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늘어나는 '2024년생'…9년 만에 출산율 반등할까
<앵커>
목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올해는 아기 울음소리가 좀 늘었다. 이런 소식 전해 드린 적 있었죠. 실제로 무려 9년 만에 처음으로 신생아 수가 반등할 가능성이 커졌다고요?
<기자>
2024년생이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당히 큰 폭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난 3분기에 태어난 아기가 6만 1천300명 가까이나 됩니다.
1년 전에 비해서 8% 증가했습니다.
2012년 4분기 이후로 12년 만에 가장 큰 폭의 분기 증가세입니다.
물론 워낙 지난해 태어난 아기의 수가 적었다 보니까, 조금만 늘어도 증가율이 커 보이는 효과는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두 분기째 신생아 수가 반등하면서 그 반등폭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건 의미가 있습니다.
2분기의 반등은 2015년 4분기 이후로 거의 9년 만에 첫 반등이었는데요.
사실 1년 전 2분기보다 딱 691명이 더 태어나는데 그치긴 했습니다.
그런데 3분기에는 1년 전보다 4천500명 넘게 늘어나면서 반등폭이 두드러졌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들어서의 누적 출생아 수 드디어 지난해를 넘어서기 시작했습니다.
연간 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역시 9년 만에 처음 보는 모습입니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추산되는 아이의 수, 즉 합계출산율이 올해 0.68명에 그칠 거라고 전망한 바 있는데요.
9월까지만 놓고 보면 반갑게도 빗나갔습니다.
9월까지의 누적 합계출산율 0.74명입니다.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이지만요.
그래도 한 달에 2만 명 선도 깨졌었는데, 지금 석 달 연속 2만 명대일 뿐만 아니라 9월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건 13년 만에 최대폭의 증가세입니다.
<앵커>
반갑고 또 기쁜 소식입니다. 신생아가 이렇게 늘어나는 이유도 설명해 주시죠.
<기자>
전에도 한 번 말씀드린 적이 있지만, 역시 2년 전에 결혼이 늘어났던 영향이 큰 걸로 통계청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초기에 미뤘던 결혼이 2022년 8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집중되는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었거든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첫 아이를 낳는 시기 보통 결혼식으로부터 2.5년 정도가 지났을 때로 집계되고요.
혼인신고는 결혼식으로부터 6개월 정도 뒤에 많이 합니다.
그러니까 2022년 8월에 혼인신고한 부부들의 첫째가 태어나고 있는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는 겁니다.
이것만 놓고 보면 "그러면 내년 1분기 이후로는 다시 출생아 수가 줄어들겠네" 생각할 수 있는데요.
최근에 결혼 건수가 다시 두드러지게 늘어나고 있다는 게 고무적입니다.
7월에는 1년 전보다 무려 33% 가까이 늘어서 역대 7월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요.
반짝 증가에 그친 게 아니라 8월에는 20%, 9월에도 18.8%의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혼외 출산도 할 수 있고, 결혼을 한다고 모두 아이를 낳는 것도 아니지만요.
그래도 아직은 우리나라에서는 결혼 건수가 증가하는 게 출생아 수로 증가로 직결되는 모습이 뚜렷하기 때문에요.
이렇게 지금 혼인 건수가 증가하면 계속해서 좀 더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겁니다.
정부의 올해 민생대책이 출산 지원에 집중돼 있는데요.
이게 실효를 거두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결혼하면 청약시장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었던 부분을 해소한 것, 또 신생아 특례대출과 신생아 특별공급, 결혼과 출산 시에 증여세 혜택 같은 대책들이 대표적으로 꼽힙니다.
부부가 6개월 한도 안에서 육아휴직을 좀 더 같이 오래 쓸수록 받을 수 있는 휴직 급여가 계속 늘어나도록 하기도 했고요.
<앵커>
이런 추세가 계속 이어지려면 결혼도 출산도 해 볼 만하다. 이런 인식이 늘어나야 될 텐데, 실제로도 긍정적인 인식이 꽤 늘어나고 있다고요?
<기자>
지난달에 저출산위원회가 공개한 사회 조사 결과를 보면 자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20대 후반 여성이 48.1%인데, 이게 지난 3월 조사보다 13.7%P나 높아진 겁니다.
같은 연령대의 남성도 10% 포인트 가까이 높아졌습니다.
[임영일/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30대 여성 인구가 증가하고 30대의 출산율이 증가한 영향이 출생아 수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출산에 대한 인식이 사회조사 결과 1년 전에 비해서 조금 늘어난 부분이 있어서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그전 조사에서 워낙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왔던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도 이제 바닥은 쳤다는 얘기가 조심스럽게 나옵니다.
뭘 해도 안 되는 건 아니다, 국가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인구 대책을 지속적으로 올린다면 좀 더 큰 변화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의 반등세에서 가장 중요한 건 이런 인식이 좀 더 힘을 얻게 됐다는 점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권애리 기자 ailee17@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유명 셰프?" 쇠막대기 길고양이 학대범, 알고 보니
- 복용하고 남은 식욕억제제 '나비약' SNS서 판 20대 벌금형
- 음주단속 300m 앞에서 '불법 유턴'…'아찔'한 추격전
- "출동 잘하나 보자"…일부러 불 지른 경북도의원들 논란
- 용인서 집 앞 눈 치우던 60대, 쓰러진 나무에 깔려 숨져
- "재작년 미국서 11만 명 목숨 잃어…18∼49세 미국인 사망원인 1위"
- 빙판길 차량 53대 잇따라 추돌…11명 부상
- 명태균 구속적부심 청구 기각…구속 상태 유지
- 호남고속도로 서대전IC 인근 화물차 전도…"귤 상자 쏟아져"
- "바다 온도 역대 최고" 117년 만의 이변…더운 바다의 역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