숱한 반대에도 계엄령 밀어붙인 尹… 긴급 국무회의서 무슨 일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전 소집한 긴급 국무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대다수 국무위원들은 계엄 선포에 반대하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사전 국무회의 참석자 대다수는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방침에 강한 반대 의사를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총리 비롯 위원들 우려 표했으나 尹은 강행
'계엄 선포'는 국무회의 심의 사항... 의결 불필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전 소집한 긴급 국무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대다수 국무위원들은 계엄 선포에 반대하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아랑곳 않고 계엄 선포를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한 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에게 '용산 대통령실으로 오라'는 연락이 전달된 건 전날 오후 늦은 시간이다. 참석자들도 현장에 도착해서야 계엄 선포안을 심의에 부치기 위한 국무회의가 열린다는 걸 알게 됐다고 한다. 통상 국무회의에는 대통령비서실장, 국가안보실장, 국무조정실장 등이 배석하는데 이날 긴급 국무회의는 별도의 배석자 없이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배석자는 한국일보에 "소집 연락도 못 받았다"고 전했다. 그만큼 은밀한 모임이었다는 뜻이다.
주요 부처 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모이자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국무회의 개의를 위해선 구성원 과반이 출석해야 한다. 국무위원은 대통령(의장), 국무총리(부의장), 각 부 장관 19명 등 총 21명(단, 여성가족부 장관은 공석)이다. 대통령과 총리를 제외하고 최소 9명의 위원이 참석해야 회의를 열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의사정족수는 채워진 걸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계엄 선포안 심의를 위한 국무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확인된 국무위원은 △최상목 부총리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김용현 국방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다. 나머지는 불참하거나 참석 여부에 대한 확답을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향후 정족수 미달 사실이 드러나면 심각한 절차상 하자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이날 사전 국무회의 참석자 대다수는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방침에 강한 반대 의사를 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국정 2인자'인 한 총리 역시 계엄에 강한 우려를 표하는 입장이었다고 한다. 다만 완고한 윤 대통령의 의지를 꺾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헌법과 계엄법은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거나 변경하려면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고만 규정하고 있다. 계엄 선포는 별도 의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렇다 보니 국무위원들으로서는 반대 의사는 표명할 수 있어도, 실효성 있게 계엄 선포를 막을 카드는 마땅치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끝내 윤 대통령은 오후 10시 23분부터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나광현 기자 name@hankookilbo.com
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민석의 경고가 맞았다... 말도 안 된다던 계엄, 음모론에서 현실로 | 한국일보
- 尹에 비상계엄 건의한 김용현 국방장관은 누구? '충암파' 실세 | 한국일보
- 국회 난입 계엄군 "작전 내용 몰랐고, 도착하니 국회였다" | 한국일보
- 허지웅 "더는 못 참겠다" 이승환 "할 말 많다"… 尹 계엄 선포에 연예계도 부글 | 한국일보
- 황교안 "한동훈·우원식 체포하라" 민경욱·전여옥도 계엄 지지 | 한국일보
- 이재명 "아내 위한 친위쿠데타…상황 정비되면 또 시도할 것" | 한국일보
- 시민에게 연신 허리 숙여 "죄송합니다" 사죄한 계엄군 | 한국일보
- 윤 대통령 "국회 요구 수용해 계엄 해제할 것...무도한 행위는 즉각 중지해야" | 한국일보
- [현장] "2024년 한국 맞나" "군대 간 아들 걱정"... '비상계엄'에 밤잠 설친 시민들 | 한국일보
- "동정 말고 같이 싸워줄 어른이 필요했다" 투사가 된 10대 딥페이크 피해자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