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그때 제대로 사과했다면
英 총리·美 대통령 운명도 ‘흔들’
절절한 참회는 그래도 통했다
이제라도 사과가 답임을 알아야
때론 안 하느니만 못한 사과도 있다. “많이 후회합니다. 전 그저 직원들을 격려하는 업무 행사라고 여겼습니다.” 2020년 5월 코로나 방역 수칙을 어기고 술 파티를 벌였다는 증거가 잇달아 나오자 당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머리를 조아렸다. 민심을 돌이키기엔 애석하게도 사과가 어설펐다. 직원들과 술 마신 것을 깨끗이 인정했다면 차라리 나았을 것이다. ‘업무인 줄 알았다’는 해명에 여론은 들끓었다. 야당은 “국민을 바보로 아느냐”고 했고 ‘사임하라’는 국민 요구는 더 거세졌다. 서툰 사과가 불붙은 사태에 기름을 끼얹은 것이다.
뼛속 깊은 사과는 반면 얼어붙은 마음을 움직인다.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워터게이트 스캔들로 물러난 뒤 국민 비호감으로 찍혀 은둔했다. 이후 한 언론과의 TV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친구들을 실망시켰습니다. 나라를 실망시켰습니다. 미국 국민을 실망시켰습니다.” 투박했지만 절절했다. 영국 인디펜던트지는 “그에겐 미국 사회에서의 점진적 재활을 가능케 해준 고백이었고, 미국인들은 이 말로 그를 (용서하고) 보낼 수 있었다”고 했다.
사과(謝過)도 기술이다. 제대로 된 사과는 위기를 기회로 바꾼다. 심리 치료사 가이 윈치는 사과를 두고 ‘죄책감의 해독제’와도 같다고 했다. “사람들이 서로 사과하는 것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고통스러울 뿐 아니라 생존에 필요한 관계가 악화될 수 있어서다.” 거꾸로 해석하면 사람들이 사과를 받아들이는 것도 결국 ‘그래야만 살 수 있어서’라는 소리다. 누구나 결국엔 사과를 받아주고 싶어 한다. 그래야만 덜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다만 전제는 있다. 그 사과가 제대로 된 것일 때만 그렇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사과란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빈다’는 뜻이다.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확실하고 구체적으로 말해야 한다(認定)는 얘기다. ‘유감이다’라는 말로 넘기거나 ‘제가 ~한 것이 맞다면’ 식의 조건이 붙는다면 역시 제대로 된 사과일 순 없겠다.
문제는 제대로 사과하는 모습을 보는 경우가 여전히 드물다는 데 있다. 15일 오후 우리는 남색 정장을 입은 남자가 서초동 법원 앞에서 판결 결과를 놓고 “기본적인 사실 인정부터 도저히 수긍하기 어렵다”고 말하는 것을 보았다. ‘유감이다’ ‘안타깝다’는 회피의 말조차 꺼내지 않았다. 자기 잘못을 한 톨도 인정할 수 없고 사법부가 문제라는 식이었다.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賊反荷杖)’는 표현을 우리는 이럴 때 쓴다.
지난 7일엔 연보랏빛 넥타이를 맨 남자가 고개를 숙이는 것도 보았다. 그러나 무엇에 대해 사과하는지 물었을 때 그는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했고, “기자회견 하는 마당에 팩트를 다툴 순 없는 노릇”이라고도 했다. ‘무엇을 잘못했는지 구체적으로 말하라’는 기본 원칙조차 챙기지 못했다.
언제쯤 온전한 사과를 들을 수 있을까.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부인 로라 부시 여사는 자신이 17세에 실수로 낸 자동차 사고로 친한 친구가 숨진 것을 고백했고 이를 책으로 썼다. 그는 “그 일은 내 몸에 난 큰 상처와 같고 평생 짊어지고 살아가야 할 죄책감”이라고 했다. 전 세계 최대 도서 리뷰 업체 굿리즈는 이 책에 상(賞)을 수여하며 이렇게 밝혔다. “완벽한 사람은 없다. 영부인이라고 해도 예외는 아니다. 좋은 사람이란 그럼에도 자기 잘못을 인정하는 용기를 통해 완성된다는 것을 그가 보여준다.”
결국 용기만이 답이라는 얘기다. ‘내가 정말 잘못했다’고 진심으로 말하는 용기를 낼 수 있다면, 그 짧지만 뜨거운 말이 얼어붙은 빙하를 녹일 테니까. 우리에겐 그저 먼 얘기만은 아니길 바랄 뿐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