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엔 중국산 철강제품…위기의 K철강, 초저가 앞에서 ‘휘청’

조윤희 기자(choyh@mk.co.kr) 2024. 12. 3. 08: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 철강재 최대 수입통로 인천항 가보니
국산보다 t당 10만~20만원 싼
선재 수입량 3년새 65% 늘어
후판은 2년 만에 4배로 급증
포스코·현대제철 등 직격탄
中열연 반덤핑 제소도 검토
인천항에 들어온 중국산 철판을 옮기고 있는 모습. [이충우 기자]
제1경인고속도로를 끝까지 달려가면 나오는 인천항. 인천 내항 북쪽으로 다시 차로 이동해 도착한 8부두 한쪽에는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라는 글귀가 선명하게 찍힌 4m 길이의 중국산 후판(철판)과 파이프가 가득 쌓여 있었다.

부산항, 울산항과 함께 3대 수출항으로 꼽히는 인천항은 한국에서 중국산 철강재를 가장 많이 들여오는 수입 창구다. 작년 한 해 인천항을 통해 80만t이 넘는 중국산 철재가 국내로 들어왔다. 이곳에 쌓인 수입 철강재는 전국의 국내 가공센터나 제조사로 유통된다.

인천항에서 수입산 후판을 유통하는 경안인터내셔널의 물류 담당자는 “매월 세 차례씩 들어오던 국내산 내수용 철판을 실은 배는 최근 1~2차례로 줄어든 반면 중국산 철강재를 실은 배들은 인천항을 수시로 드나든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중국산 저가 철강재 ‘밀어내기’로 국내 철강업계가 코너에 내몰리고 있다. 올해 상반기만 해도 공장 개·보수 기간을 늘리는 소극적인 방식으로 생산량 감축에 들어갔던 주요 제강업체들이 하반기 들어선 공장 셧다운(생산 일시 중단)을 연이어 단행하며 적극적인 감산 정책을 펼쳐야 할 정도다.

이미 포스코는 지난 7월과 9월 포항1제강공장, 포항 포스엠씨(PosMC) 가동을 중단했고, 지난달에는 포항1선재공장의 생산마저 멈췄다.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 생산시설 가동 중단을 결정하고 노조 측과 협의 중이다.

한국 철강산업을 이끄는 양대 제강사는 계절적 성수기인 지난 3분기에도 영업이익률 3%대를 넘기지 못했다. 포스코그룹 철강 부문은 지난해 3분기 5.4% 수준이었던 영업이익률이 올해 3분기엔 2.9%로 뚝 떨어졌다. 현대제철도 같은 기간 3.64%였던 영업이익률이 0.92%로 급락하며 역대 최저 수준의 수익성을 보이고 있다.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에 따른 직격탄으로 해석한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중국산 후판 수입 물량은 2021년 47만t에서 지난해 131만t으로 2년 사이에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10월까지 수입 물량은 104만t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산 선재 연 수입량은 지난해 약 91만t으로, 2020년(55만t) 대비 65%나 늘었다. 올 들어 10월까지는 62만t으로 집계됐다.

중국 내수 부진에 따른 여파다. 세계 철강 산업 1위 국가인 중국의 자체 철강 수요는 10년 내에 8억t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주변국에 제품 밀어내기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에서 유입된 저가 철강재는 한국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 후판 가격이 대표적이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인 두꺼운 철판으로 열간 압연, 가속 냉각, 열처리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철강 제품으로, 통상 배를 건조할 때 사용된다. 후판 가격을 두고 매년 상·하반기에 협상을 하는 조선업계와 철강업계는 중국산 후판 가격에 큰 영향을 받는다. 중국산 후판 가격은 국산보다 t당 10만~20만원가량 저렴하기 때문이다.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산 후판이 쏟아지다 보니 조선사와 후판 가격을 정하는 과정에서 한국 철강회사들의 협상력은 나날이 악화하는 추세다. 상반기에 이어 올 하반기에도 가격 협상이 원활하지 않아 내년까지 신경전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중국 철강업체들은 정부의 감산 의지와 민간 차원의 구조조정에 대한 필요성에도 조강 생산량을 줄이지 않고 있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국내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포스코는 2015년부터 수입재에 대응하기 위해 후판 GS400을 생산했다. 수출 시장에서는 고급 제품으로 승부하고 내수 시장은 중국산에 맞서 가격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었다. 하지만 가격 경쟁 심화를 부추겼을 뿐, 중국산 유입을 저지하기는 어려웠다.

수익 악화에 견디지 못한 철강사들은 급기야 정부 차원의 대응을 요구하며 중국산 철강재에 대한 반덤핑 제소에 나섰다. 현대제철은 단독으로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 신청에 나섰고, 산업통상자원부도 철강업계 의견을 받아들여 중국 후판 업체들을 상대로 반덤핑 조사를 진행 중이다.

철강업계는 중국산 열연에 대한 반덤핑 제소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열연 반덤핑 제소를 하면 저렴한 해외 열연강판을 활용해 가격 경쟁력을 유지했던 압연·강관사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어 국내 시장에 몰고 올 파장이 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