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점번호’로 내 위치 기반 구조요청 하는 법[이럴땐 이렇게!]

남시현 2024. 11. 25. 12: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소방청이 발표한 최근 3년 간 산악사고 통계에 따르면, 산악사고 구조활동은 3년 간 3만 3000여 건에 달했으며 이중 인명 피해는 6995명입니다. 구조 활동은 코로나 19로 국내 활동 빈도가 높아진 21년에 1만 2000명으로 다소 높았고, 22년과 23년에는 각각 1만 389명과 1만 807명으로 낮아졌습니다. 인명 사고는 봄철인 3월과 4월, 그리고 낙엽이 많은 10월에 많이 발생했고, 그 원인으로 젖은 낙엽으로 인한 실족 등이 지목됐습니다.

전국 곳곳을 다니다보면 노란색 ‘국가지점번호’ 표지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한편 행정안전부는 산악사고 및 인적이 드문 곳에서 발생한 사고 시 빠르게 인명을 수색할 수 있도록 2013년부터 우리나라 주요 등산로 및 교외 지역에 ‘국가지점번호’ 표지판을 설치 중입니다. 등산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 번호를 말해주면 빠르게 구조될 수 있다는 점은 이제 상식이죠.

하지만 국가지점번호를 찾지 못했거나, 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구조를 받지 못하는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럴땐 이렇게를 통해 국가지점번호 기반 신고 방법, 그리고 본인 위치 확인 방법 등을 고루 소개해드립니다.

국가지점번호, 특정 지역 뿐만 아니라 전 국토 구분하는 좌표

국가지점번호는 이어도해양기지에서부터 시작하며, 우리나라 전체 국토를 다양한 축적으로 구분해 놓은 좌표 정보입니다 / 출처=깃허브

국가지점번호는 우리나라 전체 국도를 100km, 10Km, 1Km, 100m, 10m 정사각형 격자로 자른 뒤, 구획마다 부여된 위치 번호입니다. 도로명주소법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산악이나 하천, 해안 등 주변 정보가 없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즉 표지판에 있는 국가지점번호는 표지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표지판이 없는 위치도 모두 국가지점번호가 지정돼 있습니다.

우선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해 구조 요청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국가지점번호는 주로 산 속이나 해안가, 도서 산간지방 등에서도 사람이 많이 방문하는 곳 위주로 설치됩니다. 표지판의 정식 규격은 가로 520mm 세로 300mm의 판 형태고, 세로 형태도 있습니다. 설치 및 관리는 지방자치단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지역마다 표지판의 형태나 모습 등은 조금씩 다르지만, 노란색 반사 필름 배경에 검은색 글씨로 국가지정번호를 적어놓는 게 기본입니다.

실제로 설치된 국가지점번호 예시 / 출처=행정안전부

보통은 등산로 등의 안내판에 크거나 작게 부착되기도 하고, 119가 등산로 등에 설치한 응급 구조 키트 등에 부착돼있기도 합니다. 사람이 많고 식별이 쉬운 산 정상, 헬기장 등보다는 산 중턱이나 갈림길 등에 더 많이 배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자체에 따라서는 QR코드 등으로 더 빠르게 구조 요청을 돕는 메뉴를 만들기도 합니다.

해당 번호판을 인지했으면 그 이후는 간단합니다. 위급 상황 시 119나 112에 구조를 요청한 뒤 국가지점번호를 알려주면 구조대가 파견됩니다. 이때 오차가 10mX10m인 만큼, 표지판으로부터 목소리가 닿을 정도의 위치에만 있다면 구조대가 정확하게 환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산불이나 산사태, 해일 등 천재지변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에도 국가지정번호를 기반으로 신고하면 대처가 훨씬 빠릅니다.

행정안전부의 도로명주소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국가지점번호를 누르면 실제 위치 대상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 출처=IT동아

하지만 비법정 등산로나 갯바위, 연안 앞바다 등 인적이 드물어 국가지점번호를 확인할 방법이 없는 곳에서는 국가지점번호가 없는 곳이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때는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주소 정보(juso.go.kr)로 접속하면 표지판이 아닌 본인 위치의 국가지점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주소 정보를 스마트폰 주소창에 입력한 뒤, 홈 화면에서 ‘국가지점번호’를 누릅니다.

그다음 기기의 위치 정보를 ‘이번에만 허용’ 혹은 ‘방문할 때마다 허용’을 선택하면 지도에 본인 위치가 표기됩니다. 다음 우측 메뉴에서 ‘나의 위치 지점 번호’를 터치하면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국가지점번호가 표기됩니다. 웹 서비스를 활용한 나의 위치치지점번호 확인은 도심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교외지역이나 인적이 드문 산지 등에서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가지점번호 없다면, 주변 기물 이용하는 것도 방법

만약 국가지점번호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떨까요? 이때는 기관이나 시설에서 설치한 위치 표지판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국가지점번호 이외에도 지자체 기초번호판, 한전 전산화 번호, 112 위치번호, 가로등 번호, 도로명 주소 표지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및 기관 등에서 설치하는 다양한 표지판 종류, 읽을 줄 안다면 신고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출처=해광기업

지자체 기초번호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건물이 없는 장소나 교통 신호등 등의 도로 시설물 위치 및 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하는 표지판입니다. 신고 시에는 한글로 상단에 적힌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말하면 됩니다. 한전 전산화번호는 전신주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표찰입니다. 위쪽에서 두 번째 줄까지 일곱 자리는 위도와 경도, 세부위치정보를 알려주며, 그 아래는 선로번호를 뜻합니다. 신고 시에는 전산화 번호만 알려주면 됩니다.

112 위치번호는 경찰서에서 관리하는 위치 번호, 그리고 관할 경찰서가 기재돼 있습니다. 주변 건물 등에 특이점이 없어 신고가 어려울 경우, 이 표지판의 위치번호만 알려주면 됩니다. 가로등 번호는 시설 구분과 관리번호가 적혀 있고, 시설 구분과 관리번호를 정확히 얘기해주면 되고, 도로명 주소는 말 그대로 상세 주소를 뜻합니다.

최근 112와 119 모두 문자로 위치를 신고할 수 있으므로 지도 앱을 캡처해서 보내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런 표지판을 활용하면 더 정밀하게 위치를 알릴 수 있습니다. 특히나 인적이 드문 곳을 가는 경우가 많다면 더더욱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Copyright © IT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