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막차 폭증에…3분기 가계빚 18조원↑'3년만에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보다 한발 먼저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3분기 우리나라 가계 빚이 3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특히 예금은행 가계대출이 주담대 중심으로 22조 7000억 원 많이 증가했다"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늘어난 주택 매매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가계대출과 주담대 모두 2021년 3분기(+34.8조·20.9조 원) 이래로 3년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담대 증가폭 20조 달해…2021년 3분기 이후 최대 증가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정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보다 한발 먼저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3분기 우리나라 가계 빚이 3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 특히 주담대가 20조 원 가까이 폭증했다.
다만 수도권 주택 거래량이 둔화하고 있어 당분간 가계부채는 함께 둔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 통계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13조 8000억 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18조 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가계 빚 증가 규모가 2분기(+13.4조 원)보다 4조 6000억원 확대됐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직전이었던 2021년 3분기(+35조 원) 이후 딱 3년 만에 가장 큰 증가 규모를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가계대출)과 카드사·백화점 등에서 외상으로 산 금액(판매신용)을 더한 결과다. 가계가 짊어진 빚의 전체 규모를 보여준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2022년 4분기(-3.6조 원) 당시 약 10년 만에 처음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1분기(-14.3조 원) 2002년 말 통계 집계 이후 최대 폭으로 감소했지만, 작년 2분기(+8.2조 원)부터는 증가세로 돌아서 1년 반째 증가해 오고 있다.
이번 가계신용 증가 폭 확대는 가계대출, 그중에서도 '주담대'가 이끌었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특히 예금은행 가계대출이 주담대 중심으로 22조 7000억 원 많이 증가했다"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늘어난 주택 매매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비은행 기관에서도 가계대출은 주택 외 부동산담보 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을 중심으로 1조 7000억 원 감소하며 감소세를 이어갔으나, 주담대가 증가 전환하면서 감소 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3분기 가계대출은 16조 원 증가해 전 분기(+13.3조 원)보다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이 중 주담대가 19조 4000억 원 급증하면서 전체 가계신용 증가세를 나 홀로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 분기(+16조 원)와 비교해 증가 규모가 3조 4000억 원 늘었다.
가계대출과 주담대 모두 2021년 3분기(+34.8조·20.9조 원) 이래로 3년 만에 가장 크게 뛰었다.
반면 기타 대출(-2.7조 → -3.4조 원)은 증권사 신용 공여 감소 등으로 12분기 연속 감소를 지속했다.
다만 부동산 시장 경기가 주춤하면서 앞으로 가계부채는 둔화세를 계속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 팀장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 등 거시건전성 정책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으로 9월부터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 흐름을 보였다"며 "이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가 7월 이후 둔화하고 있어 주택 거래에 후행하는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한은은 금융 불안 관련 우려를 한결 덜어낸 상황으로 보인다.
김 팀장은 "우리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 "가계부채를 급격히 줄이면 소비 등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 한은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하향 안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3분기 가계신용 증가 폭 18조 원은 2015~2023년 장기 평균 22조 2000억 원을 하회했다"며 "올해 3분기까지 가계신용 누적 증가율은 1.5%로 명목 GDP 성장률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2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1%로 집계됐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성욕 강해 이별…하루 13번 가능, 다자연애 원해" 서장훈 만난 경찰의 고백
- 신혼 2개월 남편 "클럽 갔지만 난 먼저 나왔다" 당당…시모는 "웃어넘겨라"
- 김병만 "부모님, 교사인 재혼녀와 결혼 반대…난 판단력 흐려" 발언 눈길
- "'첫 성관계, 300만원'…유명 대기업 대표, 24살 어린 내 약혼녀와 성매매"
- 스토킹 무서워 부산서 서울 이직…오피스텔까지 찾아와 보복 살인한 남친
- 수의 입고 삭발 유아인 "배우로서 큰 타격 감내" 선처 호소
- 조여정·성시경, 13년 전 홍콩서 만나자마자 뽀뽀…"어색했지만"
- 9둥이 엄마 "남편 유전자 너무 뛰어나…더 낳아 12개 띠 완성"
- 조여정 "눈앞에서 송승헌·박지현 베드신 민망했냐고? 집중했을 뿐"
- 에일리, 3세 연하 '솔로지옥' 최시훈과 내년 4월 결혼 "평생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