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보다 물놀이가 더 신났던… 우리들의 행복했던 유년[사랑합니다]

2024. 12. 3. 09: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 나주시 영산포 홍어거리를 지나 강이 잠시 머뭇거리는 앙암바위 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내 고향 진포리가 나온다.

가야산과 개산이 가부좌를 틀고 앉아 윗동네와 아랫동네를 먹여 살리고 평촌을 돌아 지금은 전설 속으로 사라진 장자못뚱 너번들까지 먹여 살렸다.

마을 앞 영산강은 목포에서 흑산 홍어를 싣고 올라온 통통배에 선잠 든 엄마의 팔베개처럼 물길을 내어 주고 강가에서 놀던 코흘리개 조무래기들은 고무신을 벗어들고 맨발로 배를 따라 뛰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사랑합니다 - ‘깨복쟁이’ 친구들 <상>
고향인 영산포 진포리 마을을 배경으로 57년 만에 만나 기념사진을 찍은 깨복쟁이 친구들. 오른쪽부터 오치관, 필자, 박상구.

전남 나주시 영산포 홍어거리를 지나 강이 잠시 머뭇거리는 앙암바위 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내 고향 진포리가 나온다. 가야산과 개산이 가부좌를 틀고 앉아 윗동네와 아랫동네를 먹여 살리고 평촌을 돌아 지금은 전설 속으로 사라진 장자못뚱 너번들까지 먹여 살렸다. 마을은 크지 않아 가족처럼 정이 오가고 방죽에서 피어오른 물안개는 가난한 집 아이들만 골라 안아 주었다. 이른 새벽 뿌사리(황소의 방언)를 앞세워 방죽길을 따라 논에 가시던 아버지가 새벽잠에 뒤척이는 물안개를 위해 슬그머니 고삐를 늦추면 뿌사리도 무슨 말인지 알아차렸다는 듯 보름달 같은 두 눈을 껌뻑거리며 느리게 걸었다.

마을 앞 영산강은 목포에서 흑산 홍어를 싣고 올라온 통통배에 선잠 든 엄마의 팔베개처럼 물길을 내어 주고 강가에서 놀던 코흘리개 조무래기들은 고무신을 벗어들고 맨발로 배를 따라 뛰었다. 뛰다 넘어져 무릎에서 피가 흐르면 흙으로 쓱 문지르곤 다시 뛰었다. 조금 때가 되면 물길 모른 배가 삼각주 모래무덤에 여지없이 걸려 옴짝달싹 못 한 채 만조 때까지 몇 날을 기다려야 했다. 그때 조무래기들은 깔깔거리며 돌을 던지고 놀려대며 도망을 쳤다. 윗동네 오치관, 아랫동네 김인찬, 평촌 박상구, 너번들 최희순, 장자못뚱 남숙희. 마을의 대표 주자였던 우리는 1960년대 진포리의 짱이었다. 우리가 휩쓸고 간 수박밭 참외밭은 보리피리 삘릴리 배고픔이 죄였다. 6·25의 상흔이 마을 구석구석 남아 있던 시절 착한 동심보다 허기가 먼저라 밭고랑을 누볐다. 그중 기와집 아들 상구는 망을 보고 초가집 아들 치관이랑 인찬이는 숙달된 솜씨로 밭두렁을 땅강아지처럼 누볐다. 그러다 재수 없이 들키는 날 우리는 뙤약볕 아래 두 팔 든 여름 허수아비가 되었다.

영산포에서 십여 리쯤 떨어진 오지마을 진포리는 유달리 정이 많은 동네였다. 마을에 초상이 나면 마을 사람들은 일손을 논두렁에 던져두고 모두 차일 안에 둘러앉아 밤새 위로의 술잔을 나누었다. 다음날 취기 어린 상두꾼의 요령 소리는 북망산천으로 떠나는 선자의 넋을 달래주고 애잔하고 구성진 상엿소리는 차마 마을을 떠나지 못해 동구 밖 당산나무를 맴돌았다. 떠난 자는 누구이고 산 자는 누구인가. 봄이면 무덤가에 핀 꽃들이 산 자와 죽은 자의 간극을 좁히고 사월 초파일 개고기 먹고 절에 가서 지골 맞았다는 정옥이 할머니는 10년째 누워 동네 노인 중 오늘은 누가 떠날지 내일은 또 누가 떠날지에 대한 순번 매기는 점괘는 기가 막히게 정확했다.

1960∼1970년대 시골은 3대가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았다. 그야말로 대가족이었다. 어른들은 들에 나가 일을 하고 조무래기 우리는 무더운 여름이면 영산강 물을 뿜어 올린 양수장에서 떼 지어 물놀이했다. 높은 미끄럼틀도 없고 흔한 튜브 하나 없어도 눈을 질끈 감고 한 손으로 코를 막고 또 한 손으로 사타구니를 가리며 물속으로 뛰어들었다. 그 모습을 몰래 훔쳐본 최희순, 남숙희는 어린 동심에도 부끄러웠는지 고개를 돌리곤 했다. 한 마을에서 나고 함께 자란 깨복쟁이 친구인 우리는 초등학교 6년을 함께 다니며 공부보다 물놀이가 더 신이 났다. 전기가 없던 시절 산에서 땔감으로 쓰일 나무를 하고 낫치기를 하며 소먹이 깔 베는 일이 곧 숙제요 다음 날 선생님의 회초리였다.

김재남 시인

‘그립습니다·사랑합니다·자랑합니다·고맙습니다·미안합니다’ 사연 이렇게 보내주세요

△이메일 : phs2000@munhwa.com 

△카카오톡 : 채팅창에서 ‘돋보기’ 클릭 후 ‘문화일보’를 검색. 이후 ‘채팅하기’를 눌러 사연 전송 

△QR코드 : 라이프면 QR코드를 찍으면 문화일보 카카오톡 창으로 자동 연결 △전화 : 02-3701-5261

▨ 사연 채택 시 사은품 드립니다.

채택된 사연에 대해서는 소정의 사은품(스타벅스 기프티콘)을 휴대전화로 전송해 드립니다.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