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근의 헤디트]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는 의미
(지디넷코리아=이창근 헤리티지랩 디렉터‧박사(Ph.D.))한국 고유의 오방색에 꽃의 빛깔을 접목, 우리 삶의 흐름을 춤언어로 표현한 동시대 한국창작무용을 만났다. 작품명부터 서정성을 전한다. 윤미라무용단의 ‘화첩-공무도화’. 흑-청-황-적-백색으로 다섯 빛깔의 극명함이 국립극장 대극장을 수놓았다. 70분 러닝타임의 시공간과 오브젝트를 극대화한 프로로젝션맵핑이 무용수들의 무브먼트와 컬래보레이션해 관객들에게 강렬한 내러티브를 선사했다.
공연은 오방(北‧東‧中‧南‧西)에 따라 총 5개 파트로 구성됐다. 검음(북쪽)부터 파랑(동쪽), 노랑(중앙), 빨강(남쪽), 하양(서쪽)까지. 만물의 생명을 머금은 북쪽의 어둠은 곧 죽음의 세계. 검음에서 생명 피움에 대한 충동은 점점 어둠의 빛깔을 벗겨낸다. 이어 파랑, 노랑, 빨강의 색을 지닌 꽃을 피웠다가 하양으로 피날레를 장식한다.
1장 검음은 ‘종이꽃–검은 눈물’이다. 응축하는 기운의 색. 태고의 어둠을 물로 승화했다. 어둠의 물은 만물의 근원을 품었다가 다시 내려주는 생명수가 된다. 2장 파랑은 ‘부레옥잠–물의 기억’이다. 상승하는 기운. 생명이 솟아오르는 푸른 기운을 목마름으로 표현했다. 삶의 기운이 아무리 성성해도 아직은 물을 떠날 수 없다. 3장 노랑은 ‘유채꽃–바다 사이’다. 조화하는 기운, 서로 몸을 비비고 살아가는 중생을 닮은 꽃을 표현했다. 생명의 만개한 땅의 한가운데 서 있는 유채로. 4장 빨강은 ‘동백–오래된 혈흔’이다. 발산하는 기운. 붉은 것의 외로움을 표현했다. 불이 불이고 꽃이 꽃인 것은 그 피어오름의 순간이 언제나 홀로였다.
마지막 5장 하양은 ‘안개꽃–바람에게’다. 하강하는 기운의 색이다. 서천은 안개꽃같이 무진극락이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바람도 숨죽인 그 빛 사이로 사라진, 사리와도 같은 없음의 세계다. 꽃이 춤이 되고 춤이 꽃이 되는 춤을 타고 넘어 꽃에 다다르는 그 꽃마저 사라져야 할 서천꽃밭으로 말이다.
오랜만에 장쾌한 대형 창작무용을 만났다. 작품 제목처럼 다섯 편 장면이 선연한 색채의 화폭으로 잔상에 남는다. <화첩-공무도화>는 2008년 아르코예술극장 공동기획공연으로 초연됐다. 2009년에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 재공연됐으며, 2010년 12월에 세종문화회관 초청공연 이후로는 올해 무대에 처음 올랐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무용학부에 한국무용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는 윤미라 안무가는 평단에서 ‘색채감 짙은 춤 창작과 생명성의 기운을 살리는 한국창작무용가’로 정평이 나 있다. 2008년 공연과 리뷰 62호에 따르면 여러 인상적인 미감들을 만들어내는 특징이 있다. 그 속에 있는 춤의 유려한 형식적 전개와 변주가 매우 독특한 미감과 외적 생명감을 지니고 있어서 근본적으로 윤미라 안무가 그녀만의 생명적 표현성을 내재한, 우리 시대의 한 이상적인 신고전주의자라고 김태원 무용평론가의 비평이 한 예술가로서의 아이덴티티를 간결하게 설명한다.
윤미라 예술감독은 이번 공연에서 “최근 많은 한국창작춤들의 변형된 흐름에서, 우리 춤이 갖는 고유의 서정성은 바닥 깊숙한 곳에서 침잠의 긴 시간을 덧없이 보내는 듯했고, 새삼 그럼 서정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시류를 거스르는 퇴행의 산물처럼 느껴져 멈칫거리곤 한다”며 “하지만 짧은 시 한 구절에 여전히 설레기도 하고, 감동을 전하기도 하며, 아련한 그리움에 가슴을 여미는 순수가 지금도 우리들 마음 한쪽에 남아 있음을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마음에서 새롭게 다듬어진 버전으로 시적 이미지를 무대에 형상화했다”고 작품의도를 말했다.
이번 공연에서 1989년 창단한 윤미라무용단의 전현직 단원들이 대거 참여했다. 주역에 이홍재, 봉정민, 정지윤, 이상봉, 최지원, 윤초아, 이수라를 비롯한 총 54명의 무용수가 출연했다. 지도에 강지혜, 최지원. 진행에 권민정, 강수인. 제작지원에 영상디자인 최종범, 조명디자인 신호, 의상디자인 이미현, 영상기록 지화충, 사진기록 옥상훈 등의 분야별 스태프가 참여했다.
공연물의 존재 이유 중 하나는 무엇보다 ‘위로’의 기능이다. 작품의 시작은 달도 없는 깜깜한 그믐밤이다. 윤미라 예술감독은 “그믐은 생명이 가득 찬 비어 있는 어둠을 상징한다”고 초연 당시 밝힌 바 있다.
그믐의 어두운 물은 만물의 근원을 품었다가 다시 내려주는 생명수와 같다. 동시대적 춤은 예술의 존재 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탐색하며 우리에게 사유와 성찰의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작품 속의 종이꽃, 부레옥잠, 유채꽃, 동백, 안개꽃은 우리 마음속 억압된 감정의 응어리에 카타르시스가 되는 작금의 예술선물로 다가온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는 의미에 몰입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 헤디트(He.Di.T) : 문화자원(Heritage) + 첨단기술(Digital) + 예술창작(Art) [편집자주]
이창근 헤리티지랩 디렉터‧박사(Ph.D.)(art@herista.com)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창근의 헤디트] 디지털 K콘텐츠의 전진기지
- [이창근의 헤디트] 무한한 상상, 디지털 헤리티지
- [이창근의 헤디트] 도시-예술이 공존하는 매력 콘텐츠
- [이창근의 헤디트] ICT로 확산하는 K-컬처,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 [이창근의 헤디트] Media-Art 백제역사유적지구(실태 리포트 2호)
- "더 비싸졌다" vs "부담 줄었다"…배달앱 상생안 놓고 충돌
- 엔비디아 '블랙웰'에 또 문제?…빅테크, AI 기술 고도화 '타격'
- 전세계 자국 중심 반도체 키우는데...韓 소부장, 정부 협상력 절실
- 지스타2024 끝, 출시 앞둔 신작 게임은
- CJ그룹 정기 임원인사...CJ주식회사 경영지원대표에 허민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