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이오의 역습···글로벌 시장 뒤흔든다
정부 지원·대규모 투자·혁신 R&D 3박자
10조 원대 초대형 계약 잇따라
선급금도 10~15% 수준으로 높아
韓 기술수출은 플랫폼 제외 주춤
"韓 규제개혁 등 적극대응 시급"
과거 한국에서 제약·바이오 기술을 배워가던 중국이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판을 흔들고 있다. 중국 바이오 기업들은 글로벌 대형 제약사와 수십조 원에 달하는 기술수출 및 대형 인수합병(M&A)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며 주목받고 있다.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바이오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문턱을 넘는 성과도 이어가고 있다. ‘바이오 굴기(崛起)’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과 기업들의 과감한 투자, 신기술 연구개발(R&D)의 3박자가 결합되면서 글로벌 바이오 혁신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중국계 국제 투자자문사 마이바이오캐피털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수출은 총 80건으로 2021년 41건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의 기술수출 및 M&A 계약이 다수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미국 머크(MSD)는 2022년 켈룬의 ADC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94억 7500만 달러(약 13조 1217억 원)를 투자했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은 지난해 쓰촨바이오킨에 84억 달러(약 11조 8000억 원)를 지불하고 항암 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
미국 의회가 생물보안법을 앞세워 중국을 견제하고 있지만 중국 바이오 의약품은 FDA의 문턱을 잇따라 넘고 있다. 지난해 10월 준시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코헤러스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 개발한 비인두암 면역항암제 ‘록토르지’로 FDA 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12월 바이오테라솔루션스도 표적항암제 ‘아브지비’로 FDA의 허가를 받았다.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는 이유는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정책, 대규모 투자, 혁신 연구개발(R&D) 등 3박자가 맞물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 국내 바이오벤처 대표는 “중국의 바이오 R&D 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보는 경향이 있지만 ADC·CGT에서는 이미 한국을 뛰어넘었다는 말이 나온다”며 “투자 확대, 규제 개혁 등의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으면 곧 따라잡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이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는 바이오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기술로 불리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이다. 우시바이오로직스로 대표되는 위탁개발생산(CDMO)을 넘어 신약 개발에서도 약진하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와 대규모 기술 수출 계약이 잇따르고 있는데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은 지난해부터 평균 15% 수준으로 크게 뛰었다. 기술 수준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기술 수출 규모는 사실상 정체 상태다. 더구나 기술 수출 대부분이 신약이 아닌 플랫폼으로 글로벌 신약 시장에서 입지 강화를 위한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팜큐브와 넥스트파마 등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 수출 상위 15건이 모두 10억 2000만 달러(약 1조 5000억 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머크(MSD),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노바티스 등 빅파마를 상대로 1조~3조 원에 이르는 기술 수출 계약이 이뤄졌다. 선급금은 계약에 따라 달랐지만 통상 10~15% 수준이었다.
최근 2년간 주요 거래를 보면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은 쓰촨바이오킨에서 ADC 파이프라인 글로벌 판권을 84억 달러(11조 8000억 원)에 사들였다. 선급금은 8억 달러(약 1조 원)다. GSK는 치마젠의 자가면역질환 파이프라인을 최대 5억 5000만 달러(약 7734억 원)에 계약했는데 선급금이 절반 이상인 3억 달러(약 4200억 원)에 달했다. MSD는 지난달 15일 중국 라노바에서 이중 항체 신약을 도입하면서 임상시험·승인·판매 등 단계별로 27억 달러(약 3조 8000억 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빅파마에 인수된 중국 바이오 기업의 파이프라인은 글로벌 무대에서 성과를 보였다. 미국 존슨앤드존슨(J&J)은 중국 레전드 바이오텍의 기술을 사들여 다발골수종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세포) 치료데 ‘카빅티’를 개발했다. 202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약물로 현존 CAR-T 중 가장 효능이 높고 상업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FDA 승인 등 신약 개발 행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빅파마와 인수합병(M&A) 거래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CAR-T 치료제 후보 물질을 보유한 그라셀을 지난해 12억 달러(약 1조 7000억 원)에 인수했다. 젠맙은 ADC 신약 개발 기업 프로파운드를 18억 달러(약 2조 5000억 원)에 사들였다. J&J는 이중 특이 항체에 중점을 둔 생명공학 회사인 프로티올로직스를 8억 5000만 달러(약 1조 2000억 원)에 사들였다. 한 신약 개발 회사 대표는 “중국 제약·바이오의 사례를 보면 계약의 가치를 알 수 있는 선급금이 한국의 기술 수출 사례보다 크게 높다”며 “한국에서는 사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빅파마 M&A도 다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특히 ADC, 이중 항체, CAR-T 등 혁신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기관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ADC 신약 후보 물질 개발 상위 10개 글로벌 기업 중 5곳이 중국계 바이오벤처다. 한국 기업은 리가켐바이오(141080)사이언스가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차이나카티셀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에서 CAR-T 치료제 임상시험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로 전 세계 CAR-T 임상시험의 51%가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2020년까지 1000건 이상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됐다.
반면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 기술 수출 사례를 보면 규모와 내용에서 중국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19년 8조 4315억 원, 2020년 10조 9782억 원, 2021년 14조 785억 원, 2022년 6조 3471억 원, 2023년 7조 9619억 원으로 2021년까지 증가세를 보이다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올해도 11월까지 49억 9300만 달러(6조 4909억 원)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선급금 비율은 각각 3.57%, 8.49%, 6.13%로 집계됐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중국은 정부 주도로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고 있고 산업의 성장을 위해 네거티브 규제를 하고 있다”며 “10년 전 해외로 유학을 갔던 인력들이 돌아와 바이오 산업에 종사하면서 양질의 인재 풀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직 중국의 임상시험 결과 등에 신뢰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중국 시장은 앞으로 더 커질 것이고 FDA 허가를 받는 약물도 더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쇼·경영난 호소하더니…정준하 소유 강남 '36억 아파트' 경매 넘어가
- “여자배구는 아기자기해”…송강호 결국 사과했다, 무슨 일?
- GD가 탔던 '그 차' 서울에 뜬다…'한강 시승 코스' 달릴까
- 해변서 주운 돌, 6만 년 전 유물이었다…英 소년의 ‘유레카’
- 조영남, 새 유서 공개 '재산 대부분은 '이 사람'에게 주고 싶다'
- '임영웅 신드롬' 학계도 주목했다…국민적 인기 얻게 된 이유 분석
- '임영웅이 또 임영웅 했다'…자선 축구 대회 수익금 12억 원 '전액 기부'
- ‘아빠’ 정우성, 논란 후 첫 공식 석상…“모든 질책 받겠다, 父 책임 다할 것”
- '50대 女알바와 숙박업소 간 남편…상간녀 딸이 되레 소송건다네요”
- '사생활 논란' 최민환, '성매매·전처 강제추행 의혹' 무혐의 종결…'증거 불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