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학자들 경고···“북극해 얼음 없는 날, 3년 내 올 수도”

최성욱 기자 2024. 12. 4. 18: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구온난화로 북극해 얼음(해빙)이 실질적으로 모두 녹는 첫 번째 얼음 없는 날이 2027년에 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그러나 극단적인 기상 시나리오가 적용된 9개 시뮬레이션에서는 북극해 얼음 없는 날이 3~6년 안에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극의 해빙. 사진 제공=극지연구소
[서울경제]

지구온난화로 북극해 얼음(해빙)이 실질적으로 모두 녹는 첫 번째 얼음 없는 날이 2027년에 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030년대에 발생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보다 훨씬 이른 시점이다.

미국 볼더콜로라도대 알렉산드라 얀 교수와 스웨덴 예테보리대 셀린 호이제 교수팀은 4일 과학 저널 ‘네이처커뮤니케이션’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북극해 얼음 없는 날이 3년 안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북극 해빙은 10년마다 12% 이상씩 사라지고 있으며 얼음 없는 북극해는 온난화의 이정표 중 하나로 꼽힌다. 얼음 없는 북극은 얼음 면적이 100만 ㎢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북극 해빙은 햇빛을 우주로 반사해 북극을 온난화로부터 보호한다. 해빙이 줄면 바닷물이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해 북극과 전 세계 기온을 상승시키고 북극 온난화는 바람과 해류의 패턴을 변화시켜 극심한 기상이변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북극 해빙의 변화는 과학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돼 왔다. 미국 국립빙설데이터센터(NSIDC)에 따르면 9월 북극해 해빙 면적은 1979~1992년 평균 685만 ㎢였으나 이후 빠르게 감소해 올해 428만 ㎢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한 달 평균 해빙 면적이 100만 ㎢ 미만이 되는 얼음 없는 달이 2030년대에 처음 발생할 것이라는 게 기존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300개가 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해 북극에 얼음 없는 첫날이 언제 올지 예측한 결과 대부분 시뮬레이션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어떻게 변하든 2023년 이후 9~20년 이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극단적인 기상 시나리오가 적용된 9개 시뮬레이션에서는 북극해 얼음 없는 날이 3~6년 안에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일련의 기상 이변이 있을 경우 200만 ㎢ 이상의 해빙이 단기간에 녹을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팀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이면 얼음 없는 북극이 오는 시기를 늦추고 얼음 없는 북극해가 유지되는 기간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성욱 기자 secret@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