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미래 위한 대학의 역할, 상생과 협력의 길 찾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은 수학능력시험일이다.
인구 감소는 대학과 부산시의 위기로 직결된다.
국제신문과 BNK금융그룹이 15일 오전 11시 부산 동래구 온천동 호텔농심 크리스탈홀에서 여는 '2024 지역경제 기 살리기 정책 콘퍼런스' 주제를 '지역대학이 살아야 경제도 산다'로 정한 이유다.
각 대학은 구조개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다른 대학과 연대, 부산시와 협력으로 상생 효과를 거둘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장들의 진단과 전략에 관심 집중
오늘은 수학능력시험일이다. 부산에선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졸업생 등 2만7300여 명이 시험을 치른다. 수능을 마치면 시작되는 대학별 전형에 부산 대학들은 사활을 걸어야 한다. 학생 수는 감소하고,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하면서 해마다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이 가중된다. 인구 감소는 대학과 부산시의 위기로 직결된다. 상생할 지혜로운 해법을 함께 찾아야 할 때다. 국제신문과 BNK금융그룹이 15일 오전 11시 부산 동래구 온천동 호텔농심 크리스탈홀에서 여는 ‘2024 지역경제 기 살리기 정책 콘퍼런스’ 주제를 ‘지역대학이 살아야 경제도 산다’로 정한 이유다. 부산 대학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정책적으로 지원을 더 받을 방안을 모색한다. 이는 부산이 위기를 극복하고 밝은 미래를 여는 길이다. 일반 시민도 사전 신청을 하면 행사에 참석할 수 있다.
발제자인 동아대 오지영 ESG지역혁신연구소장은 ‘대학의 지역경제 기여효과 분석’을 주제로 대학이 부산에 끼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함께 성장할 방안을 찾는다. 대학과 지역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대학은 신기술을 창출하고 지식을 선도하며 지역을 성장시킬 미래 인재를 육성해왔다. 현재 부산에는 4년제 대학 14개, 전문대학 8개가 있다. 재적생(19만5014명) 교원(1만6202명) 직원(2173명) 수만해도 23만5591명이다. 2023년 부산 총인구의 7%를 넘는 수치다. 대학이 지역사회에 끼치는 유무형의 영향력이 클 수밖에 없다. 양질의 산업인력 양성은 물론이고 안정적 정주 인구 증가, 상권 활성화 등으로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한다.
대학의 위기는 고용 및 소비 감소, 인구 유출 등으로 이어져 도시의 생존을 위협한다. 대학이 문을 닫으면 정규직 직원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각종 공공서비스 소비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상권의 직간접적 타격도 심각해진다. 부산 대학 위기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걱정스럽다. 각 대학은 구조개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다른 대학과 연대, 부산시와 협력으로 상생 효과를 거둘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가 내년 전국적으로 도입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 사업에 거는 기대가 크다. ‘인재양성-취업·창업-연구개발-정주’가 선순환하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뜻이다. 이날 부산 발전에 필요한 사업 방향과 관련한 여러 대학의 다양한 의견이 주목된다.
윤석열 정부는 글로컬대학 선정을 중심으로 ‘지방대학’을 육성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 대학 입학정원 비중은 2022년 48.9%에서 2024년 50.2%로 오히려 늘었다. 정부와 부산시는 이날 부산대 최재원·부산교대 박수자·동서대 장제국·동명대 전호환 총장과 동아대 강대성 부총장이 패널로 참석하는 특별대담에 귀기울이기 바란다. 여기서 쏟아지는 총장들의 진단과 전략은 대학 살리기, 부산을 비롯한 지역 살리기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의 토대가 될 것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