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포항공대와 1700% 신축성 우수한 웨어러블 소자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 연구팀이 신축성이 우수한 열전소자를 개발해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KAIST는 문홍철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박태호 포항공대 교수팀과 열역학적 평형을 조절해 기존 N형 열전갈바닉 소자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 연구팀이 신축성이 우수한 열전소자를 개발해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KAIST는 문홍철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박태호 포항공대 교수팀과 열역학적 평형을 조절해 기존 N형 열전갈바닉 소자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4일 밝혔다.
열전 소자 성능을 높이려면 P형과 N형 소자를 통합해야 한다. 그동안 P형 열전 소자와 달리 N형 열전 소자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다. 게다가 N형 열전 소자는 P형에 비해 성능이 떨어져 통합형 소자 구현 시 성능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연구팀은 스스로 산성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젤 소재를 개발해 이온을 주요 전하운반체로 사용한 이온성 열전 소자 중 한 종류인 열전갈바닉 소자를 구현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젤 소재를 활용해 하이드로퀴논(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데 사용된 전기화학 반응물) 레독스 반응(산화·환원 반응)의 열역학적 평형을 효과적으로 제어해 고성능 N형 열전 소자 특성을 구현했다.
젤 소재는 약 1700%의 우수한 신축성을 나타내고, 상온에서도 20분 이내에 99% 이상의 높은 자가회복 성능을 구현하도록 설계됐다.
그 결과, 손목에 부착된 소자는 몸에서 계속 유지되는 체온과 주변 환경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했다.
문홍철 교수는 “기존 N형 이온성 열전 시스템이 지닌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했다”며 “체온을 활용한 전원 시스템 실용화를 앞당기고, 웨어러블 소자 구동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에너지앤인바이론멘탈 사이언스(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지난 7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강민구 (scienc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 경찰, 오늘 '마약 투약 혐의' 유아인에 구속영장 신청
- 2차전지 미련 못 버리는 개미군단 '포퓨'로 진격…포스코그룹株 주가는 글쎄
- '최고 158km' 안우진, 6이닝 2실점 역투...키움, 3연패 탈출
- "보증금, 집주인 아닌 제3기관에 묶는다고"…뿔난 임대인들
- 상간소송 당하자 "성관계 영상 유포하겠다" 협박한 20대 여성[사랑과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