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의 간신열전] [260] 정(正) 자의 빛과 그림자

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2024. 11. 13. 23: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正)이라는 한 글자만 잘 음미해 보아도 정치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공자는 당시 실력자 계강자(季康子)가 정(政)을 묻자 정(正)이라고 답하면서 “대부께서 바름[正]으로 이끄신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반문했다. 이런 사례는 ‘논어’에 아주 많이 등장한다.

자로(子路)라는 제자가 “위(衛)나라 군주가 스승님을 기다려 정치를 맡기려 하니 스승님께서는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렵니까?”라고 묻자 “반드시 이름부터 바로잡겠다[正名]”라고 답했다. 또 “(임금의) 자기 몸이 바르면[正] 명령하지 않아도 일이 행해지고 자기 몸이 바르지 않으면[不正] 설사 명령을 내려도 (신하들이) 따르지 않는다.”

이때 말하는 정(正)과 짝을 이루는 말은 부정(不正), 즉 사(邪)이다. 그래서 정사(正邪), 즉 바르거나 그르거나라는 말이 있다.

이상은 수기(修己) 차원의 정(正)이다. 공자는 치인(治人) 차원으로 들어가면 정(正)과 중(中)이라는 짝을 강조한다. 이 경우 정(正)은 신하의 도리이고 중(中), 상황에 적중함[時中]은 군주의 도리가 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제나라 환공을 도와 패권을 이룩한 관중(管仲)에 대한 공자와 제자들의 시각 차이이다. 자공과 자로는 자기 주군을 배반하고 환공을 도운 관중을 부정(不正)하다고 보아 어질지 못하다고 했다. 그러나 공자는 단호하게 “환공은 제후들을 아홉 번 모으면서도 무력을 쓰지 않았는데 이는 관중의 힘이었으니 (누가) 그의 어짊만 하겠는가? 그의 어짊만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지금 우리 정치는 여야 지도자 모두 정사(正邪) 중에서 사(邪)에 빠져 서로 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다. 언감생심(焉敢生心), 정(正)에서 중(中)으로 나아갈 고민은 해보지도 못하고 있다. 정사(正邪)의 정(正) 못지않게 중정(中正)의 중(中)을 잘 잡아 쥐는 지도자를 가져본 지가 언제이던가?/경제사회연구원 문화센터장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