"경위 조사 중" | 연합뉴스
- 장성서 산불진화대 체력 시험 보던 70대 숨져 | 연합뉴스
- [샷!] "100억원 돈다발 제작비 600만원"…'가짜 돈'의 세계 | 연합뉴스
- 생포된 북한군 "사랑 영화 틀어달라…한국어 영화로" | 연합뉴스
- 필사의 탈출시도에도…튀르키예 스키장 호텔화재 사망자 76명으로 늘어 | 연합뉴스
- 거절했는데도 사귀자며 애정공세…여경 스토킹한 해경 간부 | 연합뉴스
- 쥐꼬리 지급에 전체 규모 막대한 '부양가족연금'…'축소론' 제기 | 연합뉴스
- '형제 살인사건' 부실수사 형사과장 정직 2개월 징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