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부 죽었다” “심판 각오해야” 이재명 1심 중형에 독한 말 쏟아낸 친명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이 이재명 대표에 대한 1심 재판부의 중형 선고에 "정치 탄압"이라며 격한 분노를 쏟아냈다.
이들 의원은 이 대표에 대한 법원 선고가 나온 직후 일제히 SNS 등을 통해 윤석열 정부와 사법부를 겨냥한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친명계로 분류되는 김병기 의원은 15일 이 대표 1심 선고 직후 SNS에 "명백한 정치 탄압이며 사법부를 이용한 야당 죽이기"라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권의 정적 죽이기…심판 각오해야”
더불어민주당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이 이재명 대표에 대한 1심 재판부의 중형 선고에 "정치 탄압"이라며 격한 분노를 쏟아냈다. 이들 의원은 이 대표에 대한 법원 선고가 나온 직후 일제히 SNS 등을 통해 윤석열 정부와 사법부를 겨냥한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친명계로 분류되는 김병기 의원은 15일 이 대표 1심 선고 직후 SNS에 "명백한 정치 탄압이며 사법부를 이용한 야당 죽이기"라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민생은 외면한 채 오직 야당 탄압에만 혈안이 돼 있는 윤석열 정권의 만행"이라며 "우리는 굴하지 않을 것이며, 이번 판결을 계기로 더욱 단결해 정권 폭주를 막고 민주주의를 지켜내겠다"고 했다. 또 국민을 향해 "부디 이 부당한 현실에 분노해 주시고 함께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강선우 의원은 "참담하다. 차마 드릴 말씀이 없다"며 "군복을 입고 총을 든 군사독재보다 더 독한, 양복을 입고 영장을 든 검찰 독재 정권의 사법살인"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앞으로 대통령 선거는 이기고 지는 경기가 아니라, 살아남거나 죽게 되는 살육의 잔치가 될 것"이라며 "무제한적인 검찰권을 합법으로 둔갑시켜 무기로 앞세운 김건희 정권으로부터 도둑맞은 민주주의를 되찾겠다. 표현의 자유를, 법 앞의 평등을, 공정과 상식을 다시 찾아 바로 세우겠다"고 했다.
원내정책수석부대표인 김용민 의원은 "터무니없는 재판 결과에 유감을 표한다"며 "참담함을 금할 길이 없다. 검찰과 법원은 윤석열 정권과 같이 국민 심판을 각오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또 "윤석열 정권의 정적 죽이기 의도가 명확한 사건이었다"며 "오늘 이재명 대표에 대한 유죄 선고는 사법 개혁의 신호탄이자 정권 몰락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수진 민주당 의원도 SNS에 "대한민국 사법부는 죽었다"고 짧게 썼다. 정책위의장인 진성준 의원은 "민주당에 커다란 시련이 닥쳤지만 우리는 무릎 꿇지 않을 것"이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이 사형선고를 넘어 살아난 것처럼 이 대표는 저 무도한 탄압을 뚫고 마침내 승리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부장 한성진)는 이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이 대표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공직선거법상 집행유예의 형이 선고돼 확정되면 의원직을 잃고, 향후 10년 간 피선거권이 제한돼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최준영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동방신기 출신 시아준수, 아프리카TV 여성 BJ에 협박당해…8억 원 뜯겨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속보]이재명 ‘선거법 위반’ 1심서 징역 1년, 집유 2년...‘사법리스크 핵폭탄’ 터졌다
- [단독]도메인값 1만원에… 수능이 농락 당했다
- [단독]시민 수백명 ‘한동훈’ 이름으로 ‘尹 비방글’ 쓴 작성자 고발
- “집주인인데 배관 확인 좀”…문 열었던 20대女 성폭행 위기서 탈출
- [속보]삼성전자,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나선다, “주주가치 제고”
- 초등생 6명 100차례 성폭행 교사 ‘무관용’ 사형…中 “무관용 원칙”
- 너무나 늦은 ‘단죄’… 윤미향 징역형 확정
- “전쟁에서 다쳤는데 이것밖에 안 줘?”…푸틴, 부상병 보상금 삭감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