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포럼] 기초학문의 위기

김기동 2024. 11. 14. 00: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송’ ‘인구론’에 ‘문·사·철’ 찬밥
어문학 계열·사회학 폐과 잇따라
취업률 평가·무전공 확대 영향 커
인문학 외면은 국가의 직무유기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가 사망하기 1년 전인 2010년의 일이다. 잡스는 태블릿 PC인 아이패드 출시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애플이 아이패드 같은 제품들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우리가 늘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에 서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자신과 애플의 성공을 인문학 덕분으로 돌린 것이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 인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한 천재의 말이라 울림이 컸다.

아이패드는 당시 혁신의 아이콘이었다. 키보드와 마우스 등 입력 장치 없이 손만 갖다 대면 작동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었다. 컴퓨터와 인간의 교감이 가능해진 것이다. 신문·책 등 활자 매체의 콘텐츠를 아이패드를 통해 그대로 받아볼 수 있다는 점은 획기적이었다. “소크라테스와 점심을 함께할 수 있다면 애플이 가진 모든 기술과 바꾸겠다”는 그의 말이 허언이 아니었다. 기업 등이 인문학에서 성공의 열쇠를 찾기 위해 앞다퉈 인문학 강좌를 도입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과학기술 만능의 시대에 살면서 인간과 삶의 본질을 다루는 인문학에서 혜안을 찾으려는 것이다.
김기동 논설위원
하지만 대학의 현실은 다르다. ‘문송’(문과라 죄송합니다), ‘인구론’(인문계 90%가 논다)이라는 신조어가 낯설지 않은 세상이다. 대학에서 이른바 ‘문·사·철(문학,사학,철학)’은 찬밥 신세다. 학생 수 감소와 맞물려 대학들이 취업에 유리한 실용학문 위주로 학과 개편에 나서면서 기초학문이 고사 직전이다.

며칠 전 대구대에선 45년 만에 폐과되는 사회학과 장례식이 열렸다. 교수 학생, 졸업생 등이 찾아 마지막을 지켜봤고, 서강대·부산대 사회학과에서 보낸 조화가 자리를 지켰다. 대구대 사회학과는 올해 신입생이 졸업하는 2030년 문을 닫는다. 사회학 없는 사회과학대학은 ‘앙꼬 없는 찐빵’이나 다름없다. 대구대는 사회학과 등 6개 학과를 폐과하는 대신 보건재활학과 등 취업이 잘되는 학과 정원은 늘리고 웹툰·게임 관련 학과를 신설한다.

지방대 위기를 빗댄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서울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다. 덕성여대는 내년부터 독문과와 불문과 신입생을 모집하지 않는다. 동국대는 2009년 독문과를 폐지했고, 건국대는 2005년 독문·불문과를 EU문화정보학과로 통합했다.

인간의 삶을 이끄는 원동력은 인문학이다. 그 뿌리를 토대로 이성적 사고와 윤리적 가치를 더한 것이 사회과학이다. 인공지능(AI)이 생성하는 ‘찍어내는 듯한’ 문구는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친다. 그러다 보니 무미건조하고 인간미가 없다. 소크라테스는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아갈 가치가 없다”고 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아가기 위한 생각의 원천은 인문학·사회학적 성찰에서 나온다. 냉철한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는 비판적 사고는 인문학 없이는 불가능하다.

물론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인문학의 퇴조는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생소한 고전을 뜻도 모른 채 외우기에 급급했던 우리의 입시체계에선 당연한 귀결일지 모른다. 성인 10명 중 6명이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게 현실이다. 동네서점 폐업은 뉴스도 아니다. 전공 간 칸막이가 무너지는 시대상에 맞춰 기초학문도 스스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도 반성해야 한다. ‘의대 광풍’에 따른 N수생 양산과 학문적 불균형은 사회문제로 떠오른 지 오래다. 문·이과 통합 수능에 따른 대입 교차지원도 모자라 취업률 등 수치로 대학을 평가하다 보니 학문의 다양성 저하나 특정 학문에 대한 편중이 심해졌다.

윤석열정부의 무전공(전공자율선택) 확대 정책은 불난 데 부채질하는 격이다. ‘융합형 인재양성’ 명분을 앞세워 돈으로 대학을 쥐고 흔든다. 15년간 등록금이 동결된 대학들 입장에선 정원의 30%가량을 무전공으로 뽑는 대신 받는 1조원의 유혹은 달콤하다. 학과 서열화와 인기 학과 쏠림은 불가항력이다.

AI가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쏟아진다. 빅데이터에 인간의 감성과 공감을 불어넣는 건 인문학의 몫이다. 기초학문의 몰락은 국가 경쟁력 악화로 이어진다. 이대로 방치하는 건 국가의 직무유기다.

김기동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