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스크] 94학번 아빠와 2024년 수험생 아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도 11월 셋째주 목요일이 오자 어김없이 대학수학능력(수능) 시험이 치러졌다.
하지만 올해 수능장으로 향한 이들의 자녀 세대로 가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이렇게 다른 세상을 사는 아이들이 올해 수능 시험장에서 마주한 언어 영역, 수학 영역, 탐구 영역, 외국어 영역의 시험은 어떤가.
이 같은 암울한 전망은 올해 수능 시험을 치른 세대들이 사회에 진입할 시기에 닥칠 일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학 입학후 디지털과 만나
30년 후 수능 본 이들 자녀
AI시대에 낡은 시험 그대로
고학력도 AI에 일자리 뺏겨
파고 넘도록 교육도 변해야
올해도 11월 셋째주 목요일이 오자 어김없이 대학수학능력(수능) 시험이 치러졌다. 이날이 오면 수많은 회사가 직원들의 출근 시간을 늦춘다. 영어 듣기 평가 시간엔 전국에서 항공기 이착륙도 전면 금지된다. 너도나도 수험생들을 배려하는 모습은 한국의 대단한 교육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1993년 처음 실시된 수능은 어느덧 한국 사회에 뿌리내린 지 30년이 넘어 자녀의 입시를 치르는 부모 세대도 바뀌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학력고사 세대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90년대 수능을 치른 세대가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지난 30년 동안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다.
1993년 수능을 치르고 대학에 진학한 94학번들은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야 비로소 디지털을 접했다. 이들은 스무 살에 한글 타자 연습을 시작했고, 컴퓨터에 전화선을 꽂고선 천리안에 접속해 반쪽짜리 인터넷을 즐겼다.
1997년엔 다음커뮤니케이션이 개발한 한메일에 가입하며 신세상을 만났다. 졸업할 즈음인 1999년엔 네이버가 등장했지만, 훗날 취업 시장에서 '네카라쿠배' 선호 현상이 생길진 상상도 못했다.
하지만 올해 수능장으로 향한 이들의 자녀 세대로 가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올해 수능을 보는 고3은 2006년생으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이들은 모바일을 통해 전 세계를 넘나들며 자랐다. 인공지능(AI)의 쾌거인 챗GPT가 2023년 등장했을 때 그다지 놀라워하지 않을뿐더러, 빠른 속도로 체화하고 있다. 요즘 10대들은 주식 투자에도 관심이 많다 보니 '네이버, 삼성전자보다 엔비디아'라며 서로 종목을 추천해준다. 이들은 AI시대에 엔비디아가 어떻게 자신들의 용돈을 불려주는지도 잘 알고 있다.
이렇게 다른 세상을 사는 아이들이 올해 수능 시험장에서 마주한 언어 영역, 수학 영역, 탐구 영역, 외국어 영역의 시험은 어떤가.
영역별 구성 과목과 점수 등 형식은 주구장창 변했지만 본질적으론 30년 전 그들의 부모들이 마주한 문제와 다를 게 없다. 수능이 처음 등장할 땐 교과서에 없는 지문과 문항으로 문제 해결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는 평가라도 나왔다. 하지만 결국 등급을 나누기 위해 서열화하는 수단으로 자리를 잡다 보니, 사교육만 좋아할 킬러문항이 득세하며 교육을 더욱 망쳤다. 매년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가 제기되면서, 해마다 '운빨' 논란도 끊이지 않는다.
전 세계가 AI 주도권을 잡기 위해 인재 양성에 발 벗고 나선다는 시대에 한국 교육의 민낯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30년엔 현재 일자리의 90%가 AI로 대체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블루칼라 뿐 아니라, 검사, 고위공무원, 연구원 등 화이트칼라도 예외가 없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도 의사·회계사 등 고소득·고학력 근로자의 일자리가 AI에 의해 빠르게 대체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같은 암울한 전망은 올해 수능 시험을 치른 세대들이 사회에 진입할 시기에 닥칠 일이다.
이젠 우리 사회가 미래 인재 양성에 책임과 연대의식을 가져야 한다. 대변혁의 시대는 쓰나미처럼 다가오는데, 기성세대들이 '내 일이 아니다'라며 팔짱만 끼고 있어선 안 될 노릇이다. 당장 대입을 대표하는 수능을 통해 어떤 역량을 기를 수 있는지, 문제가 있다면 학교 교육을 어떻게 전환할지 원점에서 따져봐야 할 것이다. 나아가 다음 세대가 AI시대의 파고를 넘을 역량을 키울 수 있게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젊은 세대가 일과 삶에서 희망을 놔버리지 않게 사회가 역할을 다하는 것, 그것이 한국의 교육열이어야 한다.
[이윤재 오피니언부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미안하다, 사랑한다”...김혜경 ‘선거법 위반’ 1심서 벌금 150만원 - 매일경제
- “한가인 호텔 결혼식 축의금 5만원” 김숙, 미안해서 한 행동 - 매일경제
- “걱정 안하고, 은퇴하려면 얼마면 되나”…직장人 설문조사 해보니 [언제까지 직장인] - 매일경
- “식당 번호까지 차단당했다”…90명 단체 노쇼, 피해액만 무려 - 매일경제
- “이봐 해봤어?”…정주영 공법으로 인천 앞바다 지도 바꿨다는데 - 매일경제
- 삼성전자에서 돈 빼는 외국인투자자들, 어디로 가길래 - 매일경제
- 고교시절 여고생 집단 성폭행한 20대 8명…대법원 판결은 - 매일경제
- 전남편 7년 만 만났는데...채림, ‘사생활 허위글’에 분노 - 매일경제
- “욕심부릴 때가 아니다”…신고가 쓴 비트코인을 향한 ‘경고’ 나왔다는데 - 매일경제
- 지난 시즌 유럽 최고였던 손흥민은 또 발전하고 있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